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ㆍ손광주
현재 (사)한반도선진화연대 이사장이다. 통일부 남북하나재단 이사장,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자문연구위원, 국제문제조사연구소 이념연구센터장, 통일정책연구소 연구위원, 황장엽 선생 연구비서(11년 6개월), 데일리NK 창간 편집인, 동아일보 기자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김정일 리포트》 등이 있다.
ㆍ이지수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이자 부설 국제한국학연구소 소장이다. 서울대 정치학과에서 공부하고, 아직 소련이 사라지기 전, 1991년부터 2000년까지 모스크바의 (전)소련공산당, 연방 외무성 등지의 고문서실들에서 자료조사를 하고, ‘소련의 북한 정책(1945 ~1948)’을 주제로 박사논문을 방어했다(2000년). 소련과 북한의 관계사와 북한정치사를 주로 공부하고 있다. (공)저서로는 《푸틴의 야망과 좌절》 등이 있다.
출판사 서평
김여정을 깊이 있게 다룬 책이 최초로 출간됐다. 마키노 요시히로 아사히신문 기자가 쓴 《김정은과 김여정》한국판이 그것이다.
마키노 기자는 2007년 아사히신문 한국 특파원 근무를 시작으로 북한 문제를 다뤄왔다. 마키노 기자는 현장 취재를 중시하는 신문 기자다. 이런 과정에서 북한이 기자 개인(마키노 요시히로)의 이름을 거명하며 공격하는가 하면, 문재인 정부 때에는 "청와대 무기한 출입 금지 처분"도 받은 바 있다. 문재인 정부에 신랄한 비판 기사를 쓴 것에 대한 문재인 정부의 화답이었다.
이 책에는 그의 광범위한 취재에 힘입어 오늘의 북한 이야기가 대단히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김여정이 정치에 참여하게 된 계기, 김정남 암살의 내막, 김정남과 고용희의 권력투쟁, 장성택과 고용희 세력 간의 암투, 외무성 최선희라는 인물과 3층 서기실의 관계, 국가정보원과 김정남의 접촉, 박근혜 정부의 ‘김정은 암살 작전’, 하노이 미·북 정상회담의 결렬 내막 등 일반인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내밀한 이야기도 담고 있어 관심을 끈다.
이 책은 김정은의 통치 이후 권력의 전면에 나선 김여정 당 부부장을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2008년 8월 김정일이 뇌졸중으로 쓰러졌을 때, 사정을 알았던 사람은 김정일의 주치의 등 의료진 외에는 내연녀였던 김옥, 장성택과 김경희 부부, 김정은과 김여정 삼남매 등 육친에 한정돼 있었다. 당시 김정일은 자신의 생명이 얼마 남지 않아 살아 있는 동안에 권력 승계를 마무리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김정은으로의 승계 작업을 추진했다. 그때 김여정은 “자신도 정치의 세계에 몸담고 싶다.”라고 아버지 김정일에게 호소했다고 한다. 김정일이 사망할 때까지 공개적인 활동에 나서지 않던 김여정은 김정은이 권력을 승계하자 북한 정치의 전면에 등장하여 북한 내부 권력과 대외적 활동을 주도하기 시작했다.
백두혈통 김여정은 독특한 존재이다. 당대회에서 최고지도자를 대신해 발표하는가 하면, 김여정이 연단에서 김정은의 지도력과 고생담이 담긴 애민정치 사례를 말하자 조선중앙TV는 곳곳에서 눈물을 흘리는 참가자들의 모습을 보여줬다. 로열패밀리 김여정에게 카리스마를 부여하는 연출을 한 것이다. 2인자를 용납하지 않는 북한에서 김여정의 존재를 부각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김여정의 권위를 키우는 것은 김정은의 건강이 불안하기 때문이다. 북한 권력의 핵심부에 있는 인물 중 김정은이 확실히 믿을 수 있는 것은 백두혈통 김여정뿐이다.
북한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는 여러 방면으로 확인되고 있다. 다만 황장엽, 태영호 등 북한 고위급 인사들의 폭로에도 불구하고 북한 핵심 권력의 은밀한 정보는 여전히 제한적이다. 그나마 북한 정보를 상대적으로 많이 파악하고 있는 대북 정보기관들의 경우, 상세한 정보는 정보원 노출의 위험 때문에 쉽게 공개할 수 없고, 제한된 첩보는 정책에 참고가 될 정보 수준으로 전환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북한 문제를 제대로 파악하고 대응책을 구하려면 북한 체제에 대한 이론적 기초가 잘 준비되어 있어야 하고, 그다음에는 반드시 사실관계와 현장 확인이 중요하다. 특히 북한을 구(舊)공산권 전체주의 수령독재의 ‘원형 화석’(原型 化石)에 비유할 수 있으므로,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역사적 맥락과 ‘현재의 김정은’에 대한 연구와 정보 분석이 비할 데 없이 중요하다. 그런 관점에서 북한의 내부 상황 및 김정은·김여정에 대한 사실관계와 현장 정보를 충실히 담고 있는 이 책은 매우 흥미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