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송사 300수 상

송사 300수 상

  • 류인
  • |
  • 소울앤북
  • |
  • 2023-06-07 출간
  • |
  • 236페이지
  • |
  • 131 X 207 X 17mm / 390g
  • |
  • ISBN 9791191697216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책을 내면서 · 04

조길(赵佶)
燕山亭·北行见杏花 (연산정, 북행하며 살구꽃을 보다) · 15

전유연(钱惟演)
玉楼春·城上风光莺语乱 (옥루춘, 성 위 아름다운 풍경) · 18

범중엄(范仲淹)
渔家傲·秋思 (어가오, 가을) · 20
苏幕遮·怀旧 (소막차, 회고) · 22
御街行·秋日怀旧 (어가행, 가을날의 회고) · 23

장선(张先)
千秋岁·数声鶗鴂 (천추세, 두견새 우는 소리) · 25
菩萨蛮·哀筝一弄湘江曲 (보살만, 샹장곡 쟁 연주) · 27
醉垂鞭·双蝶绣罗裙 (취수편, 나비 무늬 비단 치마) · 28
一丛花·伤高怀远几时穷 (일총화, 그리움) · 29
天仙子·水调数声持酒听 (천선자, 수조를 들으며 마신 술) · 31
青门引·乍暖还轻冷 (청문인, 잠깐 따뜻하다 다시 쌀쌀해지다) · 32
生查子·含羞整翠鬟 (생사자, 수줍은 듯 고운 머리) · 34
木兰花·相离徒有相逢梦 (목란화, 헤어진 뒤 다시 만날 희망) · 35

안수(晏殊)
浣溪沙·一曲新词酒一杯 (완계사, 사 한 수 술 한 잔) · 37
浣溪沙·一向年光有限身 (완계사, 세월은 빠르고 인생은 짧고) · 38
清平乐·红笺小字 (청평악, 붉은 비단 작은 글씨) · 39
清平乐·金风细细 (청평악, 가을바람) · 40
木兰花·燕鸿过后莺归去 (목란화, 제비와 기러기 그리고 꾀꼬
리) · 42
木兰花·池塘水绿风微暖 (목란화, 연못 물 푸르고 바람 살랑살랑
불고) · 43
玉楼春·春恨 (옥루춘, 봄날 그리움) · 44
踏莎行·祖席离歌 (답사행, 송별회의 이별 노래) · 46
踏莎行·小径红稀 (답사행, 늦봄) · 47
踏莎行·碧海无波 (답사행, 파도 없는 벽해 바다) · 48
蝶恋花·六曲阑干偎碧树 (접련화, 오는 봄 가는 봄) · 49
破阵子·春景 (포진자, 봄 풍경) · 51

한진(韩缜)
凤箫吟·锁离愁 (봉소음, 이별의 슬픔) · 53

송기(宋祁)
玉楼春·春景 (옥루춘, 봄 풍경) · 55

구양수(欧阳修)
采桑子·群芳过后西湖好 (채상자, 꽃 떨어진 뒤 시후) · 57
诉衷情·眉意 (소충정, 눈썹에 담긴 뜻) · 59
踏莎行·候馆梅残 (답사행, 매화 떨어진 객사) · 60
蝶恋花·庭院深深深几许 (접련화, 정원 깊숙이) · 61
鹊踏枝·谁道闲情抛掷久 (작답지, 까닭 없는 서글픔) · 63
蝶恋花·几日行云何处去 (접련화, 뜬구름처럼 가버린 사람) · 64
蝶恋花·面旋落花风荡漾 (접련화, 꽃잎 하늘하늘 흩날리고) · 65
玉楼春·别后不知君远近 (옥루춘, 그이는 어디 있나) · 66
临江仙·柳外轻雷池上雨 (임강선, 희미한 우렛소리) · 67
浪淘沙·把酒祝东风 (낭도사, 술잔을 받들고) · 69
浣溪沙·堤上游人逐画船 (완계사, 놀잇배 인파) · 70
青玉案·一年春事都来几 (청옥안, 봄) · 71
生查子·元夕 (생사자, 정월 대보름) · 73

섭관경(聂冠卿)
多丽·李良定公席上赋(다려, 이양정공에게 드림) · 75

유영(柳永)
曲玉管·陇首云飞 (곡옥관, 룽서우의 구름) · 79
雨霖铃·寒蝉凄切 (우림령, 가을 매미 소리) · 81
蝶恋花·伫倚危楼风细细 (접련화, 누각에 부는 바람) · 83
采莲令·月华收 (채련령, 달빛은 스러지고) · 84
满江红·暮雨初收 (만강홍, 비가 막 그친 저녁) · 86
浪淘沙·梦觉透窗风一线 (낭도사, 꿈에서 깨어보니) · 88
红窗迥·小园东 (홍창형, 동쪽 작은 정원) · 91
定风波·自春来惨绿愁红 (정풍파, 봄날 처량한 꽃과 나무) · 92
少年游·长安古道马迟迟 (소년유, 느릿느릿 장안 옛길) · 94
戚氏·晚秋天 (척씨, 깊어 가는 가을) · 96
夜半乐·冻云黯淡天气 (야반락, 짙은 구름 하늘을 가려) · 99
玉蝴蝶·望处雨收云断 (옥호접, 비 그치고 구름 걷힌 곳) · 102
八声甘州·对潇潇暮雨洒江天 (팔성간저우, 저녁 비 세찬 강가에
서) · 104
迷神引·一叶扁舟轻帆卷 (미신인, 일엽편주 가벼운 돛) · 106
竹马子·登孤垒荒凉 (죽마자, 황량한 곳 외딴 군영) · 108

왕안석(王安石)
桂枝香·金陵怀古 (계지향, 진링 회고) · 111
千秋岁引·秋景 (천추세인, 가을 풍경) · 114

왕안국(王安国)
清平乐·春晚 (청평악, 늦은 봄) · 117

안기도(晏几道)
临江仙·梦后楼台高锁 (임강선, 꿈에서 깨어보니) · 119
蝶恋花·梦入江南烟水路 (접련화, 꿈속의 강남) · 121
蝶恋花ㆍ醉别西楼醒不记 (접련화, 취중 작별) · 122
鹧鸪天·彩袖殷勤捧玉钟 (자고천, 옥 술잔을 들었던 날) · 123
鹧鸪天·醉拍春衫惜旧香 (자고천, 취중에 옷자락을 털다) · 125
生查子·金鞭美少年 (생사자, 금 채찍 사내) · 126
生查子·关山魂梦长 (생사자, 험준한 요새 사무치는 그리움) · 127
玉楼春·东风又作无情计 (옥루춘, 무정한 동풍) · 128
木兰花·秋千院落重帘暮 (목란화, 그네 흔들리는 정원) · 129
清平乐·留人不住 (청평악, 붙잡아도 소용없고) · 131
阮郎归·旧香残粉似当初 (완랑귀, 화장 향기 여전히 짙건만) · 132
阮郎归·天边金掌露成霜 (완랑귀, 구리 손바닥의 옥 이슬) · 133
六幺令·绿阴春尽 (육요령, 봄이 끝날 무렵) · 135
御街行·街南绿树春饶絮 (어가행, 봄을 맞은 길 남쪽) · 136
虞美人·曲阑干外天如水 (우미인, 난간 바깥 물 같은 하늘) · 138
留春令·画屏天畔 (유춘령, 병풍 속 천상 세계) · 139
思远人·红叶黄花秋意晚 (사원인, 빨간 단풍 노란 국화) · 140
满庭芳·南苑吹花 (만정방, 남원에서 꽃잎 불기) · 141
采桑子·西楼月下当时见 (채상자, 서루 달빛 아래) · 143
少年游·离多最是 (소년유, 헤어짐이란) · 144

왕관(王观)
卜算子·送鲍浩然之浙东 (복산자, 포호연을 저둥으로 보내다) · 147
庆清朝慢·踏青 (경청조만, 답청) · 148

소식(苏轼)
水调歌头·明月几时有 (수조가두, 밝은 달은 어느 때부터) · 151
水龙吟·次韵次韵章质夫杨花词 (수룡음, 장질부가 보낸 양화사의
운을 빌리다) · 153
念奴娇·赤壁怀古( 염노교, 적벽회고) · 156
永遇乐·彭城夜宿燕子楼梦盼盼因作此词 (영우락, 펑청의 연자루에
서 자면서 꿈에 반반을 보고 이 사를 쓰다) · 158
洞仙歌·冰肌玉骨 (동선가, 얼음 같은 피부 옥 같은 자태) · 160
卜算子·黄州定慧院寓居作 (복산자, 황저우 정혜원에서) · 163
青玉案·和贺方回韵送伯固归吴中故居 (청옥안, 하방회의 운에 맞
추어 백고가 우중 옛집으로 돌아가는 것을 송별하다) · 164
临江仙·夜饮东坡醒复醉 (임강선, 마시고 깨었다 또 마시고) · 166
定风波·莫听穿林打叶声 (정풍파, 숲 을 뚫고 나뭇잎 때리는 빗소
리) · 168
江城子·乙卯正月二十日夜记梦 (강성자, 을묘 정월 이십일 밤의 꿈을
쓰다) · 169
木兰花令·霜余已失长淮阔 (목란화령, 서리 내려 창화이 기세를 잃
고) · 171
贺新郎·乳燕飞华屋 (하신랑, 새끼 제비 날아든 예쁜 집) · 172
蝶恋花·春景 (접련화, 봄 풍경) · 175

황정견(黄庭坚)
鹧鸪天·座中有眉山隐客史应之和前韵即席答之 (자고천, 연회 중 메이
산에 은거하는 사응지의 운에 답하다) · 177
定风波·次高左藏使君韵 (정풍파, 고좌장 사군의 운을 받아서) · 178
水调歌头·游览 (수조가두, 나들이) · 180
望江东·江水西头隔烟树 (망강동, 강 서편에 서니) · 182

진관(秦观)
望海潮·洛阳怀古 (망해조, 뤄양 회고) · 184
八六子·倚危亭 (팔육자, 높은 정자에 기대어) · 186
满庭芳·山抹微云 (만정방, 옅은 구름 칠해진 산) · 188
满庭芳·晓色云开 (만정방, 새벽빛에 구름 걷히고) · 190
减字木兰花·天涯旧恨 (감자목란화, 하늘 끝 이별) · 192
踏莎行·郴州旅舍 (답사행, 천저우 여관에서) · 193
浣溪沙·漠漠轻寒上小楼 (완계사, 싸늘한 봄기운) · 195
阮郎归·湘天风雨破寒初 (완랑귀, 샹장의 비바람) · 196
鹧鸪天·枝上流莺和泪闻 (자고천, 가지 위에서 꾀꼬리 울어) · 198
如梦令·春景 (여몽령, 봄 풍경) · 199
鹊桥仙·纤云弄巧 (작교선, 섬세한 구름 신묘한 조화) · 200
江城子·西城杨柳弄春柔 (강성자, 성 서쪽 버드나무) · 202
如梦令·遥夜沉沉如水 (여몽령, 고요한 밤) · 203

조단례(晁端礼)
绿头鸭·咏月 (녹두압, 달을 노래함) · 205

조령치(赵令畤)
蝶恋花·欲减罗衣寒未去 (접련화, 겨울 명주옷 벗고자 하나) · 208
蝶恋花·卷絮风头寒欲尽 (접련화, 버들솜 흩날리는 바람) · 209
清平乐·春风依旧 (청평악, 봄바람 여전한데) · 210

장뢰(张耒)
风流子·木叶亭皋下 (풍류자, 나뭇잎 물가 정자에 떨어지니) · 212

조보지(晁补之)
水龙吟·次韵林圣予惜春 (수룡음, 임성예의 ‘석춘’에서 운을 빌리다) · 215
盐角儿·亳社观梅 (염각아, 박사에서 보는 매화) · 217
忆少年·别历下 (억소년, 리샤를 떠나며) · 218
洞仙歌·泗州中秋作 (동선가, 쓰저우에서 중추절에 씀) · 220

조충지(晁冲之)
临江仙·忆昔西池池上饮 (임강선, 서지 연못에서의 술자리) · 222

서단(舒亶)
虞美人·寄公度 (우미인, 공도에게 보냄) · 224

주복(朱服)
渔家傲·小雨纤纤风细细 (어가오, 부슬부슬 가랑비 살랑살랑 봄 바
람) · 226

모방(毛滂)
惜分飞·富阳僧舍作别语赠妓琼芳 (석분비, 푸양 승방에서 이별사를
써 경방에게 보내다) · 228

진극(陈克)
菩萨蛮·赤阑桥尽香街直 (보살만, 적란교) · 230
菩萨蛮·绿芜墙绕青苔院 (보살만, 푸른 담장 이끼 낀 정원) · 231

이원응(李元膺)
洞仙歌·雪云散尽 (동선가, 눈보라 지나고 구름 흩어지니) · 233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