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대만불교의5가지성공코드

대만불교의5가지성공코드

  • 불광연구원
  • |
  • 불광출판사
  • |
  • 2012-08-06 출간
  • |
  • 456페이지
  • |
  • ISBN 9788974790325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3,000원

즉시할인가

20,7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0,7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머리말 대만불교에 길을 묻다

1. 대만불교의 역사와 신흥 4대종문
◆ 대만불교의 역사와 신흥 4대종문 - 김응철
대만의 역사와 문화적 특징
대만불교의 개괄적 특성
대만불교의 주요 지도자와 4대종문의 스승들
◆ 중국불교, 날개를 달다 - 마르쿠스 빈겐하이머
대만불교의 역사적 배경
90년대 대만의 불교단체
불교 교리와 불교학의 발전 현황
맺음말

2. 대만불교의 발전과정과 특징
◆ 대만불교의 현황 고찰과 중국불교에 대한 전망 - 서대원
근대 중국불교에 대한 회고
대만불교의 현황
중국불교로의 회귀
◆ 대만불교의 성장과정과 특징 - 양정연
대만불교의 변천
포광산 교단의 창건과 이념
포광산 교단의 활동 및 현황
포광산 교단의 특징

3. 대만불교의 실천이념과 제도
◆ 대만불교의 실천이념에 대한 고찰 - 김호성
대만불교의 이념적 뿌리
타이쉬(太虛)의 인생불교(人生佛敎)
대만 삼대산(三大山)의 인간불교
계기계리의 다양한 변주
◆ 대만 사찰의 교육체계와 인재육성 제도 - 양정연
대만불교 불학원
포광산사 교육 내용
대만 불교교육이 특징
◆ 대만불자의 계율정신과 윤리의식 - 서대원
지계(持戒)와 소식(素食)
대만불교의 지계와 소식
지계와 소식의 사회적 필요성

4. 대만불교의 사찰운영과 신도조직
◆ 대만 사찰의 재정 운영체계 및 불사 추진양태 - 김응철
대만불교의 변천과정과 사찰분포
대만 사찰의 재정운영 원리와 체계
한국불교와의 유사점과 차이점
◆ 대만불교의 신도 조직 쳬계와 재가자의 위상과 역할 - 박인석
포광산사의 신도조직 체계와 운영방법
츠지공덕회(慈濟功德會)의 회원조직 체계와 운영방법
자원봉사자의 배출과 활용
신도조직화와 도심포교

5. 대만불교의 사회활동과 포교
◆ 대만불교의 사회 활동 - 박인석
츠지공덕회의 사회활동
파구산의 사회교육활동
포광산사의 자선활동
보살도의 사회적 실천
◆ 대만불교의 전법과 포교 활동 - 이상미
대만불교 간략사
대만불교의 미래와 법맥의 전승
대만불교의 포교 활동
자선과 봉사의 포교 활동

6. 대만불교의 여성 활동
◆ 대만 비구니 스님들의 무궁무진한 세계 - 엘리스 앤 드비도
대만 비구니 스님들의 ‘무궁무진한 세계’
질문의 연속
왜 비구니가 되는가?
페미니즘의 문제
◆ 공덕과 어머니의 보살핌 - 첸위 줄리아 황, 로버트 P. 웰러
츠지공덕회에 대한 간략한 소개
여성의 종교적 선택
츠지공덕회, 중국의 자선 사업 전통, 그리고 국가
여성과 자선: 서양과의 비교

7. 대만불교의 성공요인과 한국불교의 성찰
◆ 대만불교 지도자의 리더쉽에 대한 고찰 - 김호성
‘대만불교의 르네상스’, 그 원동력은?
리더십 이론의 관점에서 본 평가
불교사상의 관점에서 본 평가
관음적 리더십의 전범
◆ 대만불교의 성공요인과 한국불교의 성찰 - 김응철
대만불교의 현재 위상
대만불교의 성공요인
한국불교의 성찰과 시사점

* 대만불교사 연표

도서소개

대만불교를 있게 한 정신적 원동력! 대만불교는 최근 반세기 동안 도심을 중심으로 급속히 성장하여 현재 인구의 80%가 불교신자라고 한다. 『5가지 성공 코드』는 급속도로 성장한 대만불교의 이면을 들여다보기를 시도하여 다방면에 걸쳐 수행하였던 연구의 결과물이다. 이 책은 불교 전문 학자들이 대만 현지 조사에 근거하여 대만불교의 발전과정과 현황을 살펴본 글들로 채워져 있다. 지도자의 리더십, 실천 이념, 사찰 운영 방식, 인재육성 및 교육체계, 도심포교, 여성의 참여 등에 관하여 다각적으로 논하고 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자신의 깨달음만을 위한 삶이 아니라 중생의 삶 속으로 뛰어들어 헌신적으로 봉사하는 보살행을 발전의 요소로 꼽는다. 신도의 결속과 헌신적 봉사, 자발적 참여의 촉진이 도심포교 성공의 비결임을 일깨우며, 한국불교도 대만의 전략을 참고하여 성장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대만에 불교는 17세기 중엽 공식적으로 전래되었는데, 다른 종교와 습합된 기복적인 신앙형태가 많았으며, 민간신앙과 결합된 도교와 유교 등 전통종교의 뿌리가 깊은 곳이었다. 청일전쟁 후 50년 동안 일본의 식민통치를 받다가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으로 독립하였으나 1949년 국공내전에서 패한 국민당 정부가 건너와서 오랫동안 1당 독제체제하에 있었으며, 지배층의 지지를 받던 기독교의 세력이 강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과거의 일이다.
1960년대 이후 대만불교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대륙의 전통불교가 유입되면서 승풍이 진작되고 위의가 강화되었으며, 계행의 실천에 대한 긍정적 평가로 인하여 승가에 대한 사회적 위상이 높아졌다. 그러나 불교의 사회적 실천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이런 와중에 전통불교와는 다소 다른 새로운 불교 운동이 대만에서 발생하는데, 이른바 신흥 4대종문이다.

포광산사, 츠지기금회, 파구산사, 중타이산사 등 신흥 4대종문의 등장
신도 100만 명, 전 세계 33개 국가 200여 분원을 운영하며, 『불광대장경』과 『불광대사전』을 편찬한, 싱윈(星雲) 스님의 포광산사(佛光山寺). 전 세계 400만 명의 회원을 자랑하는 국제적인 구호 단체인, 정옌(證嚴) 스님의 츠지공덕회(慈濟功德會). 중화불학연구소, 파구산불교대학 및 불교대학원을 통해서 한전불교(漢傳佛敎) 연구를 촉진시키고, 수준 높은 불교교육과 전법 인재를 양성하는, 성옌(聖嚴) 스님의 파고산사(法鼓山寺). 1천여 명의 출가자와 수십만의 재가자가 동참하며 중국 선종의 중흥을 꾀하며, 세계 최대의 선종 도량을 건립한, 웨이줴(惟覺) 스님의 중타이찬사(中臺禪寺)가 바로 그 신흥 4대종문이다.

전문 학자들의 현지 조사와 자료에 근거한 대만불교의 현황과 성공 요인에 대한 연구
불광연구원의 주도로 중앙승가대 김응철 교수, 동국대 김호성 교수, 동국대 박인석 HK연구교수, 충북대 서대원 교수, 한림대 양정연 연구교수, 국립대만대학교 이상미 겸임교수 등 전문 학자들이 대만 현지 조사와 정밀한 자료에 근거하여 2차례의 세미나와 함께 1년여 동안 연구·분석하였다. 비약적으로 발전한 이들 신흥 4대종문을 중심으로 대만불교의 발전과정과 현황을 5가지 중요 코드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① 지도자의 리더십과 ‘인간불교’의 실천이념, ② 투명한 사찰 운영 방식과 체계적인 신도 조직, ③ 현대적인 교육체계와 적극적인 인재육성, ④ 활발한 전법과 도심포교, ⑤ 여성의 적극적인 참여 등으로 나누어 모두 15편의 글을 통해 대만불교의 발전 요인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세계 대승불교권을 이끌어가는 견인차, 대만불교
이들 신흥 4대종문은 오랜 역사와 전통문화를 보유한 사찰을 근거로 성장한 것이 아니라, 최근 반세기 동안 도심을 중심으로 급속히 성장하여 대만 인구의 80%가 불교신자가 되었다. 아시아의 사룡 중 하나로 발돋움하던 신흥공업국 대만의 경제적 성장과 더불어 활발한 사회 활동을 벌이며 등장한 신흥 4대종문은 20세기 중반 대만불교계에서 일으킨 새로운 흐름의 불교다. 대만불교는 국내에만 안주하지 않고 활발하게 세계 각국으로 진출하며 티베트불교와 함께 세계 대승불교권을 이끌어가는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대만불교의 발전과정 연구에서 다른 국가의 불교 발전 방향 수립에 필요한 여러 가지 시사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