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농상의식촬요 역주

농상의식촬요 역주

  • 노명선
  • |
  • 신서원
  • |
  • 2022-11-12 출간
  • |
  • 309페이지
  • |
  • 152 X 225mm
  • |
  • ISBN 9788979405606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4,25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4,2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농상의식촬요(農桑衣食撮要)」는 농업과 양잠이 곧 만백성 의식(衣食)의 근원이라는 요지를 담은 농서로서, 1314년[延祐 元年]에 원대 노명선(魯明善)이 월령형식으로 편집하여 근세의 여명기에 나타난 재배작물의 실태와 농민의 일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본 역주서의 저본은 왕위후[王毓瑚] 교주(校註)의 「농상의식촬요(農桑衣食撮要)」(중국농업출판사, 1962)이며, 중국에서조차 아직 본서의 번역서가 출간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출판의 의의가 있다.
저자 노명선의 행적은 「원사(元史)」에 열전이 없어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그의 막료인 장률(張㮚)의 서문에 의하면, 노명선은 위구르인으로 이름은 철주(鐵柱)이고 명선(明善)은 그의 자라고 한다.
자서 속에 나타난 저자의 저술 동기는 한 마디로 농민에게 의식(衣食)의 근본인 농상(農桑)을 익히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생각은 부를 창출하고 풍족한 식용의 길을 찾아 위로는 부모를 섬기고 아래로는 자식을 양육할 바탕을 마련할 수 있고, 의식이 족해지면 예의로써 교화할 수 있으며, 그렇게 되면 국가와 천하는 오랫동안 안정되고 평화가 유지될 수 있음에 기반하고 있다. 그래서 장률이 서문에서 지적한 것처럼 평소에 일용의 근본 도리를 알지 못하는 어린이와 노인일지라도 한번 보면 바로 알 수 있도록 책을 구성하여 백성의 근본을 굳건하게 하고자 했다. 더구나 천시(天時)와 지리(地利)에 따라 농업에 종사하고, 본서를 널리 다른 지역에까지 보급할 것을 바랐던 것을 보면 저자의 농민 의식(衣食)에 대한 관심과 관리(官吏)로서의 책임의식을 느낄 수 있다.
본서의 구성은 상하 2권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상권은 정월에서 6월까지이고, 하권은 7월에서 12월로 되어 있다. 각 권은 월별로 농사일을 다양하게 편성하고 있는데, 상권의 경우 3월(전체 농사일의 18.4%), 2월(14.5%), 정월(12%), 6월(10.1%)의 순으로 농사일이 집중되어 있고, 하권은 12월(7.2%), 9월(6.3%), 8월(과 10월: 5.8%)의 순으로 농사일이 배열되어 있는데, 재배와 작업의 가짓수만으로 헤아리면 전반기(1-6월)의 양이 68.6%로서 후반기의 31.4%보다 2배 이상 많다. 봄, 여름에는 각종 곡물, 과수 및 야채 파종과 김매기, 치즈나 버터와 초(醋) 등의 가공식품의 제조와 누에치기에 주목했고, 가을과 겨울에는 수확과 저장, 보수(補修)와 나무 베기, 야채절임 등의 작업이 많았다. 특히 12월과 1월에는 납육(臘肉), 기름 제조, 수리와 정비작업 등이 집중되어 있다.
본서의 저술시기가 원대였던 것은 주목할 만한 특징 중 하나이다. 송원대는 시대구분상으로도 당송의 변혁기를 거쳐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는 시점이며, 이러한 현상은 농서 상에도 반영된다. 우선 일상을 제시한 월령형식도 차이를 보인다. 기존의 「예기 ㆍ 월령」, 한 대(漢代)의 「사민월령」, 당대(唐代)의 「사시찬요」와는 달리 본서는 자영농민의 민생에 필요한 생산 활동을 총결한 가이드북의 성격이 강하다.
특히 저자 노명선이 서북지역 출신으로 본서를 집필하면서 자연스레 한족 노농(老農)들의 생산경험과 서북 소수민족의 생산경험을 총결했을 것이며, 그렇게 정립된 농업기술과 생산방식이 재차 외부로 전파되는 데 가교 역할을 했던 것이다.
필자는 본서를 역주(譯註)하면서 「농상의식촬요」를 가운데 두고 이전 단계 농서와의 수용과 변화를 살피고, 이를 통해 원대 농촌과 농민 그리고 농업의 일상을 들여다보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송원시대에 정착된 이들 기술이 외부로 어떻게 전파되고 수용되었는지를 조선의 농서와의 비교를 통해 살폈다. 따라서 본 역주서는 중국 고중세의 농업이 근세를 거치면서 어떤 모습으로 변했으며, 인접한 조선의 농업에는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농상의식촬요」를 연구하면서 주목해야 하는 또 다른 점은 바로 판본(板本)의 문제와 그 판본을 수집하고 정리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경주한 왕위후[王毓瑚]의 업적이다. 「농상의식촬요」의 판본과 관련된 문제는 본 역주서에 실린 왕위후의 서언[引言]에 잘 담겨있다. 왕위후는 본서를 정리하면서 명나라 때 판각한 ‘농상촬요본(農桑撮要本)’을 가장 중심으로 삼았는데, 그 이유는 명대 각본의 내용이 비교적 완전하고 착오가 적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왕위후는 그의 서문에서 “본서의 교정 작업은 진실로 원서의 면모가 보존되어 여러분들이 참고하기를 바랄 뿐이다.”라고 하여 복원된 원서의 보존을 염원하고 있다.

목차

ㆍ역주자 서문 5
ㆍ일러두기 12


〈서 언〉
노명선 자서(魯明善自序) 23
장률서(張㮚序) 27
전보당서(錢保塘序) 31


〈농상의식촬요 권상〉
ㆍ 정월(正月)
1-1 원단에 은혜 보답하기[元旦酬恩] 37
1-2 정월 초하룻날 아침 점험하기[驗歲朝] 38
1-3 정월에 풀로 점치기[驗歲草] 39
1-4 소 기르기[教牛] 40
1-5 나무시집보내기[嫁樹] 41
1-6 각종 과실수와 나무 옮겨심기[移栽諸色菓木樹] 42
1-7 각종 과실수와 나무 거세하기[騸諸色菓木樹] 44
1-8 뽕나무 옮겨심기[栽桑樹] 44
1-9 각종 나무 옮겨심기[移栽諸樹] 45
1-10 수양버들 파종하기[種柳] 47
1-11 뽕나무 가지치기[修桑] 48
1-12 삼 파종하기[種麻] 49
1-13 가지 ㆍ 박 ㆍ 동아 ㆍ 호리병박 ㆍ 오이 ㆍ 울외 파종하기[種茄匏冬瓜葫蘆黃瓜菜瓜] 50
1-14 토란 모종 심기[種芋秧] 51
1-15 각종 과실수와 나무 가지치기[修諸色菓木樹] 53
1-16 파 ㆍ 부추 ㆍ 염교 파종하기[栽葱韭薤] 53
1-17 노랑선씀바귀 ㆍ 상추 ㆍ 생채 ㆍ 4월갓 심기[種苦蕒萵苣生菜四月芥] 54
1-18 소두장 담그기[盦小豆醬] 56
1-19 농기구 수리하기[修農具] 57
1-20 담장 쌓기[築牆圍] 57
1-21 도랑 치기[開溝渠] 58
1-22 잠실 수리하기[修蠶屋] 58
1-23 집 누수 정비하기[整屋漏] 58
1-24 각종 꽃 옮겨심기[移栽諸般花窠] 58
1-25 잠박 짜기[織蠶箔] 58

ㆍ 이월(二月)
2-1 월내삼묘(月內三卯) 61
2-2 경칩일(驚蟄日) 61
2-3 묵은 오디 파종하기[種舊椹] 62
2-4 각종 과실수 묘목 만들기[籖諸色菓木] 63
2-5 찰기장과 메기장 파종하기[種黍穄] 64
2-6 산초 파종하기[種椒] 67
2-7 차 파종하기[種茶] 68
2-8 수박 파종하기[種西瓜] 69
2-9 호리병박 ㆍ 오이 ㆍ 울외 ㆍ 동아 ㆍ 가지 파종하기[種葫蘆黃瓜菜瓜冬瓜茄子] 70
2-10 닥나무 파종하기[種穀楮] 71
2-11 연뿌리와 연밥 심기[種藕蓮] 72
2-12 대추나무 파종하기[種棗] 74
2-13 찻잎 따기[摘茶] 75
2-14 무 ㆍ 숭채 파종하기[種蘿蔔菘菜] 75
2-15 접시꽃 파종하기[種蜀葵] 76
2-16 부용 꽂기[插芙蓉] 77
2-17 대비두 파종하기[種大豍豆] 77
2-18 뽕나무 가지 휘묻기[壓桑條] 79
2-19 잇꽃 파종하기[種紅花] 79
2-20 흑완두 파종하기[種豌烏豆] 79
2-21 조각자나무 심기[種皁莢] 80
2-22 댑싸리 곧 독소 파종하기[種苕箒卽獨掃] 81
2-23 은행 파종하기[種銀杏] 81
2-24 차조기 파종하기[種紫蘇] 83
2-25 암삼씨 파종하기[種麻子] 83
2-26 들깨 파종하기[種蘇子] 84
2-27 포도나무 꺾꽂이하기[插蒲萄] 86
2-28 각종 과실수 접붙이기[接諸般菓木] 88
2-29 요접하기[腰接] 90
2-30 뿌리 접붙이기[根接] 90

ㆍ 삼월(三月)
3-1 월내삼묘(月內三卯) 93
3-2 냉이꽃 거두기[收薺菜花] 93
3-3 콩 파종하기[種大豆] 94
3-4 모판 쟁기질하기[犂秧田] 95
3-5 벼 종자 담그기[浸稻種] 95
3-6 조 파종하기[種粟穀] 97
3-7 마 파종하기[種山藥] 98
3-8 아욱 파종하기[種葵] 101
3-9 고수 파종하기[種香菜] 101
3-10 토란뿌리 파종하기[種芋子] 102
3-11 모시풀 파종하기[種苧麻] 103
3-12 지치 파종하기[種紫草] 105
3-13 찰기장 파종하기[種秫黍] 105
3-14 쪽 파종하기[種藍] 107
3-15 청대 파종하기[種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