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토록 어렵던 과학이 문학, 철학, 역사로 이해될 줄이야!
이성적 과학에 인문학적 감성을 채색하다
《과학의 위로》는 오랫동안 인문학 작가로 활동한 이강룡 저자가 마흔 무렵 스스로 과학 공부를 하며 느낀 과학의 위대함과 경이로움을 인문학적 시선으로 담아낸 책이다. 또 과학의 물리 법칙을 우리 일상에 적용해보는 철학적 시선도 제공한다. 그렇기에 이 책은 딱딱한 과학과는 아주 거리가 멀다. 읽다 보면 이것이 과학 책인지, 인문학 책인지, 역사나 철학 책인지 구분이 가지 않는다. 때론 감성적인 에세이로 둔갑해 저절로 페이지가 넘어간다.
그 어렵기만 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시간과 공간의 절대성을 다룬 칸트의 철학 체계와 비교되는 순간, “시간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신축성 있는 고무줄”이라는 상대성 원리가 바로 이해되는가 하면, ‘유전자-DNA-염색체-게놈’을 카세트테이프에 비유하는 글에서는 과거의 추억이 생각나는 동시에 생명학의 개념을 자연스럽게 알게 된다.
저자는 친구가 세상을 떠나자 더는 거문고를 연주하지 않았다는 고사성어 ‘백아절현(伯牙絶絃)’ 이야기로 소리와 주파수를 설명하고, 그리스 철학자 제논의 역설을 통해 무한급수의 개념을 재밌게 풀어준다. 또 인간의 기억 메커니즘을 다룰 때는 그리스 뮤즈의 신화까지 곁들인다.
어디 그뿐인가. 찰스 디킨스의 《두 도시 이야기》는 빛의 속성을 설명하는 이야기의 소재로 등장하며, 미우라 시온의 소설 《배를 엮다》의 대사 한 장면은 과학의 표준과 단위가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는 재밌는 비유로 쓰인다.
《과학의 위로》는 숫자와 기호, 수식부터 알아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던 과학 개념이 인문학적 지식과 문학적 비유, 그리고 철학적 지혜를 만나 자연스럽게 이해되는 경험을 선사한다.
우리가 다시 과학에 주목해야 이유는
세상과 삶을 더 사랑하기 위해서다
음악을 전혀 듣지 않아도 살아가는 데 지장이 없지만, 음악을 들으면 인생을 더 즐겁고 멋지게 향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과학을 몰라도 세상살이에 별로 지장은 없다. 하지만 우리 생활의 모든 것은 과학의 토대 위에서 이루어져 있기에 과학을 알면 세계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며 우리의 사고도 더욱 풍요로워진다.
작가의 말처럼, 감마선이란 단어를 보았을 때 체르노빌의 바이오 로봇을 떠올리면서 잠시 숙연한 마음을 갖는 것, 주유소에서 무연휘발유를 넣다가 납 성분을 배출하는 유연휘발유의 위험성을 널리 알리고 인류를 납 중독 위험에서 벗어나게 해준 물리학자 클레어 패터슨을 떠올리며 잠시 고마운 마음을 갖는 것, 이런 것이 어른의 과학일 것이다. 또한 1905년이라는 연도에서 을사조약을 떠올리는 동시에, 아인슈타인이 획기적인 논문들을 쏟아낸 기적의 해라는 사실을 함께 떠올릴 수 있다면, 우리 인생에서 1905년은 더욱 다양한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다.
천체물리학을 공부하면 우주의 광대함에 비추어 인간이 보잘것없는 존재임을 깨달을 수 있다. 아인슈타인 이론을 공부하다 보면 동시성이 없다는 과학 지식을 알게 되는 한편, 지금이 아니면 사라지는 ‘현재’를 충실히 살아가야 하는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즉, 문제풀이 과학이 아니라 이 세상에 과학이 존재하는 가치, 과학이 발견한 인류의 가능성, 과학이 말하는 삶의 의미 등을 살펴보고 사색할 수 있다.
자, 앞으로는 살면서 알쏭달쏭하고 고통스럽고 난해한 문제를 만났을 때 답을 미지수로 놓고 가능한 방정식을 찾아보자. 《과학의 위로》를 읽는 시간은 이 책의 부제처럼 “답답한 인생의 방정식이 선명히 풀리는 시간”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