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하우사어 문법

하우사어 문법

  • 장태상
  • |
  •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 |
  • 2012-02-28 출간
  • |
  • 518페이지
  • |
  • 188 X 254 X 35 mm /1116g
  • |
  • ISBN 9788974647179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4,25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4,2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언어는 그 사회를 이해하고 그 사회의 구성원들과 소통하는데 꼭 필요한 도구이다. 하우사어는 북부 나이지리아, 남부 니제르, 베넹, 토고, 가나 등지에서 사용되는 흑아프리카 최대의 언어로서 약 5천만 이상의 사람들이 모어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1억 5천만에 달하는 나이지리아 인구 중 상당수의 사람들이 하우사어를 제2의 언어로 구사하고 있으며, 주변의 다른 국가들에서도 중요한 교통어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
차드 어군을 대표하는 하우사어는 계통 분류상 셈어인 아랍어, 히브리어와 함께 아프리카-아시아 어족에 속한다. 유형학적 특징으로는 성조와 성체계(남성명사, 여성명사, 그리고 이에 따라 결정되는 다양한 종류의 문법적 성)를 들 수 있으며, 아프리카-아시아 어족의 다른 언어들처럼 명사의 복수형을 만드는 복잡한 규칙을 갖고 있다.
하우사족은 모두 무슬림들로서 나이저 강과 베누에 강 이북의 북부 나이지리아와 남부 니제르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이들은 역사적으로 하우사 7왕국으로 알려진 도시 국가들을 서기 10 세기 후반부터 건설했고, 19세기 초 플라니족이 하우사 7왕국을 정복할 때까지 수 백 년 동안 농업과 중계 무역을 통해 발전해 나갔다. 하우사족을 정복한 플라니족은 이미 하우사족에 동화되어 있었고, 따라서 두 민족 사이에 갈등은 없었다. 사람들은 이 제국을 하우사-플라니 제국이라 부른다. 하우사-플라니 제국의 문화적 전통은 영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오늘날까지 계승되어 오고 있으며, 현대 북부나이지리아인들의 종교적 의식 구조는 이 전통의 부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하우사-플라니족은 독립 이래, 약 400여 개의 민족으로 이루어진 이 나라의 정치, 군사, 경제 분야를 주도적으로 지배해 왔다. 21세기 세계를 이끌어갈 신흥 국가들 속에 나이지리아가 항상 포함된다는 사실은 하우사어의 위상과 중요성을 잘 말해 주고 있다.
이 책의 집필 방향은 한국인의 외국어 습득이라는 관점에서 창의적인 문법 항목들을 포함시키는 것이었고, 설명의 단순성과 명료성을 극대화시키는 것이었다. 또한 어휘의 반복적인 사용에 기초한 풍부한 예문들을 제시함으로써 문법 지식의 전달과 함께 실질적인 언어 구사 능력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하우사어는 차드 어군을 대표하는 언어로 계통 분류상 셈어인 아랍어, 히브리어와 함께 아프리카-아시아 어족에 속한다. 유형학적 특징으로는 성조와 성체계(남성명사, 여성명사, 그리고 이에 따라 결정되는 다양한 종류의 문법적 성)를 들 수 있으며, 아프리카-아시아 어족의 다른 언어들처럼 명사의 복수형을 만드는 복잡한 규칙을 갖고 있다.
하우사어는 북부 나이지리아, 남부 니제르, 베넹, 토고, 가나 등지에서 사용되는 흑아프리카 최대의 언어로서 약 5천만 이상의 사람들이 모어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1억 5천만에 달하는 나이지리아 인구 중 상당수의 사람들이 하우사어를 제2의 언어로 구사하고 있으며, 주변의 다른 국가들에서도 중요한 교통어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

하우사족은 모두 무슬림으로서 나이저 강과 베누에 강 이북의 북부 나이지리아와 남부 니제르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이들은 역사적으로 하우사 7왕국으로 알려진 도시 국가들을 서기 10세기 후반부터 건설했고, 19세기 초 플라니족이 하우사 7왕국을 정복할 때까지 수 백 년 동안 농업과 중계 무역을 통해 발전해 나갔다. 하우사족을 정복한 플라니족은 이미 하우사족에 동화되어 있었고, 따라서 두 민족 사이에 갈등은 없었다. 사람들은 이 제국을 하우사-플라니 제국이라 부른다. 하우사-플라니 제국의 문화적 전통은 영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오늘날까지 계승되어 오고 있으며, 현대 북부나이지리아인들의 종교적 의식 구조는 이 전통의 부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하우사-플라니족은 독립 이래, 약 400 여 개의 민족으로 이루어진 이 나라의 정치, 군사, 경제 분야를 주도적으로 지배해 왔다. 21세기 세계를 이끌어갈 신흥 국가들 속에 나이지리아가 항상 포함된다는 사실은 하우사어의 위상과 중요성을 잘 말해 주고 있다.

머리말

하우사어는 북부 나이지리아, 남부 니제르, 베넹, 토고, 가나 등지에서 사용되는 흑아프리카 최대의 언어로서 약 5천만 이상의 사람들이 모어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1억 5천만에 달하는 나이지리아 인구 중 상당수의 사람들이 하우사어를 제2의 언어로 구사하고 있으며, 주변의 다른 국가들에서도 중요한 교통어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

차드 어군을 대표하는 하우사어는 계통 분류상 셈어인 아랍어, 히브리어와 함께 아프리카-아시아 어족에 속한다. 유형학적 특징으로는 성조와 성체계(남성명사, 여성명사, 그리고 이에 따라 결정되는 다양한 종류의 문법적 성)를 들 수 있으며, 아프리카-아시아 어족의 다른 언어들처럼 명사의 복수형을 만드는 복잡한 규칙을 갖고 있다.

하우사족은 모두 무슬림들로서 나이저 강과 베누에 강 이북의 북부 나이지리아와 남부 니제르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이들은 역사적으로 하우사 7왕국으로 알려진 도시 국가들을 서기 10 세기 후반부터 건설했고, 19세기 초 플라니족이 하우사 7왕국을 정복할 때까지 수 백 년 동안 농업과 중계 무역을 통해 발전해 나갔다. 하우사족을 정복한 플라니족은 이미 하우사족에 동화되어 있었고, 따라서 두 민족 사이에 갈등은 없었다. 사람들은 이 제국을 하우사-플라니 제국이라 부른다. 하우사-플라니 제국의 문화적 전통은 영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오늘날까지 계승되어 오고 있으며, 현대 북부나이지리아인들의 종교적 의식 구조는 이 전통의 부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하우사-플라니족은 독립 이래, 약 400 여 개의 민족으로 이루어진 이 나라의 정치, 군사, 경제 분야를 주도적으로 지배해 왔다. 21세기 세계를 이끌어갈 신흥 국가들 속에 나이지리아가 항상 포함된다는 사실은 하우사어의 위상과 중요성을 잘 말해 주고 있다.

이 책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아프리카학부에 하우사어 강좌가 개설된 1995년부터 집필되기 시작했으며, 매년 조금씩 수정 보완되면서 학부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용되어 왔다. 수정과 보완의 일관된 방향은 한국인의 외국어 습득이라는 관점에서 창의적인 문법 항목들을 포함시키는 것이었고, 설명의 단순성과 명료성을 극대화시키는 것이었다. 또한 어휘의 반복적인 사용에 기초한 풍부한 예문들을 제시함으로써 문법 지식의 전달과 함께 실질적인 언어 구사 능력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쓰여졌다.

이 책은 지금까지 전 세계에서 출간된 하우사어 문법 관련 주요 서적들의 내용과 예문을 참조하고 삽입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신문, 잡지, 소설, 민담 등에서 저자에 의해 오랜 시일에 걸쳐 발췌된 것들이다. 참조한 기존의 문법서 및 사전은 다음과 같다.

Abraham, R.C. 1944. AModernGrammarofSpokenHausa.London:LoweandBrydonsPrintersLimited.
Abraham, R.C. 1959. TheLanguageoftheHausaPeople.London:UniversityofLondonPress.
Abraham, R.C. 1962. DictionaryoftheHausaLanguage.London:UniversityofLondonPressLtd.
Cowan, J. Ronayne & Russell G. Schuh. 1976. SpokenHausa.Ithaca,Newyork:SpokenLanguageServices,Inc.
Furniss, Graham. 1991. SecondLevelHausa:GrammarinAction.London:theSchoolofOrientalandAfricanStudies,UniversityofLondon.
Jaggar, J. Philip. 1992. AnAdvancedHausaReaderwithGrammaticalNotesandExercises.London:theSchoolofOrientalandAfricanStudies,UniversityofLondon.
Kraft, Charles H. 1973. Hausa.HodderandStoughton:TeachYourselfBooks.
Newman, Paul and Roxana Ma Newman. 1977. SabonkamusnaHausazuwaTuranci.Oxford:OxfordUniversityPress.
Newman, Roxana Ma. 1990. AnEnglish-HausaDictionary.NewHavenandLondon:YaleUniversityPress.
Pilszczikowa, Nina. 1969. TheChangingForm(Grade2)oftheVerbinHausa.Warszawa:PanstwoweWydawnictwoNaukowe.

이 책은 실용적인 목적에서 하우사어의 습득을 원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집필되었다. 하우사어 문법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원하는 중급 이상의 실력을 갖춘 사람들은 뉴먼과 재거의 다음 저서들을 참조하기 바란다.

Newman, Paul. 2000. TheHausaLanguage:AnEncyclopedicReferenceGrammar. NewHaven:YaleUniversityPress.
Jaggar, J. Philip. 2011. Hausa.London:John Benjamins Pub Co.

하우사 음운론, 형태통사론, 역사비교언어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다음의 문헌들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하우사 기술문법은 영국의 파슨즈(Parsons)에 의해 집대성 된 후 미국의 뉴만(Newman)에 의해 완성되었다. 아래의 논문 및 저서들은 본문의 각주에서 적어도 한 번 이상 언급된 것들로서, 파슨즈를 전후로 하는 시점부터 뉴만의 전성기에 이르기까지 영미권에서 출간된 하우사 기술문법에 관한 주요 자료들이다. 필자가 언어학자가 아닌 관계로 최근의 동향까지 수록하지는 못했다.

Abdoulaye, Mahamane L. 1992. ‘Aspect of Hausa morphosyntax in role and reference grammar.’ PhDdissertation,SunyatBuffalo,pp.288-340.
Abraham, R.C. 1962. DictionaryoftheHausaLanguage,p.900.London:UniversityofLondonPress.
Bargari, Dauda Muhammad. 1977. ‘Reanalyzing the Hausa causative morpheme’, In PapersinChadicLinguistics,ed.ByPaulNewmanandRoxanaMaNewman,pp.1-11.Leiden:Afrika-Studiecentrum.
Bargari, Dauda Muhammad. 1987. HausaSubordinateAdverbialClauses,SyntaxandSemantics,p.89.Moroco.
Frajzyngier, Zygmunt. 1985. ‘‘Causative’ and ‘benefactive’ in Chadic’. AfrikaundUbersee68:23-42.
Furniss, Graham. 1981. ‘Hausa disyllabic form: comments on base forms and extensions’, StudiesinAfricanLinguistics12(2):97-129.
Furniss, Graham. 1983. ‘The 4thgradeoftheverbinHausa’,InStudiesinChadicandAfroasiaticLinguistics,ed.ByEkkehardWolffandHilkeMeyer-Bahlburg,pp.287-300.Hamburg:HelmutBuske.
Gouffe, Claude. 1962. ‘Observations sur le degre causatif dans un parler haoussa du Niger’, JournalofAfricanLanguages1(2):182-200.
Jaggar, PhilipJ.1977.‘ThenatureandfunctionofauxiliaryverbsinHausa’.InPapersinChadicLinguistics,ed.ByPaulNewmanandRoxanaMaNewman,pp.57-87.Leiden:Afrika-Studiecentrum.
Jaggar, Philip J. 1978. ‘ ‘And what about … ?’ ? Topicalization in Hausa.’ StudiesinAfricanLinguistics9(1):69-81.
Jaggar, Philip J. 1982. ‘Monoverbal imperative formation in Hausa: a striking case of analogic realignment.’ JournalofAfricanLanguagesandLinguistics4(2):133-156.
Jaggar, Philip J. 1985. ‘Review of Manual of Hausa Idioms by Dauda M. Bagari, William R. Leben, and Faye McNair Knox’. TheJournalofWestAfricanLanguages15(2):125-133.
Jaggar, Philip J. 1992. ‘R.C. Abraham’s early insights into Hausa pre-datival verb forms’, In AfricanLanguagesandCultures,Supplement1,PapersinHonourofR.C.Abraham(1890-1963),ed.ByPhilipJ.Jaggar,pp.51-66.London:SchoolofOrientalandAfricanStudies.
Jaggar, Philip J and MuhammedM.Munkaila.1992.‘EvidenceagainsttheproposalthattheHausapre-dativalfinal?rverb=‘Grade5’final?r/-sverb(andanalternativeanalysis)’.ProceedingsoftheStudiaChadicaetHamito-SemiticaSymposium(SpracheundOralit?t in Afrika), ed. By Dymitr Ibriszimow and Rudolf Leger. Frankfurt: University of Frankfurt.
McConvell, Patrick. 1973. ‘Cleft sentences in Hausa? A syntactic study of focus.’ PhDthesis,SOAS,UniversityofLondon.
McIntyre, J.A. 1988. ‘A NAg-ging question in Hausa: Remarks on the syntax and semantics of the plural noun of agent.’ In StudiesinHausaLanguageandLinguistics(InHonourofF.W.Parsons),ed.ByFurniss,GrahamandPhilipJ.Jaggar,pp.78-88.London:KeganPaulInternationalinassiciationwiththeInternationalAfricanInstitute.
Munkaila, Muhammed M. 1990. ‘Indirect object constructions in Hausa.’ PhDthesis,SOAS,UniversityofLondon.
Newman, Paul. 1973. ‘Grade, vowel-tone classes and extensions in the Hausa verbal system’, StudiesinAfricanLinguistics4(3):297-346.
Newman, Paul. 1977. ‘Chadic extensions and pre-dative verb forms in Hausa.’ StudiesinAfricanLinguistics8(3):275-297.
Newman, Paul. 1979.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medial /ee/ and /oo/ in Hausa’, JournalofAfricanLanguagesandLinguistics1(2):183-185.
Newman, Paul. 1980. ‘The classification of Chadic within Afroasiatic’, p. 13. Leiden: Universitaire Pers.
Newman, Paul. 1983. ‘The efferential (alias ‘causative’) in Hausa’, In StudiesinChadicandAfroasiaticLinguistics,ed.ByEkkehardWolffandHilkeMeyer-Bahlburg,pp.397-418.
Newman, Paul. 1986. ‘Tone and affixation in Hausa.’ StudiesinAfricanLinguistics17(3):249-267.
Newman, Paul. 1990. NominalandVerbalPluralityinChadic.(PublicationsinAfricanLanguagesandLinguistics12).Dordrecht:Foris.
Newman, Paul. 1991. ‘Facts count: An empiricist looks at indirect objects in Hausa.’ BerkeleyLinguisticsSociety17.
Newman, Paul and PhilipJ.Jaggar.1989.‘LowtoneraisinginHausa:acriticalassessment’,StudiesinAfricanLinguistics20(3):237ff.
Parsons, F.W.1954.‘TheMutableVerb’inHausa’,InProceedingsofthe23rdInternationalCongressofOrientalists,ed.ByDenisSinor,pp.381-382.London:TheRoyalAsiaticSociety.
Parsons, F.W.1960.‘TheverbalsysteminHausa’,AfrikaundUbersee44:1-36.
Parsons, F.W. 1960/61/63. ‘The operation of gender in Hausa.’ AfricanLanguageStudies1:117-136;2:100-124;4:166-207.(특히 1963: 189ff.)
Parsons, F.W. 1962. ‘Further observations on the ‘causative’ grade of the verb in Hausa’, JournalofAfricanLanguages1(3):253-272.
Parsons, F.W.1971/72.‘SuppletionandneutralizationintheverbalsystemofHausa’,AfrikaundUbersee55:49-97,188-208.
Newman, Paul. 1972. ‘Syllabic weight as a phonological variable.’ StudiesinAfricanLinguistics3:301-323.
Parsons, F.W.1981.WritingonHausaGrammar:TheCollectedPapersofF.W.Parsons,ed.ByGrahamFurniss,pp.153ff.:504-506,AnnArbor:UniversityMicrofilmsInternational,BooksonDemand.
Pilszczikowa, Nina. 1969. TheChangingForm(Grade2)oftheVerbinHausa.PanstwoweWydawnictwonaukowe.
Swets, Francine. 1989. ‘Grade 2 verbs with indirect objects in the Dogondoutchi dialect of Hausa.’ MAthesis,UniversityofLeiden.
Tuller, Laurice. 1988. ‘Resumptive strategies in Hausa.’ In StudiesinHausaLanguageandLinguistics(InHonourofF.W.Parsons),ed.ByFurniss,GrahamandPhilipJ.Jaggar,pp.132-148.London:KeganPaulInternationalinassiciationwiththeInternationalAfricanInstitute.
Wolff, H. Ekkehard. 1984. ‘Simple and extended verb stems in Hausa: towards an internal reconstruction of the Old Hausa verbal system’, TheJournalofWestAfricanLanguages14:3-26.

날이 갈수록 국내의 아프리카에 대한 열기는 고조되어 가고 있다. 언어는 그 사회를 이해하고 그 사회의 구성원들과 친해지는 데 꼭 필요한 도구이다. 이 책이 하우사어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서아프리카의 문화를 연구하고, 또 우리의 문화를 그 곳에 전달하는데 일익을 담당할 수 있기를 바란다. 16년에 걸친 강단에서의 경험을 집대성했음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점이 많은 것은 내 능력의 한계에 기인하는 것이다. 부디 후학들의 질책과 수정.보완이 있기를 바랄 뿐이다.

2011년 가을
왕산에서
저자 장태상


목차


책의 구성 및 학습방법 / 14
발음 / 15
성조와 모음의 길이 / 18

제1강 : 명사의 성 / 21
제2강 : 계사 / 25
제3강 : 완료양상 / 29
제4강 : 미래양상 / 33
제5강 : 직접목적대명사 / 37
제6강 : 인사표현 / 41
제7강 : 1단동사 / 45
제8강 : 목적어의 유무와 1단동사의 활용 / 53
제9강 : 독립대명사 / 57
제10강 : 간접목적어 / 62
제11강 : 가시적 지시사 / 66
제12강 : 2단동사 / 71
제13강 : 진행양상 / 78
제14강 : 3단동사 / 86
제15강 : 준동사 / 93
제16강 : 불가시적 지시사 / 98
제17강 : 가상법 1 / 103
제18강 : 가상법 2 / 111
제19강 : 4단동사 / 119
제20강 : 접속사 / 126
제21강 : 형용사적 표현 / 136
제22강 : yi 복합동사 / 141
제23강 : 전치사 / 147
제24강 : 수 / 164
제25강 : 5단 동사 / 171
제26강 : 6단 동사 / 178
제27강 : 소유대명사 / 182
제28강 : 속격 연결사 / 187
제29강 : 시간 관련 표현 / 191
제30강 : 조건문 (1) / 197
제31강 : 예 / 아니오 / 200
제32강 : 불한정 인칭 대명사 / 203
제33강 : 재귀 대명사 / 206
제34강 : ma"i / 209
제35강 : 7단동사 / 211
제36강 : ‘주다’ 동사 / 217
제37강 : 의문 형용사와 의문 대명사 / 220
제38강 : 의문사 / 223
제39강 : 비교급과 최상급 / 229
제40강 : 간접 의문사 / 233
제41강 : 동명사 / 236
제42강 : dan sa"nda" / 248
제43강 : 조동사 / 251
제44강 : 일반적 무능력과 일시적 무능력 / 257
제45강 : 관계양상 / 259
제46강 : 조동사 riga" ‘이미 ~했다’ / 267
제47강 : 문장 전체를 감싸는 부정 ba … ba / 269
제8 강 : 초점화 / 272
제49강 : 습관을 나타내는 양상 / 277
제50강 : 감각적 자질의 추상명사와 파생형용사 및 파생동사 / 278
제51강 : 중복 복수형 / 286
제52강 : -anci" 접미사 / 290
제53강 : 지역이나 종족의 개별 구성원을 부르는 말 / 293
제54강 : 사칙연산과 분수 / 296
제55강 : HAR / 300
제56강 : 형용사 / 306
제57강 : duk wa"nda" … , duk a"bi"n da" ... / 310
제58강 : ga" / ga"re" / 312
제59강 : 때 / 318
제60강 : ko"- 양보사 / 323
제61강 : 명사절을 유도하는 da" / 335
제62강 : ~ 하자마자 / 338
제63강 : 상태사 / 342
제64강 : SAI / 347
제65강 : 조건문 (2) /359
제66강 : 부사 / 366
제67강 : 부정의 범위 / 373
제68강 : 과거분사 / 376
제69강 : 강조사 / 380
제70강 : TUN / 384
제71강 : 약화형 형용사와 약화형 명사 / 391
제72강 : 관계 대명사 / 393
제73강 : dan + 명사 / 398
제74강 : 강화형 명사와 강화형 부사 / 400
제75강 : 의문문과 부가 의문문 / 403
제76강 : 미래 양상 (보충) / 406
제77강 : 동사 gani", sani"", bari"" / 409
제78강 : 강화형 동사 / 412
제79강 : 가정법 / 416
제80강 : 사회격 동사 / 420
제81강 : 동사의 간접 목적형 / 424
제82강 : ko" / 430
제83강 : 파생명사 / 436
제84강 : ka"mar / 440
제85강 : 시간 관련 표현시 주의 사항 / 444
제86강 : ban+명사 / 450
제87강 : 구개음화 / 453
제88강 : 의성어와 의태어 / 455
제89강 : 명사의 여성형 / 460
제90강 : 명령법 / 464
제91강 : 명사의 복수형 / 472
제92강 : 불한정 대명사와 불한정 형용사 / 480

DICTIONATY / 485
TABLES OF PRONOUNS / 512
인용문헌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