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전체 산업 사망만인율이 0.43(828명)인 것에 비해 건설업은 1.75(428명)에 달해 과거 정부에서 추진한 2022년까지 산업안전분야 사망 절반 줄이기 목표달성은 요원한 희망사항이 되어버렸으며, 특히 2020년은 이천 물류창고 화재로 38명이 사망함에 따라 건설업 사망만인율이 2.0을 기록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건설재해 외에도 2022년 발생한 이태원 압사사고는 대한민국 모든 국민에게 안전의식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되새기도록 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최근에도 산업현장 분야를 막론하고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되는 점을 상기해 보면 안전한 사회, 안전한 산업현장은 상투적인 안전의식 고취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 보다 전문적인 기술적 차원으로 접근해야 할 사항이라고 인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식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2022년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며 건설업은 물론 국내 전 산업계에서 근로자 안전이 가장 중요하다는 인식이 강화되며 정부와 국민의 안전의식 향상과 함께 건설안전기술사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자격증의 가치는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 건설안전기술사의 응시 수험생 규모도 급증하고 있음을 수험생 여러분도 잘 아실 것입니다.
건설안전기술사는 다른 종목보다 학습 분야가 방대하며, 난이도 또한 높아 가장 어려운 시험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험생 여러분은 본 교재를 토대로 학습하되 절대 단순 암기형태의 학습은 피해야 함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완벽한 이해가 뒷받침되지 못한 지식은 시험장에서 절대 답안작성으로 이어질 수 없기 때문입니다.
본 교재는 이러한 요구조건에 맞추어 이해하기 쉽게, 답안작성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획하고 편집하였습니다. 다시 한 번 당부 드리자면, 건설안전기술사 시험은 단순 암기로는 결코 합격할 수 없음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수험생 여러분의 합격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