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필수 과학책 「과학은 쉽다!」 개정판 출간!
★ 아침독서신문 추천 도서
★ 한우리독서운동본부 추천 도서
★ 줏대있는 어린이 추천 도서
2015년 첫 출간 이후 초등 과학책 베스트셀러로 자리매김한 「과학은 쉽다!」 시리즈 개정판이 ㈜비룡소에서 출간되었다. 「과학은 쉽다!」는 교과서를 통째로 담은 초등 과학 입문서로, 호기심을 자극하는 질문에서 출발해 초등 전 학년에 걸쳐 배우는 과학 교과서의 필수 주제를 쉽고 재미있게 재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각 권의 저자를 과학 교사, 과학 전문 기자, 과학 교육 콘텐츠 전문가로 선정해 초등학생 눈높이에 맞춰 과학 개념과 용어를 설명했다. “내가 무지막지하게 싫어하는 과학책을 잘 읽었다는 것은, 이 책이 정말 재미있다는 것이다.”(교보문고, ak**nge), “교과서에서 이해가 잘 안 된 부분을 확실하게 정리하는 책!”(예스24, 브***이), “과학을 어려워하거나 과학에 두려움을 가진 친구들에게 소개해 주고 싶다.”(알라딘, may***26) 등 이 시리즈는 특히 과학 공부를 시작하는 초등 1~3학년 어린이 독자들에게 뜨거운 반응을 얻으며 꾸준히 사랑받아 왔다.
□ 최신 정보와 이슈로 교과서 개념을 더욱 딴딴하게!
이번 개정판에서는 최신 교과 과정 및 최신 과학 이슈를 반영한 글과 그림으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1권 날씨와 기후 변화』에서는 최근 지구 온난화 이슈에 맞춰 한파와 폭염으로 큰 피해를 입은 지구촌의 사례를 다루었고, 이상 기후의 원인으로 꼽히는 ‘엘니뇨’에 더해 ‘라니냐’ 관련 내용을 추가했다. 『3권 우리 몸의 기관』에서는 최신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사람의 세포 수를 약 30조 개로 설명했고, 몸속 기관들의 특징을 보완하는 등 꼼꼼하게 검수했다. 또 ‘요오드’를 ‘아이오딘’으로 고치는 등 최신 교과서의 표기법에 맞추어 과학 용어를 수정했다. 2022년부터 검정 교과서로 전환된 초등 3~4학년 과학 교과서들의 달라진 연계 단원도 알 수 있다. 더불어 권별 제목을 교과서 주요 키워드로 간결하게 정리했다. ‘날씨와 기후 변화’, ‘생물의 분류’, ‘우리 몸의 기관’ 등 제목만 보고도 독자들은 교과 연계를 더욱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다.
□ 만화와 퀴즈로 놀이하듯 배우는 과학!
각 권의 시작은 주제를 맛보기 하는 짧은 만화로 열어 어린이들의 시선을 확 사로잡는다. 또한 주제와 관련한 심화 정보를 담은 ‘더 알아보기’, 내용을 잘 이해했는지 스스로 실력을 점검해 볼 수 있는 ‘도전! 퀴즈 왕’, 실제 초등학생들의 질문에 명쾌한 해답을 주는 ‘질문 있어요!’로 각 장을 마무리해 다양한 형식으로 지식을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다. 이 책은 어린이들이 어렵게만 느꼈던 과학에 쉽고 재밌게 다가가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교과 주제부터 첨단 과학까지, 과학 궁금증 해결!
앞으로 출간될 7권부터는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이슈와 아직 소개되지 않은 주요 교과 주제를 선보인다. ‘생태계와 환경’, ‘물질’, ‘유전’, ‘미래 공학’ 등 미래를 준비하는 어린이들이 궁금해할 만한 과학 지식을 알차게 담아낼 예정이다.
똑 닮은 고양이와 삵이 다른 동물이라고?
다양한 생물과 살아가려면 ‘생물 분류’가 필요해!
우리 주변의 동식물을 어떻게 구분하는지 알아보는 생물 책이다. 그간 동식물의 한살이를 다루는 책은 많았지만, ‘생물 분류’를 통해 생물 교과의 기본을 다져 주는 책은 드물었다. 이 책은 동식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관찰하고, 기준을 세워 분류하는 법, 또 오늘날 생물 분류의 바탕이 된 린네의 생물 분류법이 만들어진 과정까지 다양하게 담고 있다.
특히 생물의 ‘종’을 아이들의 눈높이에 알맞은 예시를 들어 설명하여, 까다로운 교과 개념도 쏙쏙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준다. 호랑이와 사람을 꼽아 생물 분류의 일곱 단계인 ‘종-속-과-목-강-문-계’를 보다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부분도 주목할 만하다. 아이들은 책의 예시를 통해 동물을 분류하는 기준을 스스로 생각해 보면서, 단순 암기를 넘어 생물 분류의 원리를 익힐 수 있다.
한편, 교과서에는 없는 생물 분류의 흥미로운 교양 상식까지 담았다. 유전자 분석을 통한 분류 방법이나 미생물을 분류하는 방법을 소개하며 생물을 분류하는 기준과 방법이 계속 발전해 나가는 모습을 알려 준다. 또한 멸종 동물과 멸종 위기 동물의 사례를 통해 생물 다양성의 중요성을 전한다. 결국 생물 분류를 학습하는 목적은, 다양한 생물에 대한 깊은 이해를 위한 일이며, 나아가 지구상의 수많은 생물과 함께 살아가기 위함임을 어린이 독자에게 알려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