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자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는 정체성에 문제 입니다 ”
“가장 아름다운 목회자는, 태도가 아름다운 목회자입니다”
류승동 목사는 오늘도 광야의 외치는 소리로 한국교회를 향해 외친다. 그 외침은 한권의 책이 되어 오늘 잉태했다. 이 책은 권위주의적 교회와 목회자들에게는 가슴이 서늘해질 만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그 메시지는 모두가 불편해 하는 말일수도 있고, 모두가 그리워했던 말일수도 있다. 류승동 목사는 고난을 대하는 목회자의 태도에 대해서 조목 조목 가르침을 주고 있다. 목회자의 개인의 힘듦에 관하여, 사역의 힘듦에 관하여, 비전의 힘듦에 관하여, 관계의 힘들에 관하여, 무엇보다 10년 뒤 한국교회의 모습을 예언자 적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미사여구식의 가르침이 아니라, 단단한 목회철학 안에서 뿌리내리고 움튼 가르침이다. 이 모든 가르침은, 류승동 목사의 경험을 통해서 토해져 나온 가르침이다. 그렇기에 울림이 크다. 분명 고난을 대하는 모든 목회자들의 이들의 이정표가 될수 있다고 확신한다
기독교 안에서는 멋진 말, 맞는 말을 하는 사람은 너무 많다. 그러나 말과 입술의 일치가 아닌, 말과 몸이 하나가 되어 메시지는 만들어내는 사람은 너무 적다. 저자는 자신의 말을 자신의 몸으로 끌어안아, 모든 모습 속에 메시지를 전한다. 저자의 앞모습에서 빛나는 모습은, 뒷모습속에서 더 빛난다. 그것은 저자가 스스로 증명해낸 목회의 내력과 교회의 이력이, 말해준다. 단순히 저자가 사역했던 교회들이 부흥이 되었다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분명 저자는 모든 각도에서 온 고난을 이겨낸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 모든 이야기들이 한권의 책으로 정리되었다. 저자가 이 책을 쓰는 이유는 자신의 이름을 위해서 쓰는 것이 결코 아니다. 한결같은 말과 마음으로, ‘내일의 목회자들’을 위해서 쓴다 라고 한다. 저자에게는 ‘내일의 목회자들’을 향한 무한한 사랑이 있다. 그래서 이 책은 그들이 궁금해 할만 한 이야기들로 가득 적혀 있다. 이 책으로 인해 ‘내일의 목회자들’에게 조금의 가르침이라도 허락된다면, 저자의 욕심은 충분히 채워진 것 이고, 이 책의 소임은 다 한 것 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