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영상 강의 www.mies.co.kr
보험계약법은 보험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인 법이기 때문에 보험계리사나 손해사정사 등 보험 관련 시험에서는 필수적인 과목이다. 그런데 종전에는 보험계약법 시험문제가 법조문만 이해하고 정리하면 고득점이 가능한 과목이었지만 최근의 문제는 법에 대한 종합적인 지식을 알아야 풀 수 있는 문제들이 출제되고 있어 시험의 난이도는 대체로 높은 수준으로 올라가는 경향이다. 특히 최근에 보험계약법 시험문제의 난이도가 매우 높아 깊이 있는 수준으로 준비하지 않은 수험생은 과락이 속출하고 있다.
보험계약법을 고득점하려면 먼저 보험계약법의 법조문을 철저히 정리하여야 한다. 아울러 법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여야 한다. 민법이나 소송법과 관련된 용어를 알아야 풀 수 있는 문제가 출제되고, 보험업법 등 관련 법규의 내용과 결합하여 출제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판례의 내용이 전체 문제의 반을 넘을 정도로 많이 출제되고 있어 판례를 심도(深度)있게 정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최근에는 표준약관이나 학자들의 주장인 학설의 입장을 질문하는 내용도 포함되고 있어 공부할 범위가 더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험경향에 맞추어 수험준비를 하려면 그에 맞는 교재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법조문 위주로 출제되던 수준으로 집필한 교재는 내용이 간단하기 때문에 공부하기는 쉬워도 시험에서는 치명적인 한계를 노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교재가 지금까지 수험생들에게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이유가 매년 출제경향에 맞추어 내용을 보완하고 새로운 판례를 즉시 반영하는 노력을 인정해 주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그러므로 수험생의 기대에 어긋나지 아니하도록 이번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집중적으로 보완하였다.
첫째, 최근 8년간 출제되었던 문제를 분석하여 출제자 변경으로 인한 출제빈도가 낮은 내용은 설명을 줄이고 새로 출제되는 내용을 보완하였다.
둘째, 최근 8년간 출제된 지문의 출제년도를 교재 각 부분에 표시함으로서 중요 지문을 구분하고 출제경향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보험계약법 단원별 출제빈도분석표를 첨부하여 각 단원별로 몇 년도에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출제되고 있는지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법에 대한 기본 지식이 전혀 없는 수험생이 절대 다수인 점을 고려하여 시험에서 출제되는 법률용어를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단기간에 법적 마인드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다섯째, 최근 시험은 판례문제가 50% 출제될 정도로 판례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기존에 출제된 판례는 물론 최신 판례 중에 핵심적인 내용을 수록하여 수험준비에 만전을 기하도록 노력하였다. 다만, 보험계약법 관련 판례의 세부내용은 별도의 교재인 보험판례집에 수록하였으므로 보험판례집은 별도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출제자에 따라 하나의 용어를 다르게 표현함으로써 수험생이 혼란을 겪을 수 있음을 감안하여 최근에 출제된 용어 중 다르게 표현한 것은 괄호 안에 모두 표기하였다.
일곱째, 종전의 법조문 해설은 삭제하고 최근 기출문제 및 상세해설을 첨부하여 실전문제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