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조선만화

조선만화

  • 한일비교문화세미나팀
  • |
  • 어문학사
  • |
  • 2012-07-31 출간
  • |
  • 236페이지
  • |
  • ISBN 9788961842693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4,000원

즉시할인가

12,6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2,6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서문 4

Ⅰ. 『조선만화』 읽기

1. 『조선만화』의 구성 15
2. 광고를 통해 본 『조선만화』의 기획 의도 22
3. 『조선만화』에서 무엇을 읽을 것인가? 32

Ⅱ. 『조선만화』

1. 대신(大臣) 행렬 46
2. 온돌의 독거(獨居) 49
3. 하이칼라 기생 52
4. 우도(牛刀) 55
5. 종이연 날리기 58
6. 갈보집 61
7. 단단히 좋소 64
8. 묘 앞의 통곡 67
9. 묘 주변의 석상(石像) 69
10. 조선 장기 71
11. 제게 챤다 74
12. 돈치기(錢擲) 77
13. 신선로 79
14. 엿장수(飴賣) 81
15. 점두(店頭)의 우두골(牛頭骨) 83
16. 한인의 떡방아 85
17. 우동집 87
18. 군밤 89
19. 떡장사 91
20. 조선가옥의 부엌 93
21. 옛날의 큰 배 95
22. 옛날의 조선 관리[役人] 97
23. 옛날의 한선(韓船) 100
24. 옛날 악기 102
25. 조선말(馬) 105
26. 우하(牛下)의 낮잠 107
27. 무동(舞童) 109
28. 요보의 싸움 111
29. 석합전(石合戰) 113
30. 요보의 톱질 115
31. 조선의 가마 117
32. 조선의 인왕님 120
33. 돈 계산 123
34. 신문의 낭독 125
35. 기생의 춤 128
36. 요보의 주머니[巾着] 130
37. 변기 세척 132
38. 한인의 우구(雨具) 135
39. 변기와 세면기 137
40. 쌀 찧기 139
41. 유방의 노출 141
42. 참외 144
43. 매복(賣卜)선생 147
44. 잔털 뽑기 150
45. 걸식 152
46. 조선의 모자 154
47. 조선 차부 156
48. 부녀자 풍속 159
49. 조선 신사(紳士) 162
50. 승려 165


Ⅲ. ‘만화’로 읽는 조선과 ‘조선 知’

1. 저널리즘 ‘조선 知’의 기원 171
2. 동시기 일한서방(日韓書房)의 간행서들 176
3. ‘만화’로 보는 조선 189
3.1.『요보기(ヨボ記)』의 삽화 189

요보국(老?國) 191
남산등림(南山登臨) 193
봉아(鳳兒) 195
딸 에후의 귀국 197
나의 조선 정월 198
경성의 일 년 200
경성잡기(京城雜記) 202
도한(渡韓) 204
진분한화(珍粉韓話) 206

3.2. 잡지 『조선』에 실린 도리고에의 만화 208

Ⅳ. 국민문화사에의 욕망-일본 최초의 만화사

찾아보기 230

도서소개

한일비교문화세미나팀은 4년 전부터 식민지 조선에서 가장 장수한 잡지 『조선』(1908년 창간, 1911년 이후 『조선급만주』로 개명)을 읽기 시작했다. 당시 일본인들이 조선에 관한 지식을 저널리즘의 장(場)에서 어떻게 생산ㆍ분류ㆍ유통했는지에 대해 연구하고 있던 중에 그 잡지에 수록된 만화 컷들이 주목을 끌었는데, 그 만화들을 그린 사람이 도리고에 세이키라는 인물이며, 또 그가 『조선만화』라는 단행본을 출간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이러한 사실들을 바탕으로 이번 『조선만화(부제: 100년 전 조선, 만화가 되다)』는 탄생하게 되었다.
풍자와 해학 그 익살스러움 속에 감춰진 식민자의 시선

야만과 미개의 땅 조선, 만화 속 조선의 모습은 그러했다.
그들의 눈에 비친 조선인은 무능, 불결, 저능, 무사태평하며
개화하지 못한 비문명국의 국민이었다.
이 만화는 일본인들이 식민지화 과정 속에서
조선인에 대한 차별적 이미지를 과장과 폄훼 속에 만들어내어
자신들의 행위를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다.

한일비교문화세미나팀은 4년 전부터 식민지 조선에서 가장 장수한 잡지 『조선』(1908년 창간, 1911년 이후 『조선급만주』로 개명)을 읽기 시작했다. 당시 일본인들이 조선에 관한 지식을 저널리즘의 장(場)에서 어떻게 생산ㆍ분류ㆍ유통했는지에 대해 연구하고 있던 중에 그 잡지에 수록된 만화 컷들이 주목을 끌었는데, 그 만화들을 그린 사람이 도리고에 세이키라는 인물이며, 또 그가 『조선만화』라는 단행본을 출간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이러한 사실들을 바탕으로 이번 『조선만화(부제: 100년 전 조선, 만화가 되다)』는 탄생하게 되었다. 『조선만화』는 만화라는 장르가 흔치 않았던 당대에도 매우 희귀한 텍스트로서, 신선한 재미가 가미된 시각적 장르를 통해 조선의 풍물과 사람들, 생활 풍습과 지리 등을 재조일본인(우스다 잔운, 도리고에 세이키)의 생생한 시각으로 소개하고 있어 당시 조선에 머물며 조선인들을 대하던 일본인들의 생각의 단면들을 엿볼 수 있다. 『조선만화』는 만화와 글, 하이쿠로 이루어진 다소 복합적인 구성방식으로 이뤄져 있는 서적으로서, 소재 등에 있어서는 다양하나, 그 비웃음의 시선은 한국 독자들의 공분이 예상될 정도로 매우 자극적이다. 조선인들을 폄하하고 왜곡하는 시선은 곧바로 내지의 일본으로 전해졌다. 일본에서 조선을 미개의 국가로 비하하고, 당시 일본의 식민정책에 적잖은 영향을 끼쳐, 『조선만화』 속 조선은 불결, 천하태평, 무신경, 무능, 여성성으로 비치며, 일본인들이 식민지화 과정 속에서 조선인에 대한 차별적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재생산함으로써 자신들의 행위를 정당화하는 데 그 이미지를 이용했다.

100여 년 전 조선, 만화로 재현하다!

한일비교문화세미나팀은 4년 전부터 식민지 조선에서 가장 장수한 잡지 『조선』(1908년 창간, 1911년 이후 『조선급만주』로 개명)을 읽기 시작했다. 당시 일본인들이 조선에 관한 지식을 저널리즘의 장(場)에서 어떻게 생산ㆍ분류ㆍ유통했는지에 대해 연구하고 있던 중에 그 잡지에 수록된 만화 컷들이 주목을 끌었는데, 그 만화들을 그린 사람이 도리고에 세이키(鳥越?岐)라는 인물이며, 또 그가 『조선만화』라는 단행본을 출간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이러한 사실들을 바탕으로 이번 『조선만화(부제: 100년 전 조선, 만화가 되다)』는 탄생하게 되었다.
이미 『일본잡지 모던일본과 조선 1939』 『일본잡지 모던일본과 조선 1940』 등 일제강점기에 조선에서 출간된 잡지를 복간하여 그 시대를 살아간 조선인들의 모습과 일본인들의 시선을 포착해낸 서적들이 이미 독자들에게 선보여 화제가 된 바 있다. 광복 이후 수십 년의 시간이 흘렀어도 이 자료물들은 당대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서 활용되고, 또한 대중들에게 민족의 암흑기로 불리던 그 시대에도 조선인은 면면히 그들의 생활을 이어오고 있었음을 인식시켰다.
일본인들은 ‘한일합방’ 이전부터 이미 조선을 여행하거나 거주하며 조선사정에 관해 많은 기록물들을 남겼다. 일찍이 근대 일본 민권운동의 결사 중 하나인 민유샤(民友社)의 일원이었던 혼마 규스케(本間久助)의 ‘조선정탐물’이라는 『조선잡기(朝鮮雜記)』(1894)를 비롯해 가쿠치 겐조의 『조선왕국(朝鮮王國)』(民友社, 1896)이나 법학자 신노부 준페이(信夫淳平)의 『한반도(韓半島)』(東京堂書店, 1901) 등이 그것이다.
이번 『조선만화』는 그 연장선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 희귀한 텍스트로서, 만화라는 신선한 재미가 가미된 시각적 장르로 조선의 풍물과 사람들, 생활 풍습과 지리 등을 재조일본인의 생생한 시각으로 소개하고 있어 당시 조선에 머물며 조선인들을 대하던 일본인들의 생각의 단면들을 엿볼 수 있다. 당시 식민지 시절 일본인들의 조선 인식은 ‘금강산’‘기생’ 등 천편일률적이었으며 매우 편협되었는데, 이후에는 이러한 편협된 조선 인식을 비판하며 더욱 폭넓은 조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일본인 독자들을 대상으로 기획된 출간물이 다수 나오기도 하였다.
『조선만화』는 만화와 글, 하이쿠로 이루어진 다소 복합적인 구성방식으로 이뤄져 있는 서적으로서, 소재 등에 있어서는 다양하나, 그 비웃음의 시선은 한국 독자들의 공분이 예상될 정도로 매우 자극적이다. 조선인들을 폄하하고 왜곡하는 시선은 곧바로 내지의 일본으로 전해졌다. 일본에서 조선을 미개의 국가로 비하하고, 당시 일본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