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3세대 치료제(디지털치료제 전자약) 및 바이오의약품 기술 트렌드와 사업화 시장 전망

3세대 치료제(디지털치료제 전자약) 및 바이오의약품 기술 트렌드와 사업화 시장 전망

  • IRS글로벌
  • |
  • 아이알에스글로벌
  • |
  • 2023-03-02 출간
  • |
  • 489페이지
  • |
  • 210 X 297mm
  • |
  • ISBN 9791190870535
판매가

480,000원

즉시할인가

432,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32,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디지털 치료제ㆍ전자약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 전망

1. 비대면과 DX로 인한 의료 환경 변화
1-1. 비대면 시대의 의료 환경 변화
1) 글로벌 환경 변화
2) 의료 환경의 변화
(1) 디지털 시대의 의료산업
(2) 새로운 시대 비즈니스 화두‘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1-2.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의료 환경 변화
1) 데이터 생태계
2) 향후 의료 패러다임
3) 디지털 헬스케어의 진화
4) 기존 의료시스템과의 결합
5) AI와 의료 기술

2. 3세대 치료제(디지털 치료제ㆍ전자약) 기술 개요
2-1. 디지털치료제(Digital Therapeutics)와 전자약(Elecdtroceuticals)의 등장 배경
1) 3세대 디지털 치료제 기술 개요
2) 차세대 치료 방향
2-2. 디지털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기술 개요
1) 디지털기술과 의료의 결합 디지털치료제(DTx) 개념
2) 디지털치료제(DTx) 정의
3) 디지털치료제(DTx) 특징
4) 디지털치료제(DTx)의 주요 활용 분야
(1) 신경 퇴행성 질환
(2) 재활ㆍ물리치료
(3) 종양
5) 디지털치료제의 활용성
2-3. 전자약(Elecdtroceuticals)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 전망
1) 전자약 기술 개요
(1) 전자약 개념
(2) 전자약 정의
(3) 전자약 특징
(4) 전자약의 장단점
① 장점
② 단점
2) 전자약 기술개발 동향
(1) 본격적으로 개발
(2) 체외 부착형
(3) 체내 삽입형
3) 글로벌 전자약 시장 동향 및 전망
(1) 글로벌 시장 동향과 전망
(2) 주요 업체별 개발 동향
① Brainsway(미국)
② Abbott(미국)
③ NeuroSigma(미국)
④ Bioness(미국)
⑤ Boston Scientific(미국)
⑥ Cala Health(미국)
⑦ Novocure(미국)
⑧ Inspire Medical Systems(미국)
4) 국내 전자약 시장 동향 및 전망
(1) 국내 시장 동향과 전망
(2) 주요 업체별 개발 동향
① 와이브레인
② 리메드
③ 앞썬아이앤시
④ 싸이버메딕
⑤ 대양의료기
⑥ 뉴아인
⑦ 삼성서울병원
⑧ KT
3. 디지털 치료제와 전자약 기술개발 동향과 발전 방향
3-1. 디지털치료제와 전자약의 공통점과 차이점
1) 디지털치료제와 전자약의 공통점
2) 디지털치료제와 전자약의 차이점
3-2. 디지털 의료 시대를 위한 디지털치료제와 데이터
3-3. 디지털치료제의 목적
3-4. 디지털 치료법
1) 의료 제공 방식의 전환
2) 디지털 치료로 인한 변화
3-5. 디지털치료제 시장 동향과 전망
1) 글로벌 시장
2) 국내 시장
3) 연구개발 및 특허 동향
4) 디지털 치료제 제품 상용화 동향
(1) 질환별 주요 제품 출시 현황
(2) 국내외 디지털 치료제(DTx) 현황
3-6. 미국 도입 및 규제 현황 분석
1) 디지털 치료제 시장 개황
(1) 이용 상황
(2) 시장 동향
2) 디지털 치료제 정책 규제
(1) 소프트웨어 의료기기(SaMD)
(2) 사이버 보안
(3) 코로나19로 인한 영향
3) 디지털 치료제 도입사례 및 과제
(1) 병원 도입 사례
(2) 과제
① 디지털 치료제와 웰빙 시장의 혼동
② 디지털 치료제 효과 실증의 어려움
③ 가격 설정과 비용 상환의 최적화
④ 사용자의 인식
⑤ 디지털 치료제 도입 시의 유의점
4) 디지털 치료제 보험금 지급
(1) 메디케어ㆍ메디케이드
(2) 민간보험
5) 적용분야별 디지털 치료제 사례
(1) 소아 자폐 스펙트럼 장애
(2) 산후우울증
(3) 만성요통
(4) 류머티즘 관절염
(5) 알코올 사용 장애(AUD: Alcohol Use Disorder)
(6)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불안 및 우울증
(7) 심부전
(8) 섬유근통증
(9) 임산부의 니코틴 중독
(10) 만성 뇌졸중 보행장애
6) 관련 기업 사례
3-7. 디지털치료제의 파급력 및 발전 방향
1) 디지털치료제의 파급력
2) 디지털치료제의 발전 방향

4. 디지털치료 및 전자약 연구개발 동향 분석
4-1. 디지털치료
1) 분석절차
2) 연도별 연구 동향
3) 인용 상위 연구
4) 주요 단어 및 네트워크 분석
5) 주제 분석
6) 연구 주제별 평균 인용 수
7) 연도별 주요 학술지
8) 주제별 전망
9) 오픈엑세스 저널 비율
10) 펀딩연구의 비율
4-2. 전자약
1) 분석절차
2) 연도별 연구 동향
3) 인용 상위 연구
4) 주요 단어 및 네트워크 분석
5) 주제 분석
6) 연구 주제별 평균 인용 수
7) 연도별 주요 학술지
8) 주제별 전망
9) 오픈엑세스 저널 비율
10) 펀딩연구의 비율
Ⅱ. 바이오의약품 개발 동향과 시장 전망

1. 1·2세대 바이오의약품(biomedicine) 기술 개요
1-1. 정밀 의료서비스를 위한 바이오의약품
1)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바이오산업
2) 바이오산업의 발전
1-2. 바이오경제 시대 도래
1) 고령화 추세에 따른 바이오기술 부상
2) 바이오의약품(biomedicine) 기술 개요
(1) 바이오의약품(biomedicine) 개념
(2) 바이오의약품의 개발 이력
3) 합성의약품과 바이오의약품의 차이
(1) 합성의약품
① 시장 동향
② 제조 과정
(2) 바이오의약품
① 시장 동향
② 제조 과정
1-3. 바이오의약품 프로세스
1)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2) 바이오베터(Biobetter)
3) 바이오의약품의 분류와 특징
(1) 단백질의약품(Protein Therapy, 1세대 바이오의약품)
(2) 항체의약품(Monoclonal Antibody, 2세대 바이오의약품)
(3) 세포치료제(Cell Therapy)
(4) 유전자 치료제(Gene Therapy)
1-4. 제약산업의 변화
1) 바이오의약품 CMO(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2) 바이오의약품 CRO(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3) 바이오의약품 CSO(Contract Sales Organization)

2. 바이오산업(Bioindustry) 기술개발 및 시장 동향
2-1. 바이오산업(Bioindustry) 개요
2-2. 바이오산업 분야별 동향
1) 레드 바이오(Red Biotechnology, 의료/제약)
(1) 레드 바이오(Red Biotechnology) 개요
(2) 바이오 헬스케어
(3) 액체생검(Liquid biopsies)
(4) 인간세포도감(The Human Cell Atlas)
(5) 게놈백신(Genomic vaccines)
2) 그린 바이오(Green Biotechnology, 농업/식품)
(1) 그린 바이오(Green Biotechnology) 개요
(2) 작물보호제
(3) 유전자 재조합(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작물
3) 화이트 바이오(White Biotechnology) 산업
(1) 화이트 바이오(White Biotechnology) 개요
(2) 바이오 연료(biofuel)
(3) 바이오 플라스틱(bioplastic)
(4) 해양바이오(Sea Algae)
2-3. 바이오기술과 게놈데이터 분석
1) 게놈분석(Genome) 개요
2) 게놈분석 기술 동향
(1) 개인 유전정보 분석
(2) 유전체 기능 분석(functional genomics)

3. 바이오의약품 핵심기술 개발 동향과 시장 전망
3-1. 3세대 바이오의약품 개발 동향
1) 유전자치료ㆍ유전자세포치료
(1) 연구개발 분야별 주요 동향
(2) 신기술 개발 및 기술 토픽
(3) 핵심 과학기술 과제
(4) 주요국별 연구개발 현황 비교
① 미국
② 유럽
③ 중국
④ 일본
⑤ 한국
2) 재생의료 및 줄기세포치료
(1) 연구개발 분야별 주요 동향
(2) 신기술 개발 및 기술 토픽
① 고도로 초기화된 인간 다능성 줄기세포의 수립
② 엑소좀(세포외소포)
③ 다기능 줄기세포 임상시험 동향
④ 법 정비
⑤ 환자 유래 iPS 세포의 제약 이용
⑥ 다이렉트 리프로그래밍
⑦ 오가노이드
⑧ COVID-19와 간엽계 줄기세포
⑨ 이종 키메라를 이용하는 장기 재생법
⑩ 재생의료 제품의 평가
⑪ Cell and Gene Therapy Catapult(CGT Catapult)
⑫ 망라적 시그널 셀 분석을 위한 대형 프로젝트
(3) 핵심 과학기술 과제
(4) 주요국별 연구개발 현황 비교
① 미국
② 유럽
③ 중국
④ 일본
⑤ 한국
3-2. 주요 제품별 기술개발 동향
1) 단일클론성 항체(Monoclonal antibody, mAb)
(1) 암 치료용 단일클론 항체
(2) 임신진단키트
2) 이중항체(Bispecitic antibodies)
3) 인터페론(Interferon, IFN)
4) 인슐린(Insulin)
5) 혈액형성 및 혈액응고 인자
6) 에리트로포이에틴(Erythropoietin, EPO)
3-3. 뉴노멀 시대 의료산업의 변화를 이끌고 있는 AI 기반 비대면 의료
1) AI 기반의 신약개발
2) 팬데믹(pandemic)으로 인한 환경 변화
3) 미래 의료 방식 인공지능 기반 비대면 의료
3-4. 국내외 바이오의약품 시장 현황
1) 글로벌 시장
(1) 연도별 시장규모 및 비중 전망
(2) 국가별 시장점유율
(3) 주요 바이오의약품 순위 및 매출
(4) 주요 이슈 : 미국과 중국의 기술패권 경쟁
2) 국내 시장
(1) 시장 규모
(2) 기업 현황
(3) 주요 제품 현황
Ⅲ. 3세대 치료제 및 바이오의약품 국내외 마켓 데이터
1. 디지털 치료제ㆍ전자약
1-1. 디지털 치료제
1-2. 전자약
1-3. 디지털 헬스

2. 바이오 의약품
2-1. 글로벌 시장
2-2. 국내 시장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