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기완 선생을 추모하는 39명의 활동가들
전작 『백기완이 없는 거리에서』가 백기완 선생과 젊은 시절부터 함께하며 운동했던 동지와 친우들의 글이라면, 이 책 『기죽지 마라-우리가 백기완이다!』는 현장에서 운동하는 이들이 선생을 추모하는 마음을 담은 글이다. 자본가에 맞서 생명을 건 투쟁의 현장에서, 아이를 잃고 울부짖는 부모의 옆에서 선생은 늘 함께하셨다. 혹시라도 모진 말에 다치고 차가운 시선에 주눅들까 걱정하며, 선생은 늘 어깨를 툭툭 치며 ‘기죽지 마라! 당당해라!’ 이렇게 말씀하셨다. 백기완 선생의 생전을 회고하는 39명의 활동가들이 ‘백기와 선생과 나’는 어떤 인연과 만남으로 이어져 있는지 한 편 한 편 사연들을 담아냈다.
선생에 대한 그리움이 차곡차곡 쌓이다
백발의 불쌈꾼(혁명가) 백기완. 선생이 가신 지 벌써 두 해가 다가온다. 평생을 자본가와 권력에 맞서 싸운 선생이 마지막 남은 힘을 쥐어짜 쓴 글은 “노동해방” 네 글자였다. 자신의 생명을 걸고 완수하고자 한 것도, 지키고자 한 것도 노동 그리고 해방이었다.
백기완 선생 별세 두 해맞이 추모집은 노동운동의 최전선에 선 활동가들과 농민운동과 빈민운동 활동가, 연대 투쟁한 이들을 아울러 38인의 글로 꾸몄다. 그리고 노나메기 민중사상 연구소장 이도흠 선생이 머리글과 사진 에세이를 집필했다.
투박하지만 솔직한 39편의 글들이 모여 21세기 한국 노동운동사가 되었다. 돈도, 권력도, 무기도, 뒷배도 없지만 오직 자신의 결기와 동지들의 연대로 버티며 노동과 노동해방을 위해 투쟁한 기록들이다.
그동안 신자유주의 체제는 자본의 편에 서서 노동 유연성을 강화하고 비정규직·정리해고를 양산하며 공공영역의 사영화를 전면적으로 추진하고 노동자가 생산한 잉여가치를 착취하는 것으로도 모자라 금융부문에서 다양한 사기를 동원하여 수탈하였다. 그럼에도 이를 견제할 국가는 일방적으로 자본의 편에 서서 오히려 노동자 민중에게 물리적·문화적·구조적 폭력을 휘두르고 있다. 생존위기에 몰린 대다수 노동자와 농민, 빈민들은 운동을 하는 것이 목숨을 걸어도 승리하기 어려운 일이 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굴하지 않고 자본과 권력에 맞서서 맞장을 떴고 변화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그 자리마다 백기완 선생이 계셨다. 선생은 지치고 좌절했을 때 기죽지 말고 끝까지 투쟁하라는 선동가였고, 현안을 넘어 노동해방을 지향하라는 길눈이 스승이었고, 언제든 달려와 앞장서서 함께 연대하고 때로는 공감의 눈물을 펑펑 쏟는 동지였고, 어렵고 힘들 때마다 언제든 감싸 안고 다시 힘을 불어넣어주는 기댈 언덕이었으며, 길을 잃었을 때 먼저 길을 밝히고 뚜벅뚜벅 걷는 길목버선이었다. 이 책에는 39명의 ‘그들’과 함께한 백기완 선생의 분노, 눈물, 땀, 웃음이 있으며, 그런 선생에 대한 그리움이 차곡차곡 기억의 주름을 이루고 있다.
백기완
1933년 황해도 은율 구월산 밑에서 태어나 혼자 공부했다. 숱한 투옥과 고문에 의한 투병 속에서도 한평생 굽히지 않고 반독재 민주화운동, 해방통일운동, 민중운동에 이바지했다. 백범사상연구소·통일문제연구소를 설립하고, 한국 근현대 변혁운동의 사상적 뿌리를 항일민족해방운동에 두고 사상문화의 식민·분단 상태 극복에 힘쓰며 민중적 민족주의 사상, 너도나도 일하고 너도나도 잘 살되 올바로 잘 사는 노나메기 민중해방 사상을 정립하고 실천했다. 어머님과 숱한 민중적 알기들이 삶의 질곡을 넘던 비나리와 흥얼거림에서 민중적 미의식과 해방의 정서를 찾아내었으며, 아름다운 우리말 살리기 운동과 민족문화·민중문화운동의 줄기를 세우는데 힘썼다.
통일문제연구소장을 역임했다. 민중 대통령 후보, 민주노총고문 등 한국사회 변혁운동의 길눈이로서 ‘백발의 거리투사’ ‘불쌈꾼 할아버지’로 일컬어졌으며, 민중들의 영원한 벗으로 우뚝했다. 2021년 고문 후유증과 급성폐렴으로 한살매를 마감했다.
지은 책으로 『자주고름 입에 물고 옥색치마 휘날리며』 『장산곶매 이야기』 『벼랑을 거머쥔 솔뿌리여』 『우리 모두가 함께하는 백기완의 통일 이야기』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두 어른』 『버선발 이야기』와 시집 『젊은 날』 『이제 때는 왔다』 『백두산 천지』 『아! 나에게도』 등이 있다. 아시아와 세계에서 울려퍼지는 〈임을 위한 행진곡〉은 그의 시 「묏비나리」에서 노랫말을 만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