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요산유고

요산유고

  • 배진하
  • |
  • 한솜미디어
  • |
  • 2022-10-15 출간
  • |
  • 304페이지
  • |
  • 152X224X30mm
  • |
  • ISBN 9788959595648
판매가

16,000원

즉시할인가

14,4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4,4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분성군(盆城君) 21세손(世孫)이신 고조할아버지(樂山 裵鎭夏 또는 瑀榮, 1838~1912) 산소에 묘사 지내러 다닌 지 어언 60년이 넘었다. 당시는 하판동(현재 송학리)에서 산동까지 버스를 타고 가서 다시 3km 정도 넓은 들판을 가로질러 걸은 후 산에 올라갔다. 우리 아버지, 할아버지는 그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다니셨고, 지난 100여 년간 수많은 후손이 다닌 길이다.

예전엔 추수를 다 끝낸 후 농가가 한가해진 음력 시월 둘째 일요일이 묘사 날이었는데, 때로는 눈보라가 휘날리기도 하는 추운 날씨였다. 산에서 내려다보면 추수를 끝낸 넓은 들판 너머 정겨운 초가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었다. 묘사를 다 지낸 후에는 줄을 서서 기다리던 근처 동네 아이들 20여 명에게 묘사 떡을 나누어 주었다.

집안 어른 한 분이 낭랑한 음성으로 읽으시던 축문(祝文)은 참 듣기 좋았지만 무슨 뜻인지는 잘 알 수 없었다. 모두 둘러앉아 음식을 나누며 이야기꽃을 피울 때면, 어른들이 축문의 뜻도 설명해 주시고, 요산 할아버지가 어떤 분이신지도 이야기해 주셨다. 무과(武科)에 급제한 장수이셨지만 학문도 아주 뛰어나서 그야말로 문무(文武)를 겸비한 훌륭한 분이셨다고 들었다. 묘비에 쓰인 글이 바로 그러한 내용을 담고 있다고 했다.

어린 시절 말로만 듣던 내용을 몇 년 전 우연히 확인하게 됐다. 장조카가 “집에 이런 고서(古書)가 있다.”며 보여 주었는데, 바로 가친(家親)께서 21세 때인 1935년에 요산 할아버지의 유고(遺稿)를 모아 발간하신 『요산유고(樂山遺稿)』 문집이었다. 모두 한문이라 다 이해할 수는 없었지만, 생전의 고조할아버지 모습을 보는 것 같았다.

한양길에 조령을 넘어 한강과 남산을 보신 감회를 읊거나 인근의 유학산, 금오산, 팔공산에 올라 지으신 시(詩) 78편, 가까운 사람들에게 쓰신 서한(書翰) 7편, 인간의 도리와 행실에 관한 논설(論說) 5편 등 총 90편의 글이 실려 있었다. 그 외에도 서문 3편과 부록 11편(가문의 내력, 요산 할아버지의 묘지명, 유고 수집과 발간 경위에 관한 글 등)이 수록돼 있었다.

지난해 11월 요산 할아버지 묘사 때 종친들에게 이 책에 관한 이야기를 하니, 좌중이 한목소리로 이 책을 국역해 후손들이 모두 읽을 수 있도록 하자고 했다. 국역자를 찾는 중에 진수(振秀; 盆城君 26世孫)가 지인의 추천으로 한국국학진흥원 고전국역팀 국역위원이신 이기훈 철학박사를 만나 바로 결실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요산 할아버지는 용모가 수려하고, 살결이 희고 미목(眉目)이 뚜렷하였으며, 도량이 크고 깊었다고 한다. 또한 시를 짓거나 사(詞)를 논할 때는 유자儒子의 기상을 지녔다고 하며, 칼을 들어 지휘할 때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재목이라고 하였다. 고금의 일을 말할 때는 호탕하고 의협심이 있는 사람이라고 했다.

이 책을 읽다 보면, 실제로 요산 할아버지의 풍모와 운치, 시국 걱정과 나라에 대한 충성, 가족에 대한 따뜻한 사랑 등을 절절히 느끼게 된다. 또한 요산 할아버지의 모습을 직접 뵙는 듯한 벅찬 감동을 금할 수 없으며, 요산 할아버지의 후손임이 너무나 자랑스러워진다.

(이하 생략) 본문 중에서 발췌

목차


발간사 4

배(裵)씨 관련 자료사진 [득성조, 중시조, 수관조受貫祖, 요산공] 14
요산문중약사(樂山門中略史) 17

요산 배공 유고의 서문 [樂山裵公遺稿序]

1. 김홍락(金鴻洛) (영인본 1쪽) 21
2. 최병원(崔炳元) (영인본 4쪽) 23
3. 조윤묵(曺允?) (영인본 7쪽) 26

요산유고 권1

시[詩]


한양에서 노닐다 [遊漢陽] (영인본 23쪽) 30
한강에서 불어난 물을 보다 [漢江觀漲] 2수 31
종남산에 오르다 [登終南山] (영인본 24쪽) 32
돌아오는 길에 조령에 오르다 [歸路登鳥嶺] 33
둥근 부채를 읊다 [詠團扇] 34
저산에 은거하다 [楮山幽居] 서문을 병기함 (영인본 25쪽) 35
진성로와 함께 보현산을 유람하다 [與陳星老遊普賢山] (영인본 27쪽) 37
아사雅士 김귀락과 동래를 유람하며 부산 바다를 바라보다 [與金雅龜洛遊東萊望釜山海] 38
돌아가는 길에 영남루에 올라가다 [歸路登嶺南樓] 2수 (영인본 28쪽) 39
무신년(1908) 사월 어느 날 달성에 올라가 조망하다 [戊申四月日登達城眺望] 40
장교준 낙안과 함께 금곡사에 피서하다 [與張樂安 敎駿 避暑于金谷寺] (영인본 29쪽) 41
고을 수령 황연수가 새 책력을 준 것에 하례하다 [奉賀黃侯 演秀 惠贈新蓂] 2수 42
영산(창녕)의 청암리로 가서 선조의 묘소를 배소하고 척헌재에서 묵다[往靈山靑巖里拜先墓宿陟?齋] 서문을 병기함 (영인본 30쪽) 43
더운 여름 장낙안과 다시 금곡사에 가다 [暑月與張樂安再到金谷寺] 서문을 병기함 (영인본 31쪽) 45
종형 진붕을 애도하는 만시 [從兄 鎭鵬 挽] 2수 (영인본 32쪽) 47
늦가을에 국화를 감상하다 [晩秋賞菊] (영인본 33쪽) 48
정진태 공을 애도하는 만시 [挽鄭公 鎭泰] 49
고을 원 황연수를 송별하다 [奉別黃侯 演秀] 2수 50
봄날 한적하여 서울을 추억하다 [春日閑寂憶京華] (영인본 34쪽) 51
시어 권중락을 애도하는 만시 [挽權侍御仲洛] 52
최경식 대경을 애도하는 만시 [挽崔大經 坰植] (영인본 35) 53
상사 권경택에게 시를 부치다 [寄贈權上舍 絅澤] 54
가뭄 끝에 내리는 비 [喜雨] (영인본 36) 55
병을 앓은 후에 [病後] 56
가을밤에 진성로를 추억하다 [秋夜憶陳星老] 57
병포암에서 유거하다 [屛鋪巖幽居] 서문을 병기함 (영인본 37쪽) 58
환갑날 감회를 서술하다 [甲日述懷] 3수, 서문을 병기함 (영인본 39쪽) 60
비를 걱정하다 [悶雨] (영인본 42쪽) 63
홍병식 치강과 함께 팔공산에 오르다 [同洪致岡 秉湜 登八公山] (영인본 43쪽) 64
문방사우의 시 [文房四友吟] 서문을 병기함 65
여행하는 도중에 아이들이 마음에 걸리다 [旅中懷兒孫] 2수, 서문을 병기함 (영인본 46쪽) 68
단오 [端午] (영인본 47쪽) 69
박선일·김노언과 화산에 오르다 [與朴善日金魯彦登華山] (영인본 48쪽) 70
인각사 [麟角寺] 71
학소대 [鶴巢臺] 72
단계 하위지 선생의 묘소를 지나며 감회가 있어 [過丹溪河先生墓有感] 2수, 서문을 병기함(영인본 49쪽) 73
좌랑 소산 권용을 애도하는 만시 [挽權佐郞巢山 鎔] 74
중양일에 동지와 함께 아미산에 오르다 [重陽日伴同志登峨嵋山] (영인본 50쪽) 75
제석 [除夕] 76
매화 [梅花] (영인본 51쪽) 77
정월 대보름에 압곡사를 유람하다 [燈夕遊鴨谷寺] 78
「이소경」을 읽고 감회가 있어 [讀離騷經有感] 2수 79
도정절의 「귀거래사」를 읽고 느낌이 있어 [讀陶靖節歸去來辭有感] 2수 (영인본 52쪽) 80
경주에서 옛 자취를 생각하다 [東都懷古] 81
당나라 때의 팔사마 [唐之八司馬] 서문을 병기함 (영인본 53쪽) 82
류종원의 글을 읽다 [讀柳大家] (영인본 54쪽) 84
병암이란 신령한 곳 [屛巖靈境] (영인본 55쪽) 85
칠석 [七夕] 86
거울을 보다 [覽鏡] (영인본 56쪽) 87
옛일을 생각하다 [懷古] 88
김경용 성도를 방문하다 [訪金聖度 炅容] 89
김성문 치백을 애도하는 만시 [挽金致伯 成文] (영인본 57쪽) 90
눈을 읊다 [詠雪] 91
모기 [蚊?] 92
팔월 초하루 선대의 묘에 성묘하다 [八月初吉省先墓] (영인본 58쪽) 93
돌아오는 길에 당시를 차용하여 넓고 넓은 들판의 풀이라는 시를 짓다 [歸路用唐詩漠漠野田草韻] 94
장형의 환갑 축하 시에 차운하다 [次張兄?宴韻] 95
추석 [秋夕] (영인본 59쪽) 96
추석 다음 날 [仲秋旣望] 97
양산 [洋傘] 98
매화 대나무 병풍 [梅竹屛] (영인본 60쪽) 99
등백도 [鄧伯道] 2수, 서문을 병기함 100
『시경』의「주남」과「소남」을 읽고 [讀詩周召南](영인본 62쪽) 102
「정풍」과 「위풍」을 읽고 [讀鄭衛風] 103
변아(『시경』「대아」「소아」의 일부)를 읽고 [讀變雅] 104
초승달을 노래하다 [詠初月] (영인본 63쪽) 105
동락을 유람하다 [遊東洛] 106
추망 [秋忙] 107
유학산 [遊鶴山] (영인본 64쪽) 108
조양각에 올라 삼가 포은 정 선생의 시에 차운하다 [登朝陽閣謹次圃隱鄭先生韻] 109
금오산에 오르다 [登金烏山] 110
농가의 소 키우기 [田家牧牛] (영인본 65쪽) 111
가을날 그윽한 회포 [秋日幽懷] 112
박선일이 방문하다 [朴善日見訪] 113
산골짜기에서 곧장 읊다 [峽中卽事] (영인본 66쪽) 114
거위를 키우며 시를 남기다 [畜鵝遺贈吟] 서문을 병기함 115
다른 이의 ‘손자를 얻고서’ 시에 차운하다 [次人抱孫韻] 2수 (영인본 68쪽) 117
보릿고개를 한하며 [?春麥嶺] 서문을 병기함, 무자년(1888) (영인본 69쪽) 118

편지[書]

수령 황연수에게 답하다 [答黃候 演秀] (영인본 70쪽) 120
장교준 낙안에게 주다 [與張樂安 敎駿] (영인본 71쪽) 121
진사 권경택에게 보내다 [與權進士 絅澤] (영인본 72쪽) 122
족보 사무소의 여러 종친에게 답하다 [答譜所僉宗] (영인본 73쪽) 123
통정대부 장두각에게 주다 [與張通政 斗珏] (영인본 74쪽) 125
종제 진헌에게 주다 [與從弟鎭憲] (영인본 75쪽) 126
조카 재연에게 주는 편지 [與姪兒在淵] (영인본 76쪽) 127

서[序]

요산서 [樂山序] (영인본 77쪽) 128

기[記]

저전기 [楮田記] (영인본 79쪽) 131

논[論]

천인론 [天人論] (영인본 82쪽) 133
유후론 [留侯論] (영인본 84쪽) 136
찬문종후론 [?文終侯論] (영인본 87쪽) 139
무후론 [武侯論] (영인본 90쪽) 142
삼강론 [三綱論] (영인본 93쪽) 145

요산유고 권2 (부록)

가장 [家狀] (영인본 95쪽) 148
행장 [行狀] (영인본 105쪽, 국역문 없음)
묘지명 [墓誌銘] (영인본 114쪽, 국역문 없음)
묘갈명 [墓碣銘] (영인본 117쪽, 국역문 없음)
만사 [挽詞] (영인본 121쪽, 국역문 없음)
제문 [祭文] (영인본 124쪽, 국역문 없음)
요산기 [樂山記] (영인본 131쪽, 국역문 없음)
병포암유거기 [屛鋪巖幽居記] (영인본 133쪽, 국역문 없음)
유고고성문 [遺稿告成文] (영인본 135쪽, 국역문 없음)
발 [跋] (영인본 136쪽, 국역문 없음)
발문 [跋文] (영인본 141쪽) 157

편집후기 15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