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세설신어성휘운분(상)

세설신어성휘운분(상)

  • 김장환
  • |
  • 학고방
  • |
  • 2012-11-30 출간
  • |
  • 504페이지
  • |
  • 188 X 254 mm
  • |
  • ISBN 9788960712775
판매가

40,000원

즉시할인가

36,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6,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세설신어≫는 중국 위진남북조 송나라의 문인 유의경(劉義慶: 403~444)이 후한 말에서 동진 말까지 실존했던 제왕과 고관 귀족을 비롯하여 문인ㆍ학자ㆍ은자ㆍ스님ㆍ부녀자 등 700여 명에 달하는 인물의 독특한 언행과 일화를 주제별로 36편에 수록해 놓은 필기문헌이다. 내용은 상당히 방대하여 당시의 문학ㆍ예술ㆍ정치ㆍ학술ㆍ사상ㆍ역사ㆍ사회상ㆍ인생관 등 인간생활의 전반적인 면모를 담고 있다. 따라서 ≪세설신어≫는 중국 중고시대의 문화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작품이다.
≪세설신어보≫는 명나라 때 왕세정(王世貞)이 ≪세설신어≫와 그것을 확대 보충한 ≪하씨어림(何氏語林)≫ 두 책을 합한 뒤 산정(刪定)한 것으로, 수록된 고사의 시대범위는 원나라 때까지 확대되었지만 전체적인 체재와 분위기는 고스란히 ≪세설신어≫를 계승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시대에 ≪세설신어보≫를 현종실록자(顯宗實錄字)로 간행할 정도로 그 가치가 높이 평가되었으며, 실제로 지식인들 사이에서 ≪세설신어≫보다 훨씬 널리 읽혔다.
≪세설신어성휘운분≫은 조선시대 어떤 문사가 ≪세설신어보≫를 완전히 해체하여 전체 고사를 등장인물의 성씨별로 재배치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만 간행된 세계적으로 진귀한 판본이다. ≪세설신어≫의 결점 가운데 하나로 종종 지적되는 것은 등장인물이 여러 편에 산재되어 있어서 한 인물의 전체 면모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었는데, ≪세설신어성휘운분≫은 바로 이러한 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했으며, 또한 일종의 검색 역할을 하는 다양한 장치를 마련하여 독자들에게 열독(閱讀)의 편리함을 제공해주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형식과 체재의 판본이 국내에서 간행되었다는 것은 당시 지식인들이 얼마나 ≪세설신어≫를 탐독하고 애호했는지를 잘 대변해준다고 하겠다.


목차


교석자의 말

≪세설신어성휘운분≫ ─성씨별로 읽는 ≪세설신어≫
<세설신어성휘운분범례 (世說新語姓彙韻分凡例)>
<세설신어보서(世說新語補序)>
<구서(舊序)>
<세설신어성휘운분목록 (世說新語姓彙韻分目錄)>
<부구목록(附舊目錄)>

世說新語姓彙韻分 卷之一
001 풍도(馮道)
002 풍연사(馮延巳)
003 풍경(馮京)
004 충방(충放)
005 동화(董和)
006 동양(董養)
007 공분(孔奮)
008 공숭(孔嵩)
009 공융(孔融)
010 공탄(孔坦)
011 공유(孔愉)
012 공군(孔군)
013 공순지(孔淳之)
014 공의(孔의)
015 공희선(孔熙先)
016 공치규(孔稚圭)
017 공휴원(孔休源)
018 공범(孔範)
019 공극(孔極)
020 종호(鍾皓)
021 종요(鍾繇)
022 종육(鍾毓)
023 종회(鍾會)
024 종아(鍾雅)
025 종예(宗預)
026 종승(宗承)
027 종병(宗炳)
028 종각(宗慤)
029 종측(宗測)
030 종여주(宗如周)
031 공승(공勝)
032 송종(宋宗)
033 송경(宋璟)
034 송지문(宋之問)
035 송기(宋祁)
036 강반(江반)
037 강돈(江惇)
038 강관(江灌)
039 강애(江애)
040 강효(江斅)
041 강엄(江淹)
042 강석(江석)
043 강종간(江從簡)
044 방참(龐參)
045 방통(龐統)
046 지습(脂習)
047 시묘(時묘)
048 휴과(휴과)
049 이응(李膺)
050 이풍(李豊)
051 이밀(李密)
052 이중(李重)
053 이충(李充)
054 이흠(李흠)
055 이희(李喜)
056 이원충(李元忠)
057 이집(李集)
058 이원개(李元凱)
059 이해(李諧)
060 이밀(李謐)
061 이덕림(李德林)
062 이밀(李密)
063 이백(李白)
064 이백약(李百藥)
065 이면(李勉)
066 이필(李泌)
067 이귀년(李龜年)
068 이덕유(李德裕)
069 이사진(李嗣眞)
070 이납(李納)
071 이항(李沆)
072 기승진(紀僧眞)
073 지첨(摯瞻)
074 비의(費의)
075 위탄(韋誕)
076 위승경(韋承慶)
077 위척(韋陟)
078 위고(韋고)
079 위수(韋綬)
080 치감(치鑒)
081 치음(치음)
082 치초(치超)

世說新語姓彙韻分 卷之二
083 위서(魏舒)
084 위의(魏의)
085 위수(魏牧)
086 위징(魏徵)
087 위야(魏야)
088 서치(徐穉)
089 서녕(徐寧)
090 서광(徐廣)
091 서선지(徐선之)
092 서면(徐勉)
093 서릉(徐陵)
094 서유공(徐有功)
095 서회(徐晦)
096 저도(저陶)
097 저부(저부)
098 저상(저爽)
099 저소(저炤)
100 저연(저淵)
101 여안(呂安)
102 여태을(呂太乙)
103 여재(呂才)
104 허건(許虔)
105 허소(許소)
106 허조(許璪)
107 허순(許詢)
108 허경종(許敬宗)
109 허근선(許謹選)
110 우번(虞번)
111 우존(虞存)
112 우소부(虞嘯父)
113 우비(虞[馬+斐])
114 우완지(虞玩之)
115 우세남(虞世南)
116 주휘(朱暉)
117 주목(朱穆)
118 주백년(朱百年)
119 주이(朱이)
120 주도추(朱桃椎)
121 오전(吳展)
122 오은지(吳隱之)
123 오도현(吳道玄)
124 소경(蘇瓊)
125 소세장(蘇世長)
126 소정(蘇정)
127 소식(蘇軾)
128 소순흠(蘇舜欽)
129 소상(蘇庠)
130 노지(盧志)
131 노순조(盧詢祖)
132 노매(盧邁)
133 노승경(盧承慶)
134 노장용(盧藏用)
135 노기(盧杞)
136 부랑(符朗)
137 호위(胡威)
138 간보(干寶1))
139 포원(蒲元)
140 유승(庾乘)
141 유애(庾애)
142 유량(庾亮)
143 유빙(庾氷)
144 유익(庾翼)
145 유화(庾화)
146 유희(庾羲)
147 유법창(庾法暢)
148 유통(庾統)
149 유천(庾闡)
150 유고지(庾고之)
151 유신(庾信)
152 유자여(庾子輿)
153 조광(祖廣)
154 조납(祖納)
155 조적(祖적)
156 조약(祖約)
157 조영(祖瑩)
158 조정(祖珽)
159 두서(杜恕)
160 두예(杜乂)
161 두황상(杜黃裳)
162 두심언(杜審言)
163 두보(杜甫)
164 무해(武해)

世說新語姓彙韻分 卷之三
165 고옹(顧雍)
166 고소(顧소)
167 고영(顧榮)
168 고현(顧顯)
169 고화(顧和)
170 고부(顧敷)
171 고열(顧悅)
172 고개지(顧愷之)
173 고침(顧琛)
174 고협(顧協)
175 고환(顧歡)
176 부하(傅하)
177 부량(傅亮)
178 부소(傅昭)
179 유척(喩陟)
180 노암(路巖)
181 혜강(혜康)
182 혜소(혜紹)
183 미불(米불)
184 예형(예衡)
185 위자(衛玆)
186 위관(衛瓘)
187 위개(衛개)
188 위영(衛永)
189 위전(衛展)
190 채옹(蔡邕)
191 채홍(蔡洪)
192 채모(蔡謨)
193 배휘(裴徽)
194 배해(裴楷)
195 배찬(裴瓚)
196 배위(裴위)
197 배하(裴遐)
198 배막(裴邈)
199 배소명(裴昭明)
200 배염(裴炎)1)
201 배도(裴度)
202 배길(裴佶)
203 최표(崔豹)
204 최호(崔浩)
205 최릉(崔릉)
206 최첨(崔瞻)
207 최신명(崔信明)
208 최공유(崔公孺)
209 뇌유종(雷有終)
210 매순(梅詢)
211 내민(來敏)
212 대연(戴淵)
213 대규(戴逵)
214 대옹(戴옹)
215 대지덕(戴至德)
216 순거백(荀巨伯)
217 순숙(荀淑)
218 순정(荀靖)
219 순상(荀爽)
220 순욱(荀彧)
221 순찬(荀粲)
222 순욱(荀勖)
223 순선(荀선)
224 진함(陳咸)
225 진번(陳蕃)
226 진식(陳寔)
227 진기(陳紀)
228 진등(陳登)
229 진군(陳군)
230 진림(陳琳)
231 진태(陳泰)
232 진규(陳逵)
233 진수(陳壽)
234 진유(陳遺)
235 진훤(陳暄)
236 진현달(陳顯達)
237 진집중(陳執中)
238 진자우(秦子羽)
239 진관(秦觀)
240 진회(秦檜)
241 민공(閔貢)

世說新語姓彙韻分 卷之四
242 은선(殷羨)
243 은융(殷融)
244 은호(殷浩)
245 은중감(殷仲堪)
246 은의(殷의)
247 은중문(殷仲文)
248 원덕수(元德秀)
249 원랑(袁랑)
250 원환(袁渙)
251 원교(袁喬)
252 원굉(袁宏)
253 원탐(袁耽)
254 원찬(袁粲)
255 손책(孫策)
256 손등(孫登)
257 손성(孫盛)
258 손방(孫放)
259 손초(孫楚)
260 손작(孫綽)
261 손규(孫揆)
262 온교(溫嶠)
263 온정균(溫庭筠)
264 원회(源懷)
265 완무(阮武)
266 완간(阮侃)
267 완적(阮籍)
268 완함(阮咸)
269 완혼(阮渾)
270 완첨(阮瞻)
271 완부(阮孚)
272 완유(阮裕)
273 완수(阮脩)
274 완장지(阮長之)
275 한강(韓康)
276 한수(韓壽)
277 한백(韓伯)
278 한기린(韓麒麟)
279 한창(韓창)
280 한희재(韓熙載)
281 한기(韓琦)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