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그리스도론

그리스도론

  • 올레가리오 곤잘레스
  • |
  • 가톨릭출판사
  • |
  • 2023-04-05 출간
  • |
  • 1148페이지
  • |
  • 148 X 207mm
  • |
  • ISBN 9788932118543
판매가

55,000원

즉시할인가

49,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9,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최고의 학자가 소개하는
우리 신앙의 핵심, 그리스도론
이 책은 현대 스페인 교회 최고의 교의 신학자 중 한 분으로 평가받는 ‘올레가리오 곤잘레스 데 카르데달’ 신부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로, 우리 신앙의 핵심인 그리스도에 대한 주요 주제를 집약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올레가리오 신부는 지난 2011년 베네딕토 16세 교황이 제정한 ‘라칭거 상’을 수상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미 그 이전에 스페인 정부에서 수여하는 국가적인 차원의 학술상을 여러 차례 수상한 학자이다. 명실공히 이 시대 가톨릭 교회의 최고 교의 신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다. 이 작품은 스페인 신학계를 대표하는 「BAC 시리즈」를 통해 2001년에 출간되었으며, 2012년에 개정, 증보되어 그리스도론 분야에 있어서 보다 광범위한 최신 연구 결과를 담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교부 시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그리스도의 위대한 순간들과 최고 저자들을 소개하게 될 것이다. 그리스도교는 역사이자 전승이며 시간이다. 따라서, 그것은 기억, 체험, 희망을 요청한다. 오직 아브라함에 대한 부름에서 2,000년 대희년에 이르기까지 지나온 3.000년의 시간과 익숙한 사람만이 그리스도의 모든 충만함, 아름다움, 진리를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저자들 가운데 이레네우스, 오리게네스, 아우구스티누스,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루스, 안셀무스, 토마스, 십자가의 요한, 예수의 데레사, 로욜라의 이냐시오, 루터, 베륄, 파스칼, 뉴먼, 묄러, 블롱델, 라그랑주, 라너, 발타사르를 비롯해 다른 문화와 지리 그리고 역사적 체험을 지닌 사람들의 삶과 사상 그리고 행위를 위해 그리스도께서 의미를 지니신 것에 대한 증언들을 인용하게 될 것이다.
- 제1판 서문 중에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다각도로 소개해 주는 교과서
이 책은 그리스도론에 대한 교과서로 집필된 책이다. 그래서 수많은 스페인 신학대학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의 신학대학에서 교재로 사용 중이다. 목적 자체가 그러하기에 이 책은 신학적 공동체에서 승인된 인식들을 분명하게, 그리고 문헌을 통해 입증하는 방식으로 제시한다. 그렇게 하여 문제의 핵심으로 독자를 데려간다.
이 책은 그동안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신학적 성찰을 집대성한 책이다. 가장 최근의 그리스도론에 관한 논의까지 담긴 보다 광범위한 관점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성찰하는 책인 것이다. 이 책의 중심 주제는 다음과 같다. 1) 예수님의 역사: 예수님은 누구이며, 어떻게 살았고, 어떻게 돌아가셨는가? 2) 예수님의 인격: 그분의 인격은 어떤 비밀을 지녔고, 그분의 가르침은 어떤 내용인가? 사람들은 그분을 어떻게 체험했고, 하느님께서는 그분을 위해 어떤 징표들을 마련하셨는가? 3) 예수님의 사명: 지금까지 그분의 역할은 무엇이었으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인류 전체를 위한 그분의 의미는 어떤 것으로 드러나고 있는가? 이를 밝히기 위해 저자는 제1부에서 성경의 그리스도론을 제시하고, 제2부에서는 교도권과 각 시대의 신학에서 성찰된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을 제시했다. 그리고 제3부에서는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명에 대한 체계적인 신학적 성찰을 소개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인류 구원의 요체(要諦)인 예수 그리스도의 정체성과 사명을 다양한 관점에서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학 전반에 대한 연구를 위한 핵심 초석을 마련할 수 있다.

목차

추천사19
머리말24
제1판 서문28
역자의 말40
참고 문헌48
약어 표시54
도입: 그리스도론59
I. 출발점62
II. 목적65
III. 장소70
IV. 주체77
V. 방법론84
VI. 그리스도론의 내용 구분94
VII. 그리스도론의 우선적 목적들96
VIII. 현재 당면한 다양한 어려움104
IX. 그리스도론에 대한 접근과 우선적인 수취인들110
X. 정의112

제1부 그리스도의 역사와 운명: 성경의 그리스도론115
도입: 기원의 규범. 사실들, 본문들, 생생한 증언116
제1장 활동122
I. 하느님 나라의 선포123
1. 세례자 요한123
2. 예수의 세례124
3. 예수의 새로움127
4. 결정적 사건128
5. 구약의 약속들과 희망들129
6. 바실레이아(Basileia): 하느님의 왕권, 왕국, 다스림131
7. 도래한 왕국, 도래하고 있는 왕국, 도래할 왕국133
8. 하느님 나라의 신학적, 종말론적, 구원론적 내용136
9. 하느님 나라의 수취인들144
10. 예수의 아름다운 모험과 진복팔단145
11. 결론: 예수, 하느님 나라의 인격적 형상146
II. 기적들149
1. 치유와 구마149
2. 기적, 이적, 표징150
3. 기적들이 자리한 생생한 맥락151
4. 근본적인 문제들: 기적의 가능성과 존재153
5. 신약에 있어서 기적의 다양한 의미158
6. 결론: 겸손한 의사이자 기적을 베푸는 전능한 분으로서의 예수161
III. 권위에 대한 주장과 정체성에 대한 칭호들164
1. 실증주의와 역사적 회의론 사이의 제3의 길로서의 암묵적 그리스도론164
1.1. 예수의 권위와 자유166
1.2. 자기 승인: ‘아멘’167
1.3. 거룩한 제도들과의 관계169
1.4.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태도170
1.5. 하느님과의 관계: ‘아빠’172
2. 명시적 그리스도론. 사도들 앞에서의 입증과 장엄함에 대한 칭호들176
2.1. 예수와 사도들 간의 관계176
2.2. 스승에 대한 칭호: 메시아 / 야훼의 종 / 인자 / 하느님의 아들178
3. 하느님과 동등한 권위를 지닌 예수186

제2장 수난188
I. 죽음 직전 예수의 자의식(自意識)189
1. 갈릴래아의 위기189
2. 성전 입성192
3. 백성과 대면하다195
4. 최후의 만찬199
4.1. 최후의 만찬의 역사적인 틀200
4.2. 사화들201
4.3. 행위와 말씀203
4.4. 의미205
II. 예수의 죽음213
1. 문제의 맥락214
2. 이야기의 원천들219
3. 삶과 죽음 사이의 연결222
4. 사건으로서의 죽음232
5. 십자가에 못 박힘이라는 예수의 죽음 형태239
6. 단죄와 죽음에 대한 책임240
7. 예수의 죽음의 의미247
8. 신약에서 그리스도의 죽음에 대한 신학적 강독254
9. 그리스도의 죽음에 대한 또 다른 해석들264

제3장 영광스럽게 되심268
I. 기원의 사실들270
1. 원천들. 사실들과 표징들271
1.1. 부활하신 분의 발현들: 1코린 15장272
1.2. 빈 무덤281
2. 부활: 역사, 호교, 신학283
II. 부활의 맥락, 어휘, 내용290
1. 부활의 맥락: 종말적, 묵시적291
2. 부활의 어휘: 상징적 자리들293
3. 부활의 내용299
3.1. 신학적 내용299
3.2. 그리스도론적 내용302
3.3. 사도적 내용308
3.4. 구원론적 내용311
3.5. 종말론적 내용314
3.6. 교회론적 내용314
III. 부활하신 그리스도에 대한 실제적인 접근316
1. 교회 내에서부터316
1.1. 성찬례317
1.2. 따름319
1.3. 실존적 그리스도인들: 믿음, 희망, 사랑320
2. 인간의 근본 체험들로부터321
2.1. 초월적인 길: 희망322
2.2. 인격적인 길: 사랑323
2.3. 역사적인 길: 정의325
3. 부활: 인간의 생각과 열망을 넘어서는 하느님 사건과 신비327
IV. 부활하신 분: 성부의 계시자, 성령을 주시는 분, 교회를 일으키시는 분329
1. 성령, 메시아, 성자330
2. 성령에 의해 자극되어 변모된 분이자 성령을 전파하는 분332
3. 파스카에서 삼위일체로338
V.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에 대한 종말론적이고 보편적인 특징346
1. 종말론적 최후와 구원적 보편성349
2. 이 보편성의 지형적, 연대적 명료화: 하늘에 오름, 지옥에 내려감, 영광과 심판 속에서 역사의 최종 완성352

제2부 교회에서 그리스도의 현존과 해석: 역사적 그리스도론357
제4장 교부 시대. 그리스도론적 공의회들358
I. 역사에서 그리스도에 대한 이해360
1. 근원에 대한 생생한 전수360
2. 사도 계승과 교회적 중개362
3. 그리스도의 삼중적인 몸과 세상에서의 현존365
4. 그리스도를 전수하는 네 가지 형태367
5. 그리스도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발전의 요인들371
6. 교회에 있어서 그리스도의 현존과 세상 안에서의 또 다른 그분의 현존 형태들374
II. 신약 성경에서 2세기까지377
1. 그리스도론의 초기 문화적 맥락377
2. 신약 성경에 있어서 두 개의 근본적 그리스도론381
3. 근본 문제들: ‘테올로기아’(삼위일체)와 ‘오이코노미아’(강생)382
4. 초기의 불충분한 대답들: 양자론, 양태론, 종속론385
5. 유다계 그리스도교와 삼중적 그리스도론: 예언적, 천사적, 성령론적388
6. 안티오키아의 이냐티우스: 성경, 순교, 신비393
7. 유스티누스: 위격 안에서 드러나는 ‘로고스’(Logos)와 인간들의 ‘로고이’(logoi)397
8. 사르데스의 멜리톤: 찬가적, 훈계적 특징을 갖는 파스카의 그리스도론402
III. 세 가지 불완전한 그리스도론과 세 명의 위대한 신학자404
1. 구약과의 연속성 안에서 본 순수한 인간으로서의 그리스도(에비온주의)405
2. 구약의 하느님과의 양자택일로서의 그리스도(마르키온주의)409
3. 세상 가운데 하느님의 외적 드러남이자 발현으로서의 그리스도 (가현설-영지주의)412
4. 이레네우스: 그리스도 또는 하느님의 단일함, 역사의 가치와 육의 구원417
5. 테르툴리아누스: 두 개의 본성, 그리스도 안에서 인간과 하느님의 합체425
6. 오리게네스: 로고스의 관상, 예수의 선재(先在)하는 영혼과 신비432
IV. 4세기의 신학과 그리스도론 그리고 성령론441
1. 순교자들의 교회에서 콘스탄티누스의 교회로441
2. 아리우스: 그의 신학과 그리스도론. 그리스도와 하느님 간의 관계443
3. 니케아의 그리스도론: 그리스도 ‘성부와 동일본질’448
4. 니케아의 영속적 의미: 해석학과 신학453
5. 아리우스주의와 신학의 언사460
6. 아폴리나리스와 그리스도의 영혼의 문제465
7. 아타나시우스와 그의 작품 『육화에 관해 아폴리나리스 반박』468
8. 카파도키아 교부들,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와 그 신경472
9. 삼위일체의 신비와 성령론의 빛 아래서 본 그리스도론478
V. 에페소와 칼케돈의 그리스도론481
1. 5세기로의 이행481
2. 안티오키아 학파.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루스483
3. 네스토리우스. ‘테오토코스’: 마리아론과 그리스도론 사이의 연결492
4.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와 에페소 공의회495
5. 키릴루스의 그리스도론의 이단배척주의 또는 한계들503
6. 에우티케스와 칼케돈의 그리스도론505
7. 칼케돈에서 수렴되는 세 가지 신학 전통509
8. 공의회의 정의: 기원, 구조, 내용514
9. 이 정의의 의미518
10. 텍스트의 의도, 가치, 한계522
VI. 칼케돈에서 교부 시대의 마지막까지526
1.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553년)528
2.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680-681년)534
2.1. 무지의 위기536
2.2. 단력론과 단의론537
2.3. 본성적 의지와 위격적 의지541
3. 제2차 니케아 공의회(787년)547
4. 스페인 양자설552
5. 교부 시대의 학문적인 종합: 다마스쿠스의 요한554

제5장 중세: 스콜라와 종교 개혁의 세기558
I. 서방으로 전수된 교부들의 그리스도론560
II. 안셀무스. 그리스도론에 대한 구원론적 재강독563
III. 초기 스콜라학. 대전들과 페트루스 롬바르두스575
IV. 천재들의 세기: 알렉산더 할레스의 『신학대전』, 보나벤투라, 토마스 아퀴나스577
V. 후기 스콜라: 스코투스, 에크하르트, 니콜라우스 쿠사누스, 라이문두스 룰루스588
VI. 종교 개혁가들 그리고 트리엔트 공의회의 세기592
VII. 스페인 신비가들: 이냐시오, 예수의 데레사, 십자가의 요한599
VIII. ‘그리스도의 신비’와 그 형태들602
제6장 근대와 현대에서의 그리스도론604
I. 그리스도론의 세 단계605
II. 학문과 신비 간의 근대적 결렬607
III. 철학자들과 역사가들의 그리스도론610
1. 데카르트와 파스칼613
2. 스피노자와 라이프니츠616
3. 칸트618
4. 레싱과 루소621
5. 관념론: 피히테, 쉘링, 헤겔624
6. 키에르케고르627
7. 슐라이어마허631
8. 역사가들의 그리스도론632
9. 시인들의 그리스도론636
IV. 20세기의 그리스도론637
V.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부터 세기의 마지막까지648

제3부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명: 체계적 그리스도론655
제7장 기원: 하느님의 아들656
I. 부활하신 분에 대한 인식과 동일화의 논리660
1. 부활하신 분과의 만남과 그분의 현존에 대한 징표들661
2. 시원적 그리스도론의 장소들과 시간663
3. 성령의 빛 아래서 본 부활하신 분665
4. 최후에서부터 출발하는 시초에 대한 상기, 회복, 역(逆)해석의 과정667
5. 그리스도의 단일함과 다양한 그리스도론적 설명들673
6. 유일한 그리스도의 다양한 이름들674
II. 하느님의 아들 됨677
1. 구약에서의 ‘아들’의 개념과 그리스 종교들에 있어서 ‘아들’678
2. 공관 복음 전승679
3. 바오로 사도680
4. 요한 사도682
5. 신약의 다른 여러 작품들683
6. 예수의 입에서 드러나는 ‘아들’(Filius)의 칭호686
7. 최고의 그리스도론적 개념으로서의 ‘아들 됨’(filiatio)688
III. 선재(先在)694
1. 개념의 사전적, 근본적 실재들694
2. 출발점: 종말론적 계시자인 그리스도695
3. 두 개념의 구원적 의미: 선재 - 파견698
4. 요한 사도에게 있어서 선재701
5. 유다 전통에 있어서 사전 모델들703
6. 인격적인 의미에서의 선재705
7. 그리스도의 창조적 선재707
8. 인격적 선재와 선재의 다른 형태들710
IV. 강생711
1. 성경 본문들711
2. 말씀과 개념713
3. 인간의 자기 신화 또는 하느님의 자기 인간화716
4. 창조의 완성인 강생717
5. 불변하고 동요하지 않는 하느님의 사멸하고 고통받는 인간으로의 ‘변화’, ‘수난’, ‘교감’으로서의 강생722
6. 인간의 대단원과 충만으로서의 강생724
7. 강생: 순간과 영속, 활동과 상태726
V. 자기 비움(kenosis)728
1. 탄생에서부터 십자가에 이르기까지728
2. 예수의 역사적 자기 비움인가? 아니면 성자의 삼위일체 내적 자기 비움인가?731
3. 그리스도 실존의 세 가지 극과 결과적 구원론733
4. 구원적, 자기 비움적 강생의 동기와 목적 그리고 결과734
VI. 신성(神性)736
1. 아들 됨에서 신성으로736
2. 예수의 입에서 드러나는 용어들의 현존과 부재738
3. 하느님이신 예수를 호명하는 신약의 본문들739
4. 예수에게 적용된 용어의 의미741
5. 신약에서 니케아로: 예수의 아들 됨과 신성에 대한 기능적, 형이상학적 이해745
6. 니케아의 언급, 복음의 필연적 이식(利殖)749
7. 예수의 아들 됨에서 삼위일체로. 통교의 일신론751
VII. 하느님-인간752
1. 새로운 말씀: Deus et homo. 하느님/인간754
2. 강생, 구체적 사실 또는 보편적 신화758
3. 강생하신 하느님, 하느님과 인간에 대한 구체적 진리의 보장760
4. 신비로서의 강생762

제8장 구성: 인간이신 예수764
도입: 참하느님이자 참인간(Vere Deus et vere homo)766
I. 기원769
1. 그리스도의 여정의 상태들과 시기들769
2. 갈라 4,4: 여인에게서 태어나 율법 아래 놓이게 함772
3. 마태오-루카: 성령으로 인해 동정 마리아에게서 잉태되심775
3.1. 동정 잉태의 사실성777
3.2. 동정 잉태의 의미778
3.3. 그리스도교 신앙을 위한 규범성784
3.4. 강생에 있어서 성령의 활동과 성자의 활동 간의 관계787
II. 모습790
1. 필립 2,5-8: ‘하느님의 모습’-‘종의 모습’790
2. 예수의 보편성, 고유성, 개별성792
3. 예수: 유다인, 갈릴래아인, 나자렛인795
4. 유다인으로서의 그의 독특한 모습802
5. 그의 인성이 갖는 고유한 ‘위대함’804
III. 인격807
1. 근본적인 질문: 예수는 누구인가?807
2. 형이상학적 구성(존재)809
2.1. 새로운 용어들: 우시아(ousia), 퓌시스(physis), 휘포스타시스(hypostasis), 프로소폰(proso- pon)809
2.2. 동방과 서방에서 ‘위격’과 ‘위격적 결합’의 개념814
2.3. 어휘들의 내용과 그리스도께 대한 적용818
2.4. ‘위격적 결합’에 대한 현대의 해석(라너, 수비리, 라칭거)821
2.5. 존재적, 정적 이해 앞에서의 존재론적, 역동적 이해832
3. 그리스도의 심리적 구성(의식)836
3.1. 예수의 심리 이해에 대한 가능성837
3.2. 예수의 의식과 그가 ‘살았던 역사’840
3.3. 교부 시대와 중세: 그리스도의 세 가지 지식(지복직관, 주입적 지식, 획득적 지식)841
3.4. 근대: 자의식. 그리스도가 본 ‘자아’844
3.5. 라너의 제안848
3.6. 국제 신학 위원회852
3.7. 근본적인 결론들854
4. 그리스도의 윤리적 구성(자유)859
4.1. 완전한 인성 안에서 드러나는 의지와 자유859
4.2. 신약 성경에서 본 자유와 아들 됨863
4.3. 자유, 자성, 사명866
4.4. 예수의 무과오성867
4.5. 예수의 거룩함871
4.6. 삼중 은총(결합 은총, 개별 은총, 으뜸 은총)872
IV. 생애874
1. 시간 속에서 드러나는 하느님의 아들 또는 구체적인 강생874
2. 인격의 전기적 실현876
3. 그리스도의 나이, 품행, 신비878
4. 미래의 원형이신 부활하신 예수: 마지막 아담이자 새로운 인류883
5. 그리스도 인성의 영속886
6. 하느님과 우리 사이의 인격적 만남의 장소인 영광스럽게 되신 그리스도888
결론: 하느님의 인성과 인간의 신성890
제9장 사명. 구원의 중개자893
도입: 그리스도의 인격(그리스도론)과 그분의 업적(구원론)895
I. 구원과 구원의 중개자들897
1. 말씀과 구원 개념897
2. 형이상학적, 역사적, 종말론적 구원899
3. 구원의 인간학적 전이해(前理解)901
4. 구원자이신 그리스도903
5. 중개와 중개자들906
6. 새롭고 영원한 계약의 중개자909
7. 하강적 중개에서 상승적 중개로913
II. 그리스도 안에서 수여된 하느님의 구원914
1. “하느님에게서 그리스도를 통해 성령 안에서” / “그리스도를 통해 성령 안에서 성부를 향해”915
2. 역사 안에서 중개자이신 그리스도에서 형이상학적, 혁명적 중개로(계몽주의-헤겔-마르크스)916
3. 하느님의 구원 계획: 에페 1,3-14920
4. 구원 개념과 삼위일체적 현실화922
5. 죄의 권세와의 관계 하에서 구원928
6. 그리스도의 이중적 기능: 하느님에서 인간으로, 인간에서 하느님으로931
7. 근대 의식 안에서 구원론적 전망의 전환936
8. 구원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체험의 독창성과 단순함939
III. 구원론적 이론들: 바탕과 형태들941
1. 아담과 그리스도 사이의 상호 관계942
2. ‘연대-대리적 표상-대리’(Stellvertretung) 개념과 그리스도 안에 있는 인류944
3. 그리스도의 생애의 모든 단계에 있어서 그분의 구원적 실존950
4. 세 가지 구원론과 그리스도의 세 가지 ‘직무’953
5. 교회 역사 안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구원 개념들955
6. 오늘날 의혹 아래 있는 개념들: 대리, 속죄, 대속, 희생961
6.1. 대리962
6.2. 속죄964
6.3. 대속966
6.4. 희생969
6.5. 결론974
7. 신비, 교의, 이론들975
8. 구원론의 고전적 공리들976
IV. 구원의 보편화와 개별화980
1. 죄의 보편성과 그리스도의 구원980
2. 그리스도의 구원적 중개의 특징들984
3. 성령과 사도에 의해 실현된 그리스도의 구원990
4. 그리스도교적 구원과 세속적 구원997
5. 그리스도의 구원적 단일함과 구원론적 다원주의1003
6. 그리스도의 선교 제안에 대한 교육1009
결론: 그리스도 현현(顯現), 그리스도 테라피, 그리스도론1011
I. 그리스도 현현: 길이신 그리스도1018
II. 그리스도 테라피: 생명이신 그리스도1024
III. 그리스도론: 진리이신 그리스도1037
IV. 종결1042
부록 I: 20세기에 이룬 성과와 21세기의 과제들1046
I. 19세기에서 21세기로1047
1. 시기, 인물, 결정적인 제도1047
2. 21세기는 언제 시작되는가?1049
3. 미래의 가능한 또는 불가능한 프로그램화1052
II. 20세기의 그리스도론과 그 수용1053
1. 이전 상황에 대한 극복1053
2. 결정적인 성취1054
3. 새로운 그리스도론들의 한계들1063
III. 21세기의 그리스도론1068
마지막 성찰1086
부록 II: 최소 참고 문헌(2001-2012)1087
용어 색인1099
인명 색인1129
문헌 색인1142
명제 색인114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