“교육은 백년지대계”라는 말이 있다. 교육은 앞으로 국가의 초석을 결정하는 것이기에 백 년 앞을 내다보며 신중하게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만큼 교육은 국가의 명운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저출산과 격변하는 국제정세, 급속도로 발전해 가는 정보화시대를 맞이한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도 교육이 중요한 시기이다. 우리는 앞으로 어떤 교육을 해야만 할까? 분명한 것은 지금까지의 교육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일 것이다. 그런데, 아무리 우리가 처한 상황이 긴박하다고 하더라도 백년지대계를 아무런 참고도 없이 세우는 것은 오히려 위험을 가중시키는 일일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이 책에서 미국, 영국, 일본 등 세 교육 선진국의 교육 정책을 분석함으로써, 우리 교육의 참고로 삼고자 했다. 이제 이 책의 얼개를 분석해 보자.
앞서 말했듯 저자는 먼저 우리나라가 참고할 만한 교육 정책을 가진 나라로 미국, 영국, 일본의 세 나라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그 세 나라의 교육 정책을 초중등교육 제도, 고등교육 제도, 사립학교 제도의 세 분야로 나누어 분석하고 고찰하고자 했다. 먼저 각국의 초중등교육 제도에 관한 부분에서는 각국의 교육 행정을 소개하고, 교육 여건과 의무교육 제도 및 교원 양성·자격 제도 등 교육의 제도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국의 초중등교육 제도를 교육 내용 및 교과서와 입학·진급 제도, 학교 선택 제도와 교육 재정 정책 등으로 체계화하여 정리하였으며, 교육의 민영화를 비롯해 교원 양성 동향 등 세 나라의 최신 교육 개혁 동향 등을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고등교육 제도에 관한 부분에서는 각국의 고등교육 제도와 고등교육기관의 개요를 소개하고, 설립 인가 제도와 학위·자격 및 입학·진급 제도 등 제도적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대학 운영의 거버넌스와 대학의 법적 지위 및 행정과의 관계 등을 정리하고, 각국에서 고등교육의 질 보증을 위해 채택하고 있는 방법, 고등교육의 글로벌화를 위해 펼치고 있는 정책 등 대학 경쟁력의 기반이 되는 각국의 정책 동향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사립학교 제도에 관한 부분에서는 첫째로 사립학교의 역사를 살펴보고, 둘째로 사학의 특수성 및 제도 개요에 관하여 정리했으며, 각국에서 사립학교의 법적 지위 및 설립 인가 제도, 사립학교의 입학·진급 제도와 사립학교에 대한 공적 재정 지원 등을 정리하여 국가 간의 사립학교 제도 내용과 특징을 상대화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유례없는 전환기를 맞이하여 미국과 영국, 그리고 일본 등 주요 국가의 학교 제도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나아가 각국 학교 제도의 특징 및 교육 정책의 변화를 추적하고자 한 저자의 작업은 앞으로 우리 교육이 가야 할 길을 제시하는 데 주요한 참고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저자는 이렇게 정리한 각국의 학교 제도를 서로 비교하기보다는 지역 연구에 초점을 두고 각국의 교육 제도를 바르게 이해하는 것을 돕고자 하였으며, 그를 위해 다양한 그림과 도표를 삽입하여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저자의 작업을 발판 삼아 세계 여러 나라의 교육 제도에 관한 후속 연구와 국가 간 비교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다면 전환기에 우리 교육의 문제는 무엇인지 직시하고 성찰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각국의 교육 개혁을 참고함으로써 우리나라만의 미래 교육 모델을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