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 3
책을 펴내며 ∙ 6
프롤로그 - 신라의 전쟁포로 활용 - ∙ 11
1장 군사사의 시각으로 고조선을 다시 보다 18
2장 고구려 성곽을 연구할 때 중요한 논점은 무엇일까 30
3장 무기를 통해 고구려의 역사를 읽어낼 수 있을까 48
4장 고구려는 한강유역을 지배하였을까 62
5장 고구려를 공격한 수의 백만대군은 어떻게 편성되었을까 75
6장 고구려 최후의 25년(644~668)을 돌아보다 89
7장 고구려 유민의 생존 방식 중 하나, 고구려부흥운동 104
8장 웅진기 백제가 생각한 외교안보란 무엇일까 117
9장 백제의 무왕과 의자왕은 영토를 어떻게 넓혔을까 128
10장 백제부흥운동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었을까 142
11장 신라의 영역 확장과 한강유역 진출의 의미는 무엇일까 155
12장 신라 상중대 병부는 군정권을 어떻게 다루었을까 171
13장 신라 군사조직은 어떻게 구성되었을까 183
14장 신라는 전략과 전술을 어떻게 개발하고 활용하였을까 194
15장 군율, 신라 군사 운용의 기준이 되다 208
16장 진흥왕대 신라는 유공자를 어떻게 우대하였을까 218
17장 6~7세기 신라는 전공포상을 어떻게 시행하였을까 232
18장 신라 해적은 수군인가 상인인가 243
19장 신라는 당 제국과의 전쟁에서 어떻게 생존하였을까 254
20장 왕건은 후삼국 전쟁에서 어떻게 승리할 수 있었을까 276
21장 고려 건국기 수군은 나라를 어떻게 지켰을까 291
22장 중국 송대 첩보활동은 어떠하였을까 303
23장 행군, 전쟁의 시작과 끝 319
24장 무예 인문학, 무기에 담긴 인류 고대의 발자취 334
에필로그 - 역사소설가가 바라본 군사사 - ∙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