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7월 무더운 여름날 진도 태양광(3MWp)발전소 현장소장으로 발령을 받아 첫 태양광발전과 만났고, 2008년에는 국내에서 가장 대규모인 김천 태양광(18.4MWp, 공사금액 1,400억 원) 발전소 건설공사에 참여하였다.
전기공학을 전공한 본인은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발전이 화석연료의 한계를 벗어나 지속될 수 있는 에너지 공급 체계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는 신념을 받을 수 있었기에 2009년에는 저자 본인의 1차 발전소를 기획, 인허가, 설계, 시공하여 28.8kWp 용연발전소를 준공하고 현재까지 발전차액지원제도에 의해 운영 중이다.
당시 태양광 분야에 대한 관심이 많아서 태양광 분야의 박사과정도 수료하였고 2020년에는 저자 본인의 1~4차(99.5kW 3기, 49.7kW 1기) 태양광발전소를 직접 준공하였으며, 용연태양광발전소와 같이 운영 중이다.
국내 태양광 시장은 지난해 1분기 1GW를 넘어서 분기 기준 사상 최고치를 기록, 3분기 누적 신규 태양광 보급 용량 3.28GW, 2020년 총 신규 보급 4GW 시대를 열었으며, 주요 시장조사 기관에서 2021년 20% 성장을 예상하여 올해는 5GW도 넘어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2021년 글로벌 태양광 시장도 전년 대비 20% 이상 증가한 150GW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며, 세계 경제가 안정화될 경우 2022년에는 200GW에 육박하는 수요가 발생할 가능성도 예상되다.
태양광발전시스템에 대한 공학적 기술이론 지식을 가지고 독립적인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및 건축물과 시설 등을 기획, 설계, 시공, 태양광발전설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유지보수 업무 등을 수행하는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산업기사(태양광)의 자격시험에 응시하는 수험생 여러분의 합격을 진심으로 바라며, 본서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미진한 점은 독자 여러분의 충고와 질책으로 계속 보완 해 나갈 것이다.
저자 이 후 곤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