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세설신어성휘운분(하)

세설신어성휘운분(하)

  • 김장환
  • |
  • 학고방
  • |
  • 2012-11-30 출간
  • |
  • 475페이지
  • |
  • 188 X 254 mm
  • |
  • ISBN 9788960712799
판매가

37,000원

즉시할인가

33,3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3,3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세설신어≫는 중국 위진남북조 송나라의 문인 유의경(劉義慶: 403~444)이 후한 말에서 동진 말까지 실존했던 제왕과 고관 귀족을 비롯하여 문인ㆍ학자ㆍ은자ㆍ스님ㆍ부녀자 등 700여 명에 달하는 인물의 독특한 언행과 일화를 주제별로 36편에 수록해 놓은 필기문헌이다. 내용은 상당히 방대하여 당시의 문학ㆍ예술ㆍ정치ㆍ학술ㆍ사상ㆍ역사ㆍ사회상ㆍ인생관 등 인간생활의 전반적인 면모를 담고 있다. 따라서 ≪세설신어≫는 중국 중고시대의 문화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작품이다.
≪세설신어보≫는 명나라 때 왕세정(王世貞)이 ≪세설신어≫와 그것을 확대 보충한 ≪하씨어림(何氏語林)≫ 두 책을 합한 뒤 산정(刪定)한 것으로, 수록된 고사의 시대범위는 원나라 때까지 확대되었지만 전체적인 체재와 분위기는 고스란히 ≪세설신어≫를 계승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시대에 ≪세설신어보≫를 현종실록자(顯宗實錄字)로 간행할 정도로 그 가치가 높이 평가되었으며, 실제로 지식인들 사이에서 ≪세설신어≫보다 훨씬 널리 읽혔다.
≪세설신어성휘운분≫은 조선시대 어떤 문사가 ≪세설신어보≫를 완전히 해체하여 전체 고사를 등장인물의 성씨별로 재배치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만 간행된 세계적으로 진귀한 판본이다. ≪세설신어≫의 결점 가운데 하나로 종종 지적되는 것은 등장인물이 여러 편에 산재되어 있어서 한 인물의 전체 면모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었는데, ≪세설신어성휘운분≫은 바로 이러한 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했으며, 또한 일종의 검색 역할을 하는 다양한 장치를 마련하여 독자들에게 열독(閱讀)의 편리함을 제공해주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형식과 체재의 판본이 국내에서 간행되었다는 것은 당시 지식인들이 얼마나 ≪세설신어≫를 탐독하고 애호했는지를 잘 대변해준다고 하겠다.


목차


世說新語姓彙韻分 卷之九
515 왕승건(王僧虔)
516 왕검(王儉)
517 왕경칙(王敬則)
518 왕융(王融)
519 왕빈(王?)
520 왕온(王蘊)
521 왕건(王騫)
522 왕규(王規)
523 왕태(王泰)
524 왕령언(王令言)
525 왕통(王通)
526 왕방경(王方慶)
527 왕적(王績)
528 왕유(王維)
529 왕안석(王安石)
530 왕방(王?)
531 왕분(王汾)
532 장후(蔣?)
533 상장(向長)
534 상수(向秀)
535 상웅(向雄)
536 명산빈(明山賓)
537 정의(丁儀)
538 정위(丁謂)
539 성공간(成公簡)
540 경방(京房)
541 병원(?原)
542 경신마(敬新磨)
543 맹가(孟嘉)
544 맹루(孟陋)
545 맹의(孟?)
546 맹호연(孟浩然)
547 정숭(鄭崇)
548 정현(鄭玄)
549 정천(鄭泉)
550 정계(鄭?)
551 형소(邢?)
552 등양(鄧?)
553 등애(鄧艾)
554 등하(鄧遐)
555 등유(鄧攸)
556 응소(應?)
557 등원발(?元發)
558 증공(曾鞏)
559 주승(周乘)
560 주택(周澤)
561 주유(周瑜)
562 주처(周處)
563 주소(周邵)
564 주의(周?)
565 주숭(周嵩)
566 주옹(周?)
567 주유악(周維岳)
568 유파(劉巴)
569 유정(劉楨)
570 유령(劉伶)
571 유창(劉昶)

世說新語姓彙韻分 卷之十
572 유보(劉寶)
573 유여(劉輿)
574 유곤(劉琨)
575 유담(劉?)
576 유주(劉疇)
577 유수(劉綏)
578 유린지(劉?之)
579 유원지(劉爰之)
580 유응지(劉凝之)
581 유현명(劉玄明)
582 유환(劉?)
583 유옹(劉邕)
584 유상(劉祥)
585 유회(劉繪)
586 유효작(劉孝綽)
587 유량(劉諒)
588 유준(劉峻)
589 유우(劉?)
590 유주(劉晝)
591 유자익(劉子翼)
592 유신(劉迅)
593 유우석(劉禹錫)
594 유반(劉?)
595 유서(劉恕)
596 후패(侯覇)
597 후백(侯白)
598 우홍(牛弘)
599 추담(鄒湛)
600 구령국(丘靈鞠)
601 유열(柳悅)
602 유기(柳機)
603 구준(寇準)
604 두종일(竇從一)
605 임연(任延)
606 임개(任愷)
607 임첨(任瞻)
608 임방(任昉)
609 임포(林逋)
610 심소략(沈昭略)
611 염립본(閻立本)
612 엄광(嚴光)
613 엄안(嚴顔)
614 엄무(嚴武)
615 엄안지(嚴安之)
616 범식(范式)
617 범단(范丹)
618 범선(范宣)
619 범계(范啓)
620 범엽(范曄)
621 범진(范縝)
622 범순인(范純仁)
623 범육(氾毓)
624 곽태(郭泰)
625 곽회(郭淮)
626 곽상(郭象)
627 곽눌(郭訥)
628 곽문(郭文)
629 곽박(郭璞)
630 곽우(郭瑀)
631 곽자의(郭子儀)
632 곽충서(郭忠恕)
633 곽욱(郭昱)
634 학륭(?隆)
635 악광(樂廣)

世說新語姓彙韻分 卷之十一
636 육굉(陸?)
637 육개(陸凱)
638 육기(陸機)
639 육운(陸雲)
640 육완(陸玩)
641 육납(陸納)
642 육혜효(陸慧曉)
643 육우(陸羽)
644 축경수(?景秀)
645 적인걸(狄仁傑)
646 석숭(石崇)
647 석야저(石野猪)
648 석중립(石中立)
649 적탕(翟湯)
650 목병(沐?)
651 목제파(穆提婆)
652 곡나율(谷那律)
653 복도(伏滔)
654 복건(服虔)
655 필탁(畢卓)
656 설도형(薛道衡)
657 습착치(習鑿齒)
658 섭계보(?季寶)
659 섭의문(葉義問)
660 색정(索靖)
661 악주(岳柱)
662 제갈량(諸葛亮)
663 제갈정(諸葛?)
664 제갈각(諸葛恪)
665 제갈회(諸葛恢)
666 제갈굉(諸葛?)
667 황보규(皇甫規)
668 황보밀(皇甫謐)
669 호무보지(胡毋輔之)
670 영호도(令狐?)
671 하후현(夏侯玄)
672 하후단(夏侯亶)
673 태숙광(太叔廣)
674 중장자광(仲長子光)
675 구양순(歐陽詢)
676 사공도(司空圖)
677 사마휘(司馬徽)
678 사마방(司馬防)
679 사마의(司馬懿)
680 사마사(司馬師)
681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
682 소열황제(昭烈皇帝)
683 무제(武帝) 조조(曹操)
684 문제(文帝) 조비(曹丕)
685 명제(明帝) 조예(曹叡)
686 동아왕(東阿王) 조식(曹植)
687 대제(大帝) 손권(孫權)
688 경제(景帝) 손휴(孫休)
689 후주(後主) 손호(孫皓)
690 세조(世祖) 무황제(武皇帝)
691 민회태자(愍懷太子) 사마휼(司馬?)
692 중종(中宗) 원황제(元皇帝)
693 숙종(肅宗) 명황제(明皇帝)
694 초왕(?王) 사마무기(司馬無忌)

世說新語姓彙韻分 卷之十二
695 태종(太宗) 간문황제(簡文皇帝)
696 열종(烈宗) 효무황제(孝武皇帝)
697 회계왕(會稽王) 사마도자(司馬道子)
698 주(主) 석륵(石勒)
699 주(主) 부견(?堅)
700 주(主) 모용수(慕容垂)
701 무제(武帝) 유유(劉裕)
702 폐제(廢帝) 유자업(劉子業)
703 무릉왕(武陵王) 소엽(蕭曄)
704 무제(武帝) 소연(蕭衍)
705 소명태자(昭明太子) 소통(蕭統)
706 간문제(簡文帝) 소강(蕭綱)
707 함양왕(咸陽王) 원희(元禧)
708 팽성왕(彭城王) 원협(元?)
709 신무제(神武帝) 고환(高歡)
710 곽왕(?王) 이원궤(李元軌)
711 현종(玄宗) 명황제(明皇帝)
712 소종황제(昭宗皇帝)
713 장종(莊宗) 이존욱(李存勖)
714 악양자(樂羊子) 처
715 진영(陳?) 모
716 반첩여(班??)
717 원외(袁?) 처 마씨(馬氏)
718 채염(蔡琰)
719 공융(孔融) 녀
720 변태후(卞太后)
721 허윤(許允) 처 완씨(阮氏)
722 왕광(王廣) 처 제갈씨(諸葛氏)
723 왕경(王經) 모
724 조희(趙姬)
725 왕혼(王渾) 처 종씨(鍾氏)
726 왕담(王湛) 처 학씨(?氏)
727 가충(賈充) 처 이씨(李氏)
728 산도(山濤) 처 한씨(韓氏)
729 도간(陶侃) 모 담씨(湛氏)
730 주준(周浚) 처 이씨(李氏)
731 사랑(謝朗) 모 왕씨(王氏)
732 사안(謝安) 처 유씨(劉氏)
733 왕희지(王羲之) 처 치씨(?氏)
734 왕응지(王凝之) 처 사씨(謝氏)
735 유선(庾宣) 처 환씨(桓氏)
736 치초(?超) 처 주씨(周氏)
737 한백(韓伯) 모 은씨(殷氏)
738 환충(桓?) 처 왕씨(王氏)
739 환온(桓溫) 첩 이씨(李氏)
740 세조황후(世祖皇后) 왕씨(王氏)
741 명제황후(明帝皇后) 왕씨(王氏)
742 유효작(劉孝綽) 삼매(三妹)
743 상관소용(上官昭容)
744 정화공주(政和公主)
745 장열(張說) 녀
746 원재(元載) 처 왕씨(王氏)
747 황소(黃巢) 희첩(姬妾)
748 진국장공주(秦國長公主)
749 도안(道安)
750 지둔(支遁)
751 도일도인(道壹道人)
752 축법태(?法汰)
753 승의(僧意)
754 혜원(惠遠)
755 도징(圖澄)
756 축법심(?法深)
757 고좌도인(高坐道人)
758 민도도인(愍度道人)
759 도유(道猷)
760 혜휴(惠休)
761 혜량(慧亮)
762 혜륭(慧隆)
763 혜정(慧淨)
764 중조소아(中朝小兒)
765 성랑(省郎)

◈ 인명 찾아보기(가나다순)
◈ 인명 찾아보기(시대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