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다경

다경

  • 육우
  • |
  • 자유문고
  • |
  • 1998-12-10 출간
  • |
  • 236페이지
  • |
  • 148 X 210 mm
  • |
  • ISBN 9788970300429
판매가

10,000원

즉시할인가

9,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9,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개 요

당(唐)나라 육우(陸羽)의 ‘다경(茶經)’과 일본의 영서(榮西)선사의 ‘끽다양생기’를 합쳐 현대문으로 재해석하고 차에 대한 도록(圖錄)도 겸비했다. 또 차와 건강에 대해 설명하고 전통차의 효용성과 커피의 실용성을 곁들여 다룬, 차의 모든 것을 담은 차의 백과서이다.


서문: 『다경(茶經)』이란 어떤 책인가?

『다경(茶經)』의 저자인 육우(陸羽)는 그의 집안 내력이 자세하지 않다. 옛 기록에 따르면 경릉(竟陵)에 어떤 스님이 물가에 버려진 아이를 얻어 길렀다고도 하고, 또 그가 성장했을 때 『주역』으로 점을 쳤는데 건지점(蹇之漸)의 괘를 얻었고 그 괘사에서 ‘홍점우육ㆍ우가용위의(鴻漸于陸 羽可用爲儀)’라는 글귀를 얻어 성(姓)과 이름과 자(字)를 가지게 되었다고도 한다. 이것을 보면 육우는 고아나 다름없다.
육우는 집념의 사나이였다. 이러한 육우였기에 차에 대해 애정을 갖기 시작하면서 차에 대한 경(經)을 짓기에 이른 것 같다.

이 『다경』은 차(茶)의 전문서이며 차와 인간이 처음으로 문화적으로 대화한 기록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다경』은 중국 문화의 양식(良識)을 대표하는 책의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이 저술됨으로써 비로소 차와 융화(融和)되어 살아가는 인간의 생활방식이 본격적으로 솔직하게 다루어지게 된 것이다.
『다경』은 전문서, 특히 실용도서였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문화사상(文化史上)의 고전(古典)으로서 받아들여진 까닭도 여기에 있다.
책의 고전성(古典性)은 영원한 것이고, 인간의 양식(良識)도 또한 영원하다. 그러면서도 경향적(傾向的)으로 영원성을 추구하면 쉽게 고전이 생겨난다는 것은 아니다. 고전에는 전후의 시대와 격절된 개성(個性)이 있고, 또 고전은 그 고전을 낳은 시대의 인간의 마음을 대표한다.

『다경』은 당나라 사람들이 만들 필요가 있어서 만들고 당나라 사람의 소산(所産)이기에 당나라 사람들에게 가장 걸맞는 대표적인 고전의 하나가 되는 것이다. 그런 뜻에서 『다경』은 통시적(通時的)인 중국인의 양식에 대한, 당나라 사람들의 양식의 대화(對話)의 기록이기도 하다. 『다경』이 당나라 사람들의 교양을 잘 구체화한 책으로서 소중하게 여겨지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저자(著者)인 육우(陸羽)는 젊었을 때에 연예인(演藝人)으로서의 훈련을 쌓아, 그 길의 사람으로서 자타가 공인하는 존재였다. 그런 사람이 어느 날 그 사회에서 뛰쳐나와 문인(文人) 사회의 일원(一員)으로서 재편성(再編成)된 것이다.
『다경』에 있어 기술(記述)의 구체적인 설명과 박진력이 있는 것은 고전을 이룩한 그의 위대한 개성 중에서, 마지막으로는 연예인으로서의 훈련에 의해 쌓아올린 젊은 시절에 몸에 밴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반드시 그것만은 아니다.
호주(湖州)의 자사(刺史: 도지사)이던, 육우의 직접 상사(上司)인 이계경(李季卿)이라고 하는, 지극히 고전주의적인 인물을 만난 사실을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된다. 다음은 피일휴(皮日休)라는 벗이다.
이 그림자처럼 언제나 육우를 보좌한 시인(詩人)이 아니었다면 육우는 문인 사회에 정착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어려서 절에서 자란 어렴풋한 기억이다. 멀면 멀수록 그 기억은 확실하게 업적(業績)을 얽어맨다. 『다경』의 구지략(九之略)에 나타나는 사상은, 생각건대 이 일과 인연이 없지 않을 것이다.

『다경』은 전사(傳寫)되는 과정에서 3가지의 이본(異本)이 생겼으나 북송시대(北宋時代) 후기에 진사도(陣師道)라고 하는 학자가 유취(類聚)하여 오늘의 『다경』을 완성한 것이다.
그런 뜻에서 말한다면 『다경』을 중국 고전 문화사의 궤도에 올려놓은 매개자(媒介者)는 진사도다. 오늘의 『다경』이 진사도의 뜻에 의해 어느 정도로 개편되었는지 알 수 없다고는 하더라도 현상(現狀)에서의 인식에 있어서는 당나라의 향취(香趣)를 잘 남기고 있으므로, 그런 뜻에서 『다경』은 송인(宋人)으로서는 가장 좋은 사람을 만난 행복한 고전이었다고 하는 것이 된다.

끽다양생기(喫茶養生記)를 쓴 영서선사(榮西禪師: 1141∼1215년)는 일본 임제종(臨濟宗)의 개조(開祖)로 천광국사(千光國師)라고도 한다. 11세에 정심(靜心)에게 사사(師事)하고, 14세에 낙발(落髮)하였다. 선사(禪師)가 큰 자취를 남긴 것은 두 차례에 걸친 중국(中國)에의 도항(渡航)이다. 처음은 20세 때 4월에 도항하여 사명산(四明山)ㆍ천태산(天台山) 등지를 순회하고, 그해 9월에 귀국하였다. 그러나 임제종을 연 것은 두 번째 송국(宋國)에의 도항에서였는데 선사 47세 때로부터 5년 가까운 체재시기였다. 선사에게는 『흥선호국론(興禪護國論)』과 『출가대강(出家大綱)』 등의 저서가 있으나 『끽다양생기(喫茶養生記)』는 일본에 있어 독립된 다서(茶書)로서는 최초의 것으로, 다종(茶種)을 들여온 공적과 함께 선사를 다조(茶祖)로 우러르게 하는 이유도 또한 이 저서에 있다. 그러나 이 책이 저술된 것은 그의 만년(晩年) 때로 처음은 그의 71세 때이고, 두 번째로 쓰인 것은 74세 때였다.
이 책은 상하(上下) 2권(卷)으로 나뉘어져 있으나 서명(書名)을 양생기(養生氣)라고 하였듯이, 끽다(喫茶)의 작법(作法)이나 일반적인 마음가짐을 쓴 것이 아니고, 선약(仙藥)으로서의 차(茶)의 의학적(醫學的) 효능을 쓴 것이다. 그 하권(下卷)에는 「끽다법」에 대한 말도 있기는 하지만 오히려 선약(仙藥)으로서의 상(桑)의 효능과 마시는 방법이 씌어 있어, 이 책을 『다상경(茶桑經)』이라고 하는 것이 좋을 정도다.
실제로 지난날에 그렇게 부르기도 한 듯하다.
『끽다양생기』는 일본인인 영서선사(榮西禪師)의 저서이다. 중국 고전으로 분류하기에는 반드시 타당하다고는 할 수 없겠으나, 일본의 다서(茶書)의 선구(先驅)임과 함께 원문은 한문(漢文)으로 되어 있고 그 내용이 차의 효능을 상세하게 기록하였으로 『다경(茶經)』의 부록으로 맞는다고 생각되어 감히 여기에 수록하기로 하였다.
그는 오부(五部)의 가지(加持)에 의한 내적(內的)인 치료법과 함께 오미(五味)의 섭취에 의한 외적(外的)인 치료법을 겸합(兼合)하여 안과 밖 양면으로부터 하는 신체의 보전을 설하였다. 이에 불교인(佛敎人)으로서의 영서(塋西)의 면모(面貌)가 있다고 하겠다.


목차


『다경(茶經)』이란 어떤 책인가?/3

다경 상권(茶經上卷)/15
1. 첫째, 차의 근원[一之源]/17
가. 아름다운 차나무/17
나. 자갈밭에서 나는 차가 제일이다/21
다. 차는 아무렇게나 따는 것이 아니다/23
2. 둘째, 차의 도구[二之具]/25
가. 차를 채취해 담는 기구/25
나. 부엌과 가마와 시루/26
다. 절구공이, 받침대, 가리개 등등/27
라. 창, 두드리개, 배로, 꿰뚫으개, 선반/29
마. 꿰미, 숙성통/31
3. 셋째, 차의 제조[三之造]/34
가. 차를 채취하는 달/34
나. 차의 종류는 그 수가 많다/35
다. 차 제조는 일곱 단계를 거친다/37

다경 중권(茶經中卷)/39
4. 넷째, 차(茶)의 그릇[四之器]/41
가. 풍로(재받이)의 모양과 형태/41
나. 숯광주리, 숯가르개, 부젓가락, 솥/45
다. 교상, 집게, 종이주머니, 연, 체, 구기/50
라. 물통, 물거르는 자루, 표주박, 대젓가락/55
마. 소금단지, 주걱, 익은물바리, 주발, 삼태기/59
바. 패(솔), 씻는물통, 찌꺼기통, 수건, 진열장, 모듬바구니/63

다경 하권(茶經下卷)/3
5. 다섯째, 차 다리기[五之煮]/71
가. 차는 조심하여 구워야 한다/71
나. 차를 달일 때는 숯을 쓴다/74
다. 쇠북치는 소리가 나면 끓는다고 한다/76
라. 달일 때는 물을 끓여서 버린다/79
6. 여섯째, 차 마시기[六之飮]/83
가. 혼미한 것을 흩어지게 하려면 차를 마신다/83
나. 마시는 차에는 각차, 산차, 밀차, 병차가 있다/86
다. 아홉 가지 어려운 점이 있는 차/88
7. 일곱째, 차의 내력[七之事]/91
가. 염제신농(炎帝神農)임금 때부터 차를 마셨다/91
나. 차를 오래 마신다면/97
다. 유곤이 우러러본 참다운 차〔眞茶〕/102
라. 뜨거운 차인가 차가운 차인가/107
마. 차그릇과 함께 날아간 노파/110
바. 차와 우유는 어느 것이 좋습니까/116
사. 차가 자라는 골짜기/120
8. 여덟째, 차가 나는 곳[八之出]/123
가. 산남(山南)에서는 협주(峽州)차가 제일이다/1233
나. 회남(淮南)에서는 광주의 차가 제일이다/124
다. 절서에서는 호주(湖州)의 차가 상등품/125
라. 검남(劍南)에서는 팽주의 차가 상등품/128
마. 절동(浙東)에서는 월주차가 상등품이다/129
바. 그 밖의 지역에도 맛좋은 차가 있다/130
9. 아홉째, 차의 대략[九之略]/132
가. 7가지는 모두 쓰지 않는다/132
나. 소나무 사이의 돌 위에 앉힐 수만 있다면/133
다. 차를 달이는 24가지 도구/134
10. 열째, 차의 그림[十之圖]/135

부록/151
끽다양생기(喫茶養生記) 상권(上卷)/153
제1장 서문(序文)/156
제2장 오장(오장(五藏)의 화합(和合)/161
가. 오장에 오행(五行)에도 맞춘다/161
나. 심신이 상쾌할 때는 병이 있어도 아프지 않다/163
다. 오장의 병을 다스리는 비결/165
라. 심적(心的)인 치료법이란/168
마. 눈병에 걸렸을 때는/169
제3장 차의 효능과 제조의 시기/171
가. 차의 명칭/171
나. 차나무의 형태/174
다. 차의 효능/175
라. 차를 따는 시절/185
마. 차를 채취하는 방법/187
바. 차를 제조하는 방법/187

끽다양생기(喫茶養生記) 하권(下卷)/191
제4장 질병과 양생(養生)의 법/191
가. 악귀를 쫓는 방법/191
나. 다섯 종류의 질병/194
다. 여러 가지의 치료법(治療法)/200
제5장 발문(跋文)/215
가. 선약(仙藥)은 뽕나무가 들어간다/216
차와 건강- 녹차, 커피/21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