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전 기법으로 만들어진 할머니의 이불장
사라져 가는 전통문화를 친근하게 접하는 기회
한때 집집마다 자리했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 사라지는 물건들이 있습니다. 나전 기법, 즉 광채가 나는 자개 조각을 여러 가지 모양으로 박아 넣거나 붙여서 만든 이불장도 그중 하나입니다.
자개 이불장은 여전히 사용되고 있지만 일상적으로 접하기는 어려운 물건입니다. 지금의 어린이들은 물론 앞으로 올 어린이들이 자개 이불장을 실제로 볼 기회는 점점 줄어들 것입니다. 때문에 우리의 전통문화를 기록하는 일은 그만큼 가치가 있습니다. 작가 양선화가 자개 이불장 고증에 힘쓴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할머니의 이불장》에 나오는 이불장은 작가가 직접 본 이불장을 포함, 최근에도 사용되고 있는 전국 곳곳의 이불장과 자개 문갑을 여러 경로로 수집해 재현한 이미지입니다. 여기에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서울공예박물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등의 나전칠기, 목가구 유물을 참고하여 이불장의 무늬를 구성하였습니다.
자개 이불장의 보편적인 이미지를 담아내고자 한 작가의 덕분에 이 책은 자개 이불장을 실제로 본 적 없는 어린이들에게 생생하게 그 이미지를 전달합니다. 또한 성인 독자는 한 번쯤 본 적 있는 오래된 이불장에 대한 추억을 떠올릴 수 있습니다.
다양한 이불을 가지고 노는 촉각 놀이
이불보를 활용한 흥미진진 상상 놀이
자개 이불장에 대한 사실적인 정보는 다른 매체를 통해서도 접할 수 있지만, 오직 그림책만이 가지는 힘이 있습니다. 《할머니의 이불장》은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를 통해 전통문화에 대한 정보를 친근하게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이 책의 주인공인 윤이와 준이가 이불장에서 쏟아진 이불을 헤집으며 다양한 이불을 감각하고, 흥미진진한 상상 놀이를 펼쳐 갑니다.
용과 호랑이가 수놓아진 베개, 장미꽃이 화사하게 피어 있는 담요, 대나무 숲이 펼쳐지는 누비이불, 물고기가 펄떡이는 모시 이불, 꽃 무더기가 펼쳐진 차렵이불, 무지개가 화사하게 펼쳐지는 색동 솜이불 등은 두 아이의 신나는 놀이 배경이 됩니다. 호기심이 많고 행동에 망설임이 없는 윤이와 신중하고 조심스럽지만 기꺼이 놀이에 동참하는 준이의 모습은 이야기의 재미를 더합니다.
이렇듯 이불을 매개로 신나는 놀이가 펼쳐지는 동안 독자는 자연스럽게 두 아이의 모험에 동참하게 되며 소재도, 무늬도 다 다른 이불들에 친근감을 느끼게 됩니다.
한바탕 놀이가 끝난 뒤, 이어지는 결말도 눈여겨볼 지점입니다. 윤이와 준이는 할머니의 물건을 흩트렸다고 야단을 맞는 대신, 가족들과 함께 이불들의 볕바라기를 진행합니다. 세월이 묻어 있는 이불들과 한바탕 신나게 놀고, 햇볕에 잘 마른 보송보송한 이불을 덮고 잠자리에 드는 장면에는 전통문화에 대한 애정과 어린이들의 놀이를 응원하는 작가의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줄거리
엄마와 함께 할머니 집에 간 윤이와 준이. 할머니 방에는 자개가 붙어 있는 이불장이 있고, 오래된 이불장 안에는 이불들이 가득합니다.
두 아이는 첩첩 쌓인 이불들 사이에 꽉 끼어 있는 이불 하나에 호기심을 갖고 그것을 꺼내려 안간힘을 씁니다. 그러다 이불들이 와르르 쏟아지고, 푹신한 이불들에 파묻힌 윤이와 준이는 좋아하는 이불을 찾는 놀이를 시작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