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평가 및 분석기법〉은 중대재해처벌법과 공정안전관리(PSM)에 기반한 위험성평가 기법들을 우선적으로 선별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바쁜 일과를 소화하면서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기업 관계자를 위해 현장 중심의 응용사례를 모아, 되도록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본 도서는 PSM 대상 기업은 물론, 그 외 많은 중소기업의 안전 관련 기술자가 회사의 위험성을 평가하고 분석하는 데 부족함이 없도록 하였으며, 좀 더 기술적이고 전문적인 위험성평가 및 분석기법까지도 이해하고 응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더 나아가 우리나라의 사업장 안전관리 수준을 한 단계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 실질적인 재해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번 개정판에는 최근에 국토교통부 고시로 정한 설계안전성검토(Design For Safety) 기법을 추가하고, 관련 법이나 인용된 옛날 자료들을 최근 자료로 정리하였다. 특히 방호계층분석(LOPA)은 안전조치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기법으로, 최근 들어 사용빈도가 높아지고 있어 일부 내용을 수정하고 응용사례를 재정리하였고, 사고결과분석(CA)에서 유료 프로그램이기는 하지만 기업의 선호도가 높은 응용프로그램인 PHAST를 보완하여 소개하였다.
또한 위험성평가의 위험도 산출 시 대부분의 기업 현장에서는 빈도 및 강도 계산을 산재발생현황만을 참고하고 있어 거의 모든 작업과정의 위험도가 저평가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안전관리가 필요하지 않거나 시급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부작용을 개선하기 위해 빈도 및 강도 산출 방식을 보완하였다.
최근에 산업안전보건법과 시행령, 시행규칙이 전면 개정되면서 벌칙이 대폭 강화되고, 근로자의 안전보건 문제는 물론 사업장 인근에서 불특정 다수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중대산업 사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이 책이 문제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이 책의 특징
1. 현장 중심의 응용사례를 모아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
2. 설계안전성검토(Design For Safety) 기법 추가
3. 방호계층분석(LOPA) 기법의 응용사례 정리
4. 사고결과분석(CA) 기법 및 프로그램 활용법 소개
5. 위험성평가의 빈도 및 강도 산출 방식 보완
6. 최근 국내외 중대산업사고 사례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