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헌법학개론 (박승호)

헌법학개론 (박승호)

  • 박승호
  • |
  • 박영사
  • |
  • 2022-08-20 출간
  • |
  • 572페이지
  • |
  • 172 X 245 mm
  • |
  • ISBN 9791130342177
판매가

38,000원

즉시할인가

37,62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7,62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1편 헌법총론
제1장 헌법의 기초
제1절 헌법의 개념과 분류 3
Ⅰ. 헌법의 개념 3
Ⅱ. 형식적ㆍ실질적 의미의 헌법 4
Ⅲ. 헌법의 분류 5
제2절 헌법의 특성 7
Ⅰ. 의의 7
Ⅱ. 정치성 7
Ⅲ. 최고규범성 8
Ⅳ. 개방성 8
Ⅴ. 자기보장성 9
Ⅵ. 조직ㆍ수권규범성, 권력제한규범성 10
제3절 헌법의 해석 10
Ⅰ. 헌법해석의 의의 10
Ⅱ. 전통적 해석방법 11
Ⅲ. 새로운 해석방법 - 구체화로서의 헌법해석 11
Ⅳ. 헌법해석의 한계 13
Ⅴ. 헌법합치적 (법률)해석 13
제4절 헌법의 제정과 개정 15
Ⅰ. 헌법의 제정 15
Ⅱ. 헌법의 개정 17
Ⅲ. 한국헌법 개정사 20
제5절 헌법의 보호 25
Ⅰ. 헌법보호의 개념 25
Ⅱ. 헌법의 수호자 26
Ⅲ. 헌법보호의 수단 26
제6절 헌법의 적용범위 29
Ⅰ. 인적 적용범위 29
Ⅱ. 공간적 적용범위 31
제2장 헌법의 기본원리
제1절 헌법의 기본원리와 헌법전문 33
Ⅰ. 헌법의 기본원리 33
Ⅱ. 헌법전문 33
제2절 민주주의 원리 35
Ⅰ. 일반론 35
Ⅱ. 국민주권의 원리 40
Ⅲ. 국민투표 및 선거 제도 41
Ⅳ. 다수결원리와 소수의 보호 53
Ⅴ. 정당제도 57
제3절 법치주의(법치국가) 원리 61
Ⅰ. 법치주의의 의의 61
Ⅱ. 법치주의의 역사적 전개 62
Ⅲ. 헌법에 구현된 법치주의 원리 64
제4절 사회국가 원리 72
Ⅰ. 의의 72
Ⅱ. 성립배경 73
Ⅲ. 법적 성격 74
Ⅳ. 이념적 내용 74
Ⅴ. 사회국가의 한계 76
Ⅵ. 헌법에 구체화된 사회국가 원리 77
제5절 문화국가 원리 81
Ⅰ. 의의 81
Ⅱ. 문화국가의 내용 84
Ⅲ. 헌법에 구체화된 문화국가원리 86
제6절 국제평화주의(평화국가 원리) 87
Ⅰ. 의의 87
Ⅱ. 침략전쟁 부인 및 평화통일 지향 88
Ⅲ. 국제법 존중주의 89
Ⅳ. 외국인의 법적 지위 보장 93
제3장 공무원제도와 지방자치제도
제1절 공무원제도 94
Ⅰ. 공무원의 의의 94
Ⅱ. 공무원의 헌법상 지위 96
Ⅲ. 직업공무원제도 96
Ⅳ. 공무원의 권리와 의무 100
제2절 지방자치제도 101
Ⅰ. 지방자치 일반 101
Ⅱ. 현행헌법과 지방자치제도 103



제2편 기본권
제1장 기본권 일반이론
제1절 기본권의 의의, 분류 및 법적 성격 111
Ⅰ. 기본권의 의의 111
Ⅱ. 기본권의 분류 113
Ⅲ. 기본권의 법적 성격 114
제2절 기본권 보장의 역사 116
Ⅰ. 각국의 인권선언 116
Ⅱ. 기본권 보장의 현대적 전개 118
제3절 기본권의 주체 120
Ⅰ. 의의 120
Ⅱ. 국민 120
Ⅲ. 외국인 123
Ⅳ. 법인 123
제4절 기본권의 효력 126
Ⅰ. 의의 126
Ⅱ. 기본권의 대국가적 효력 127
Ⅲ. 기본권의 대사인적 효력(기본권의 제3자적 효력) 128
제5절 기본권의 경합과 충돌 135
Ⅰ. 기본권의 경합 135
Ⅱ. 기본권의 충돌 137
제6절 기본권의 제한 139
Ⅰ. 기본권 제한의 의의 및 대상 139
Ⅱ. 헌법에 의한 제한 141
Ⅲ. 법률에 의한 제한(법률유보) 143
Ⅳ. 이른바 특별권력관계에서의 기본권 제한 148
Ⅴ. 국가비상사태에서의 기본권 제한 150
Ⅵ. 기본권 제한의 한계 152
제7절 기본권의 침해와 구제 155
Ⅰ. 입법권에 의한 기본권 침해와 구제 155
Ⅱ. 행정권에 의한 기본권 침해와 구제 156
Ⅲ. 사법권에 의한 기본권 침해와 구제 158
Ⅳ. 사인에 의한 기본권 침해와 구제 159
Ⅴ. 국가인권위원회에 의한 구제 159
Ⅵ. 저항권 행사에 의한 구제 159
제2장 개별 기본권
제1절 인간의 존엄과 가치, 행복추구권 및 평등권 160
Ⅰ. 인간의 존엄과 가치 160
Ⅱ. 행복추구권 164
Ⅲ. 법 앞의 평등(평등권) 167
제2절 자유권적 기본권 177
Ⅰ. 신체의 자유 177
Ⅱ. 거주ㆍ이전의 자유 188
Ⅲ. 직업의 자유(직업선택의 자유) 190
Ⅳ. 주거의 자유 194
Ⅴ.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197
Ⅵ. 통신의 자유 201
Ⅶ. 양심의 자유 203
Ⅷ. 종교의 자유 206
Ⅸ. 언론ㆍ출판의 자유 209
Ⅹ. 집회의 자유 222
?. 결사의 자유 227
?. 학문과 예술의 자유 229
ⅩⅢ. 재산권 233
제3절 참정권적 기본권 239
Ⅰ. 참정권 일반론 239
Ⅱ. 선거권 241
Ⅲ. 공무담임권 243
Ⅳ. 국민투표권 245
제4절 청구권적 기본권 246
Ⅰ. 청구권적 기본권 일반론 246
Ⅱ. 청원권 248
Ⅲ. 재판청구권 250
Ⅳ. 형사보상청구권 255
Ⅴ. 국가배상청구권 259
Ⅵ.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 264
제5절 사회적 기본권 269
Ⅰ. 사회적 기본권 일반론 269
Ⅱ. 교육을 받을 권리 274
Ⅲ. 근로의 권리 280
Ⅳ. 근로3권 284
Ⅴ.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291
Ⅵ. 환경권 294
Ⅶ. 혼인과 가족생활, 모성보호, 보건에 관한 권리 296
제3장 국민의 기본의무
제1절 기본의무 일반론 302
Ⅰ. 헌법규정 및 의의 302
Ⅱ. 법적 성격, 주체 및 효력 302
Ⅲ. 기본의무와 기본권 제한 303
제2절 개별적 기본의무 303
Ⅰ. 납세의 의무 303
Ⅱ. 국방의 의무 303
Ⅲ. 교육을 받게 할 의무 304
Ⅳ. 근로의 의무 304
Ⅴ. 환경보전의 의무 305
Ⅵ. 재산권행사의 공공복리적합의무 305



제3편 국가권력
제1장 기본원리
제1절 대의제 원리 310
Ⅰ. 대의제의 의의 310
Ⅱ. 대표관계의 법적 성격 310
Ⅲ. 현대적 대의제 311
Ⅳ. 현행헌법과 대의제 312
제2절 권력분립의 원리 314
Ⅰ. 권력분립원리의 의의 314
Ⅱ. 고전적 권력분립론 315
Ⅲ. 고전적 권력분립이론의 변화 배경 316
Ⅳ. 현대적 권력분립이론 317
Ⅴ. 우리 헌법상의 권력분립 319
제3절 정부형태 321
Ⅰ. 의의 321
Ⅱ. 대통령제 322
Ⅲ. 의원내각제 324
Ⅳ. 우리나라의 정부형태 325
제2장 국회
제1절 의회제도 328
Ⅰ. 의회와 의회주의 328
Ⅱ. 의회제도의 위기와 대응책 328
Ⅲ. 의회의 구성형태 330
제2절 국회의 헌법상 지위 332
Ⅰ. 국민대표기관으로서의 지위 332
Ⅱ. 입법기관으로서의 지위 333
Ⅲ. 국정통제기관으로서의 지위 333
제3절 국회의 구성과 운영 334
Ⅰ. 국회의원의 선거 334
Ⅱ. 국회의 내부조직 334
Ⅲ. 국회의 운영과 회의원칙 337
제4절 국회의 권한 340
Ⅰ. 입법에 관한 권한 340
Ⅱ. 재정에 관한 권한 344
Ⅲ. 헌법기관구성에 관한 권한 348
Ⅳ. 국정통제에 관한 권한 349
Ⅴ. 자율권 354
제5절 국회의원의 지위, 권한 및 특권 357
Ⅰ. 국회의원의 헌법상 지위 357
Ⅱ. 의원자격의 발생과 소멸 358
Ⅲ. 국회의원의 권한과 의무 359
Ⅳ. 국회의원의 특권 360
제3장 정부
제1절 대통령 364
Ⅰ. 대통령의 헌법상 지위 364
Ⅱ. 대통령의 신분 365
Ⅲ. 대통령의 권한 369
제2절 행정부 385
Ⅰ. 국무총리 385
Ⅱ. 국무위원 387
Ⅲ. 국무회의 388
Ⅳ. 대통령의 자문기구 389
Ⅴ. 행정각부 390
Ⅵ. 감사원 391
제3절 선거관리위원회 393
Ⅰ. 헌법규정 및 의의 393
Ⅱ. 선거관리위원회의 헌법상 지위 및 구성 394
Ⅲ. 선거관리위원회의 권한과 의무 394
Ⅳ. 선거공영제 395
제4장 법원
제1절 사법권의 개념, 범위 및 한계 397
Ⅰ. 사법권의 개념 397
Ⅱ. 사법권의 범위 398
Ⅲ. 사법권의 한계 401
제2절 사법권의 독립 402
Ⅰ. 헌법규정 및 의의 402
Ⅱ. 법원(사법부)의 독립 403
Ⅲ. 법관의 독립 404
제3절 법원의 조직과 권한 407
Ⅰ. 대법원 407
Ⅱ. 고등법원 409
Ⅲ. 특허법원 409
Ⅳ. 지방법원 410
Ⅴ. 가정법원 411
Ⅵ. 행정법원 412
Ⅶ. 회생법원 412
Ⅷ. 특별법원(군사법원) 413
제4절 사법의 절차와 운영 415
Ⅰ. 재판의 심급제 415
Ⅱ. 재판의 공개제 417
Ⅲ. 법정질서의 유지 419
Ⅳ. 국민의 재판참여 420



제4편 헌법재판소
제1장 헌법재판 일반론
제1절 헌법재판의 의의, 기능 및 종류 425
Ⅰ. 헌법재판의 의의와 기능 425
Ⅲ. 헌법재판의 종류 426
제2절 헌법재판제도의 연혁과 유형 429
Ⅰ. 헌법재판제도의 연혁과 유형 429
Ⅱ. 우리나라 헌법재판의 역사 432
제3절 헌법재판과 민주주의 433
Ⅰ. 헌법재판의 민주적 정당성 433
Ⅱ. 헌법재판에서의 사법소극주의와 사법적극주의 435
제4절 헌법재판의 본질과 한계 436
Ⅰ. 헌법재판의 본질(법적 성격) 436
Ⅱ. 헌법재판의 한계 438
제2장 헌법재판소의 헌법상 지위, 구성과 조직
제1절 헌법재판소의 헌법상 지위 449
Ⅰ. 헌법재판기관으로서의 지위 449
Ⅱ. 헌법보호기관으로서의 지위 449
Ⅲ. 기본권 보장기관으로서의 지위 449
Ⅳ. 권력통제기관으로서의 지위 449
Ⅴ. 최종적 헌법해석기관으로서의 지위 450
제2절 헌법재판소의 구성과 조직 450
Ⅰ. 헌법재판소의 구성 450
Ⅱ. 헌법재판소의 조직 451
제3장 일반심판절차
제1절 서설 453
제2절 재판부와 당사자 453
Ⅰ. 재판부 453
Ⅱ. 당사자, 참가인과 이해관계인, 대표자와 대리인 454
제3절 심판청구 및 심리 455
Ⅰ. 심판청구와 심판대상 455
Ⅱ. 심리 456
제4절 종국결정 459
Ⅰ. 종국결정의 의의와 유형 459
Ⅱ. 결정서 459
Ⅲ. 종국결정의 효력 459
제5절 가처분 462
Ⅰ. 의의, 기능 및 근거 462
Ⅱ. 가처분의 적법요건 463
Ⅲ. 가처분 사유 464
Ⅳ. 가처분 절차 465
Ⅴ. 가처분결정 465
제4장 위헌법률심판
제1절 의의 및 특징 467
Ⅰ. 의의 467
Ⅱ. 특징 467
제2절 위헌법률심판의 제청절차 468
Ⅰ. 직권제청과 신청제청 468
Ⅱ. 제청의 효과 469
Ⅲ. 제청철회 및 청구취하 469
제3절 위헌법률심판의 적법성 요건 470
Ⅰ. 제청권자(법원) 470
Ⅱ. 제청대상 규범 470
Ⅲ. 재판의 전제성 471
Ⅳ. 일사부재리원칙과 결정의 기속력 473
제4절 심사기준 및 심판대상의 확정 474
Ⅰ. 심사기준 474
Ⅱ. 심판대상의 확정 474
제5절 종국결정과 그 효과 476
Ⅰ. 각하결정 및 합헌결정 476
Ⅱ. 단순위헌결정 476
Ⅲ. 한정합헌결정과 한정위헌결정 479
Ⅳ. 헌법불합치결정 481
제6절 규범통제형 헌법소원 485
Ⅰ. 의의 및 법적 성격 485
Ⅱ. 청구대상 485
Ⅲ. 소송당사자의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에 대한 기각결정 486
Ⅳ. 재판의 전제성 487
Ⅴ. 청구기간 487
Ⅵ. 한정위헌청구의 적법성 488
제5장 탄핵심판
제1절 의의와 기능 489
제2절 탄핵대상과 탄핵사유 490
Ⅰ. 탄핵대상 490
Ⅱ. 탄핵사유(중대한 법위반) 490
제3절 탄핵소추 490
Ⅰ. 탄핵소추의 발의와 의결 490
Ⅱ. 탄핵소추 의결의 효과 491
제4절 탄핵심판의 심리 492
Ⅰ. 당사자 및 심판대상 492
Ⅱ. 준용법령, 절차정지 및 구두변론 493
Ⅲ. 탄핵소추사유의 추가 493
Ⅴ. 탄핵소추의 적법성과 탄핵사유에 대한 실체적 심사 493
Ⅵ. 탄핵심판청구의 취하 494
제5절 탄핵심판의 결정 494
Ⅰ. 유형 494
Ⅱ. 결정의 효력 495
제6장 정당해산심판
제1절 의의와 기능 496
제2절 정당해산심판의 청구 및 가처분 496
제3절 정당해산의 사유 497
Ⅰ. 정당의 목적이나 활동 497
Ⅱ. 민주적 기본질서 498
Ⅲ.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 498
제4절 종국결정 499
Ⅰ. 유형 499
Ⅱ. 일반적 효력 499
Ⅲ. 해산결정의 효력 499
Ⅳ. 해산결정의 집행 500
제7장 권한쟁의심판
제1절 의의, 특징 및 기능 501
제2절 권한쟁의심판과 관련소송의 관계 502
Ⅰ. 권한쟁의심판과 기관소송 502
Ⅱ. 권한쟁의심판과 지방자치법상의 소송 502
제3절 권한쟁의심판의 적법성요건 503
Ⅰ. 당사자 503
Ⅱ. 청구사유 505
Ⅲ. 권리보호이익과 청구기간 507
제4절 권한쟁의심판의 결정과 그 효력 507
Ⅰ. 가처분 507
Ⅱ. 종국결정의 내용 507
Ⅲ. 종국결정의 효력 509
제8장 헌법소원심판
제1절 헌법소원의 의의 510
Ⅰ. 헌법소원의 개념 510
Ⅱ. 헌법소원의 기능, 성격 및 종류 511
Ⅲ. 사전심사 511
제2절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심판의 적법성요건 512
Ⅰ. 청구인 512
Ⅱ. 공권력의 행사 또는 불행사의 존재 514
Ⅲ. 기본권 침해 522
Ⅳ. 법적 관련성 523
Ⅴ. 보충성 526
Ⅵ. 청구기간 527
Ⅶ. 권리보호이익 530
Ⅷ. 일사부재리 및 변호사강제주의 530
제3절 종국결정 531
Ⅰ. 종국결정의 유형과 정족수 531
Ⅱ. 인용결정 531
Ⅲ. 심판절차종료선언 532

판례색인 535
사항색인 542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