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언제 어디에서든 시작할 수 있는 동네 들꽃 여행!
매일매일의 마실 여행에서 설렘으로 가득한 보물찾기!
비록 좁고 복잡한 도시 공간이지만 아주 다양한 자연을 쉽게 만날 수 있다. 겨울이 물러나면 때를 기다렸다는 듯이 봄꽃들이 앞다투어 꽃을 피워내기 시작하고, 그들이 떠난 자리에 싱그러운 초록 잎과 향기를 품은 꽃들의 향연이 펼쳐진다. 어디 그뿐인가, 가을이면 울긋불긋 단풍에 모양도 각양각색 풍성한 열매로 생명살이의 결실을 맺고, 마침내 모든 것을 내려놓은 모습에 이르기까지 사계절이 주는 자연 선물은 하나하나가 보물이다.
이렇듯 사계절을 오롯이 품은 자연의 생명살이를 체험하고 싶다면 굳이 멀리 갈 필요도 없다. 걸어서 반나절 거리를 다니며 만나는 이런저런 들꽃에 관심을 갖고 이름을 불러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한마디로, 동네 들꽃 여행은 누구나 언제 어디에서든 시작할 수 있다.
대학에서 지리학을 전공한 뒤 학생들을 가르치고 정년 퇴임한 동국대학교 권동희 명예교수도 어릴 적부터 마음에 담고 있던 들꽃 여행을 제대로 해야겠다고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코로나 팬데믹으로 발이 묶여, 먼저 부담 없는 동네 마실에 나섰고 곳곳에서 만난 푸나무에게 말을 걸기 시작했다. 그 결과, 2년 여 동안 동네 여행지에서 만난 수많은 들꽃과 곤충을 갈무리하여 249종의 들꽃과 26종의 곤충을 주인공으로 한 들꽃 산책 기록을 펴내기에 이르렀다. ‘마실에서 만난 우리 동네 들꽃’(전 2권)이라는 부제를 단《01 같은 듯 다른 들꽃》, 《02 울타리를 넘는 들꽃》에는 매일매일의 마실 여행에서 설렘으로 가득한 보물찾기가 펼쳐진다.
그는 들꽃 여행의 시작은 그들의 이름을 정확히 찾아내 불러주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들꽃의 이름에는 그들의 생태적 특성을 담고 있고, 거기에는 지리적 환경도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란다. 하지만 보통 사람들이 그들의 이름을 제대로 불러주기가 어디 쉬운 일인가? 이 꽃이 그 꽃 같고, 저 꽃이 이 꽃 같은 헷갈림에 포기하고 쓱 일별하며 지나치기 일쑤다.
“자연을 가장 가까이 들여다보라. 자연은 우리의 시선을 가장 작은 잎사귀로 낮추고 곤충의 시선으로 그 면을 바라보도록 초대한다”는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말처럼, 들꽃들을 가장 가까이 마주할 수 있는 기회는 바로 동네 마실이다. 그들을 볼 때마다 이름을 부르며 반갑게 인사를 건넨다면 소소한 행복으로 가슴이 따뜻해지지 않을까. 그래서 ‘마실에서 만난 우리 동네 들꽃’이 더욱 반갑고 소중한 까닭이다.
어릴 적 들꽃에 얽힌 추억 한 자락과
지리학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들꽃 이야기!
‘마실에서 만난 우리 동네 들꽃’의 무대는 저자 권동희 선생이 현재 살고 있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이다. 당연히 분당구 전역 그리고 인근 광주와 용인, 서울과 인천 일부가 물리적인 마실 후보지다. 그러나 모든 여행이 그렇듯 동네 여행도 물리적 거리 못지않게 시간적 거리도 중요한 법. 게다가 들꽃 여행에 걸맞게 이런저런 들꽃들을 쉽게 만날 수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조건을 갖춘 곳은 바로 탄천, 분당천, 야탑천, 성남시청공원, 중앙공원, 율동공원, 밤골계곡, 맹산환경생태학습원, 맹산반딧불이자연학교, 맹산자연생태숲, 불곡산, 문형산, 포은정몽주선생묘역 등이다. 물리적으로는 꽤 거리가 있지만 30~40분이면 갈 수 있는 남한산성과 인천수목원 역시 동네 들꽃 여행지로 삼았다.
살아 있는 생명체인 들꽃은 자신의 환경에 머무르지 않는다. 가끔은 울타리를 벗어나 산을 넘고 강을 건넌다. 때로는 바다와 대륙을 넘나들기도 한다. 들꽃은 곤충을 부르고 곤충은 들꽃으로 날아든다. 둘의 공생관계는 사람에게도 적용된다. 원시사회에서 들꽃이나 곤충은 인간의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이었고, 현대인의 삶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 같은 듯 다른 들꽃, 사람과 들꽃, 시간을 알려주는 들꽃, 장소를 가리는 들꽃, 곤충을 부르는 들꽃, 울타리를 넘는 들꽃 등 여섯 가지 소주제는 이렇게 해서 탄생했다.
‘마실에서 만난 우리 동네 들꽃 01’ 《같은 듯 다른 들꽃》은 이름이나 생태 특징 등이 비슷비슷한 무리를 갈무리한 〈같은 듯 다른 들꽃〉과 사람의 생활 깊숙이 파고들어 어느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사람과 들꽃〉의 소주제를 하나로 묶었다. ‘밤하늘 별만큼이나 많은 별꽃’ 무리, 겨우내 칙칙한 우리의 산야를 화사하게 꾸미는 진달래 무리, 가을이면 수줍은 모습으로 우리를 반기는 들국화 무리, 병꽃 이름표를 단 병꽃 가족의 구분과 구별 등등 27항목으로 나눠 소개한 ‘같은 듯 다른 들꽃’들을 만날 수 있다. 또 인간사의 애증을 반영한 ‘며느리’라는 이름표를 단 들꽃과 부처의 곱슬머리에 빗댄 불두화, 마치 국수가락을 뽑아내는 듯한 창의성 넘치는 국수나물, 고흐가 사랑했던 복사꽃, 키가 작아 잔디에 기대여 사는 큰벼룩아재비, 학자목으로 인기 있던 배롱나무와 회화나무, 말의 이빨을 연상케 하는 개성 만점의 마가목 등등 28항목으로 정리한 〈사람과 들꽃〉으로 1권을 마무리한다.
지리학자는 어떤 시선으로 들꽃 세상을 바라볼까? 역시나 249종의 들꽃과 26종의 곤충을 소개하면서 그들을 만난 장소와 시기를 꼼꼼하게 기록하는 것을 놓치지 않는다. 언제쯤 그곳에 가면 그가 만난 들꽃들을 다시 만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작은 설렘마저 느낀다. 선생이 어릴 때 시골에서 만난 들꽃에 얽힌 이야기를 함께 풀어내면 우리 동네에서 만난 들꽃 이야기가 더욱 풍성해진다. 팍팍한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지금 당장이라도 마실에 나서서 동네 어귀에 피어난 들꽃에 눈을 맞추며 그들의 이름을 불러보고 싶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