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대반열반경집해 여래성품 역주

대반열반경집해 여래성품 역주

  • 하유진
  • |
  • 씨아이알
  • |
  • 2013-05-27 출간
  • |
  • 317페이지
  • |
  • 153 X 225 X 30 mm /665g
  • |
  • ISBN 9788997776726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7,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7,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남조시기의 대표적 저작 『대반열반경집해』

『열반경』에 대한 남조南朝 시대 열반사涅槃師들의 주석 모음집인 『대반열반경집해大般涅槃經集解』(이하 『집해』로 약칭)는 남본『열반경』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집해』 안에서는 불성에 대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열반경』 및 『집해』는 중국불교 초기의 불성사상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집해』에 등장하는 열반사涅槃師들 가운데 도생道生은 가장 이른 시기에 활동한 불교학자이며, 『열반경』을 둘러싼 여러 가지 논의를 촉발시킨 장본인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저술로 알려진 일천제성불론一闡提成佛論이나 불성당유론佛性當有論 등은 비록 지금 전하지는 않으나, 당시 중국 불교계의 사상적 흐름을 반야중관학般若中觀學에서 열반불성학涅槃佛性學으로 전환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집해』에 소개된 열반사들의 불성사상과 관련하여 다음의 몇 가지 사항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 불성에 대한 중도中道적 해석을 통해 당시의 불성의가 반야중관般若中觀 사상을 기반으로 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열반경』 전반에 걸쳐 불성에 대한 인과因果적 해석이 두드러진다. 이와 관련하여, 『집해』?사자후품師子吼品?에서는 불성에 대하여 인因, 인인因因, 과果, 과과果果의 네 종류로써 설명하고 있다. 『집해』에는 이에 대한 주석이 도생道生(355?-434), 승량僧亮(?-泰始年間(466-471)卒), 승종僧宗(438-496), 보량寶亮(444-509)의 견해를 중심으로 실려 있다. 『집해』에서는 불성을 두 종류의 인因으로써 설명하는 경우도 있는데, 정인正因과 연인緣因, 생인生因과 료인了因, 정인正因과 료인了因, 연인緣因과 료인了因이 그것이다. 셋째, 『열반경』?여래성품?에서는 불성을 삼보의三寶義와 연관 지은 해석이 두드러진다. 『집해』?여래성품?에는 이에 대한 주석이 승종, 보량의 견해를 중심으로 실려 있다. 넷째, 대승경전의 교설을 『열반경』 이전과 『열반경』으로 구분하여 석교昔敎와 금교今敎, 석설昔說과 금설今說, 편교偏敎와 원교圓敎, 편교偏敎와 상교常敎 등으로 제시하는 견해가 『집해』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초기 중국불교의 불성에 대한 논의는 삼론학, 지론학, 화엄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실천수행을 중시하는 천태, 선종 사상의 전개 및 발전에 중요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ㆍ 해제
ㆍ 역주
ㆍ 양무제의 서문
ㆍ 如來性品之第一
0. 여래성품 전체에 대한 설명
1. 불성의 뜻을 간략히 해석함
2. 가난한 여인의 집에 순금이 묻혀 있는 비유(첫째 비유)
3. 여인의 아들이 병이 든 비유(둘째 비유)
4. 가섭보살이 열한가지 질문을 설정하여 [불성이] 있음을 보았는지 따짐
5. 장사의 미간에 금강주가 박혀있는 비유(셋째 비유)
ㆍ 如來性品之第二
1. 설산 일미약의 비유(넷째 비유)
2. 불성이 오음 가운데에서 잃어버리거나 깨뜨려지지 않음을 해석함(다섯째 비유)
3. 방등경이 감로와도 같고 독약과도 같음을 해석함
4. 세 종류의 삼귀가 있음을 자세히 논함. 첫째는 계제[삼귀]이고, 둘째는 일체[삼귀]이며, 셋째는 자기 몸에서 미래에 성취할 불성이다.
ㆍ 如來性品之第三
1. 중도의 의미를 자세히 논함
2. 유무중도를 해석함
3. 실상중도를 해석함
4. 상속중도를 해석함
5. 불성의 의依와 지持와 건립建立의 의미를 해석함
6. 천둥이 칠 때 상아에서 꽃이 피어남을 해석함
7. 백 명의 장님이 눈을 치유하는 비유
8. 가난한 사람이 왕자의 깨끗하고 기묘한 칼을 보는 비유
ㆍ 글을 마치며
ㆍ 참고문헌
ㆍ 찾아보기

승종의 과단
ㆍ 如來性品之第一
0. 여래성품 전체에 대한 설명
1. 불성의 뜻을 간략히 해석함
승종1단 : 다섯 비유에 기대어 불성이 있고 없음을 설명함
2. 가난한 여인의 집에 순금이 묻혀 있는 비유(첫째 비유)
3. 여인의 아들이 병이 든 비유(둘째 비유)
4. 가섭보살이 열한가지 질문을 설정하여 [불성이] 있음을 보았는지 따짐
5. 장사의 미간에 금강주가 박혀있는 비유(셋째 비유)
ㆍ 如來性品之第二
1. 설산 일미약의 비유(넷째 비유)
2. 불성이 오음 가운데에서 잃어버리거나 깨뜨려지지 않음을 해석함(다섯째 비유)
3. 방등경이 감로와도 같고 독약과도 같음을 해석함
승종2단 : 믿음을 권함
4. 세 종류의 삼귀가 있음을 자세히 논함. 첫째는 계제[삼귀]이고, 둘째는 일체[삼귀]이며, 셋째는 자기 몸에서 미래에 성취할 불성이다.
승종3단 : 수행인에게 오직 자기 몸의 삼보에 귀의하도록 권함
1장 참된 삼보에 귀의할 것을 우선 바로 권함
2장 가섭이 의심을 품고 지금의 말씀을 받지 않음
3장 더욱 해석하여 두 가지 의심을 씻어버림
4장 가섭이 더욱 집착함
5장 제등梯橙의 의미와 허실虛6實의 취지를 더욱 자세히 해석함
ㆍ 如來性品之第三
1. 중도의 의미를 자세히 논함
승종4단 : 중도를 밝혀 수행을 권하니 이것이 선업의 뜻이다.
2. 유무중도를 해석함
승종4단 1장 먼저 인과를 정함
2장 이치에 어긋나 전도됨을 밝힘
3장 이치에 따라 깨닫게 됨을 밝힘
4장 여래가 치우쳐 일어남을 알고 잘 치료할 수 있음을 밝힘
5장 다시 이치를 들어 집착된 바를 확인함
6장 미혹을 일으키는 근원을 찾음
3. 실상중도를 해석함
승종4단 7장 편교에서 무상의 전도가 생길 뿐만 아니라 옛날의 인과의 말에 미혹되어 두 가지 법에 대한 생각이 생겨남을 밝힘
8장 상속중도를 밝힘
4. 상속중도를 해석함
승종4단 9장 우유와 치즈의 비유에 기탁하여 중도의 이치를 거듭 드러냄
5. 불성의 의依와 지持와 건립建立의 의미를 해석함
승종4단 10장 가르침을 찬탄하여 이 경에 깊이 감춰진 것이 궁극의 이치임을 말함
6. 천둥이 칠 때 상아에서 꽃이 피어남을 해석함
7. 백 명의 장님이 눈을 치유하는 비유
8. 가난한 사람이 왕자의 깨끗하고 기묘한 칼을 보는 비유

보량의 과단
ㆍ 如來性品之第一
0. 여래성품 전체에 대한 설명
1. 불성의 뜻을 간략히 해석함
보량1단 : 다섯 비유를 들어 먼저 인과의 성격을 확정함
2. 가난한 여인의 집에 순금이 묻혀 있는 비유(첫째 비유)
3. 여인의 아들이 병이 든 비유(둘째 비유)
4. 가섭보살이 열한가지 질문을 설정하여 [불성이] 있음을 보았는지 따짐
5. 장사의 미간에 금강주가 박혀있는 비유(셋째 비유)
ㆍ 如來性品之第二
1. 설산 일미약의 비유(넷째 비유)
2. 불성이 오음 가운데에서 잃어버리거나 깨뜨려지지 않음을 해석함(다섯째 비유)
3. 방등경이 감로와도 같고 독약과도 같음을 해석함
보량2단 : 일체삼귀를 설명하여 배움을 권하고 믿음이 생기도록 함
1장 삼귀를 설하여 먼저 마음을 비울 것을 권함
2장 사시四時의 가르침을 따라 수학하였다가 지금 설한 바를 와서 듣고 마음을 비운 사람이 됨을 밝힘
3장 일체삼귀의 이치를 설하여 사람들에게 가섭보살을 본받아 마음을 쓰라고 권함
4. 세 종류의 삼귀가 있음을 자세히 논함. 첫째는 계제[삼귀]이고, 둘째는 일체[삼귀]이며, 셋째는 자기 몸에서 미래에 성취할 불성이다.
보량2단 4장 삼귀를 본격적으로 설함
5장 사람들이 지극한 설법의 이치를 믿지 못하므로 가섭이 다시 청함을 밝힘
6장 삼귀의 차별적인 모습을 부처가 다시 설함
7장 가섭이 미래의 일체삼귀를 깨달음
8장 수행자에게 다시 권하여 대승의 의지를 내도록 함
9장 가섭이 수행자에게 권하여 자취를 내어 행하도록 함
ㆍ 如來性品之第三
1. 중도의 의미를 자세히 논함
보량2단 10장 말하여진 이치를 부처가 다시 찬탄함
보량3단 : 세 종류의 중도를 변별하고 선업을 짓는 뜻을 바르게 밝힘
2. 유무중도를 해석함
보량3단 1장 단견과 상견을 벗어난 유무중도를 밝힘
3. 실상중도를 해석함 보량3단 2장 실상중도를 밝힘
4. 상속중도를 해석함
보량3단 3장 상속중도를 변별함
5. 불성의 의依와 지持와 건립建立의 의미를 해석함
6. 천둥이 칠 때 상아에서 꽃이 피어남을 해석함
보량4단 : 과의 이치를 궁극적으로 밝히지 않고서는 인을 철저히 볼 수 없음을 밝힘
7. 백 명의 장님이 눈을 치유하는 비유
8. 가난한 사람이 왕자의 깨끗하고 기묘한 칼을 보는 비유

지수의 과단
ㆍ 如來性品之第一
0. 여래성품 전체에 대한 설명
1. 불성의 뜻을 간략히 해석함
지수1단 : 선업을 짓는 뜻을 드러냄
2. 가난한 여인의 집에 순금이 묻혀 있는 비유(첫째 비유)
3. 여인의 아들이 병이 든 비유(둘째 비유)
4. 가섭보살이 열한가지 질문을 설정하여 [불성이] 있음을 보았는지 따짐
5. 장사의 미간에 금강주가 박혀있는 비유(셋째 비유)
ㆍ 如來性品之第二
1. 설산 일미약의 비유(넷째 비유)
2. 불성이 오음 가운데에서 잃어버리거나 깨뜨려지지 않음을 해석함(다섯째 비유)
3. 방등경이 감로와도 같고 독약과도 같음을 해석함
지수2단 : 삼귀를 밝힘
1장 사람에 따라서 경전을 긍정적으로 비유하기도 하고 부정적으로 비유하기도 함
4. 세 종류의 삼귀가 있음을 자세히 논함. 첫째는 계제[삼귀]이고, 둘째는 일체[삼귀]이며, 셋째는 자기 몸에서 미래에 성취할 불성이다.
지수2단 2장 자기 몸에 있는 여래장에 의지할 것을 본격적으로 권함
3장 가섭이 이해하지 못하였다고 말하고 거듭 설명해 줄 것을 청함
4장 청한 뜻에 응답하여 부처께서 자세히 설함
5장 가섭이 깨닫고 두 가지 귀의를 세움
6장 부처께서 지금의 깨달음을 설명하시고 이전이 아님을 경계함
7장 가섭이 경문을 이해하여 의심을 버림
ㆍ 如來性品之第三
1. 중도의 의미를 자세히 논함
지수3단 : 세 종류의 중도에 의거하여 혜행慧行을 드러냄
1장 단멸하지도 영원하지도 않은 중도를 변별함
2. 유무중도를 해석함
3. 실상중도를 해석함
지수3단 2장 불이不異와 일가一假의 중도를 변론함
4. 상속중도를 해석함
지수3단 3장 인과중도를 밝힘
5. 불성의 의依와 지持와 건립建立의 의미를 해석함
6. 천둥이 칠 때 상아에서 꽃이 피어남을 해석함
지수4단 1장 불성을 경탄함
7. 백 명의 장님이 눈을 치유하는 비유
지수4단 2장 질문을 들어 답을 청함
3장 서원을 세울 것을 청함
8. 가난한 사람이 왕자의 깨끗하고 기묘한 칼을 보는 비유
지수4단 4장 가섭이 질문을 설정함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