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국내외 IPTV 시장동향과 전망: 방송통신융합 중심으로

국내외 IPTV 시장동향과 전망: 방송통신융합 중심으로

  • 데이코산업연구소
  • |
  • 진한엠앤비
  • |
  • 2010-07-30 출간
  • |
  • 388페이지
  • |
  • 210 X 297 X 30 mm /997g
  • |
  • ISBN 9788984324589
판매가

250,000원

즉시할인가

225,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인 IPTV는 2012년말까지 지상파방송의 디지털 완료라는 정책 목표 아래, 지상파/케이블 방송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현재의 IPTV 서비스는 통신기술과 방송기술의 융합을 통해 실시간 방송서비스, VOD 및 양방향 서비스를 IP 기반으로 제공하는 폐쇄형의 1세대 IPTV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2세대 IPTV에서는 유무선 통합망을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나 어떤 단말기로도 다양한 응용서비스와 고품질의 융합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개방형 IPTV 서비스제공이 가능할 것이며, 3세대 IPTV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3D 및 UHD급 멀티미디어 기반의 개인 맞춤형·실감형 IPTV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조사 기관 MRG에 따르면, IPTV는 유럽, 미국, 일본 등 세계 30여개국 200여개 사업자들이 이미 실시 또는 도입 중이며, 전세계 IPTV 가입자는 2008년에 2,040만명에서 2012년에 8,910만명(CAGR 45%)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세계 IPTV 시장 규모는 2008년 59억불에서 2012년 296억불(CAGR 50%)로 크게 성장 할 것으로 전망되며, 현재는 아시아의 낮은 ARPU로 인하여 유럽과 북미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궁극적으로 아시아가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IT 인프라가 풍부한 국내 시장도 높은 성장세가 전망되고 있다, 2008년 10월 KT, SK브로드밴드, LGU+ 등 3사가 사업자로 선정되면서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IPTV에서 구현되는 실시간 다채널 디지털방송, VOD, 양방향 데이터방송 등의 서비스 내용은 디지털케이블TV에서도 동일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결합 상품을 통한 판매 영업도 유사하게 진행되면서 상호 경쟁 구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당사는 국내 IPTV 시장/기술/표준화 동향 및 글로벌 주요 국가들의 분야별 참여 실태와 동향 등을 면밀히 정리, 분석하였으며, 또한 국내외 방송통신 산업의 동향 및 전망을 집중 조명하였다. 최근 이슈가 되는 ‘IPTV’ 관련 동향을 분석하여, 관련 산업의 종사자 및 관계자들에게 종합적이고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여 이해를 돕고자 하였으며, 본서가 IPTV 분야의 관계자 및 관련사업을 계획하는 업계의 실무담당자 업무에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목차


제1장 국내 IPTV 시장 동향과 전망
1. IPTV 개요
1-1. IPTV 정의
1-2. IPTV 장점
1) 쌍방향 서비스 가능
2) 개인화 서비스 가능
3) 번들서비스 가능
1-3. IPTV 특징
1-4. IPTV 서비스
1-5. 한국 IPTV 도입 과정
1) 2003년 - 방송매체 디지털 전환과 방송법 개정 요구
2) 2004년 - 방송 통신 경쟁 가속화에 따른 갈등 심화
(1) 유사방송 규제완화 요구와 「통방 융합서비스법」 초안 완료
(2) 광대역 통합망(BcN) 1차 시범사업 추진
(3) 방송진영과 통신진영 경쟁 가속화
3) 2005년 - IPTV 논쟁 가열
(1) 케이블TV 사업자 Vs 통신사업자
(2) 케이블 광대역통합망 컨소시엄 BcN 시범사업자로 추가 선정
(3) 방송위원회 Vs 정보통신부
(4) 통신사업자 IPTV 전단계 TV포털로 급선회
4) 2006년 - 하나TV 서비스 시작
(1) TV포탈 서비스 「하나TV」개시
(2) 방송통신융합법 지지부진
5) 2007년 - Pre IPTV 성장 Vs 관련 법 여전히 표류
(1) Pre IPTV 성장
(2) 방송통신융합추진위원회 다수안 발표
2. 국내 IPTV 시장 및 주요업체 동향
2-1. 국내 IPTV 시장동향과 전망
1) 국내 IPTV 시장 동향 및 전망
2) 국내 IPTV 가입자 동향
3) IPTV 컨텐츠 변화
4) IPTV 인터넷 기능 흡수
5) 주요 사업자별 IPTV 채널 및 요금 구성
2-2. 주요 국내 IPTV 업체 동향 및 전략
1) IPTV 서비스 사업자 동향
(1) (주)KT
(2) SK브로드밴드
(3) LG U+
2) IPTV 콘텐츠 사업자 동향
(1) 홈쇼핑 업체
(2) 기타 콘텐츠 사업자
3) 장비/솔루션 동향
(1) 한국주니퍼네트웍스
(2) 한국알카텔루슨트
(3) 한국쓰리콤
(4) 모토로라코리아
(5) 시스코시스템즈코리아
(6) LG노텔
3. IPTV 기술동향
3-1. 기술개요
3-2. 기술 현황
4. IPTV 표준화 정책방향
4-1. 표준화로드맵 정의
4-2. 표준화 개요
4-3. IPTV 표준화 동향
1) 국내 IPTV 표준화 동향
2) 해외 IPTV 표준화 동향
4-4. 표준화 추진동향
1) 추진경과 및 중점추진방향
2) 표준화의 Vision 및 기대효과
(1) 표준화의 필요성
(2) 표준화의 목표
(3) Vision 및 기대효과

제2장 해외 IPTV 시장 동향과 전망
1. 세계 IPTV 시장 동향
1-1. 시장개요
1-2. 국가별 IPTV 서비스 도입현황 및 주요이슈
2. 지역별 IPTV 시장동향
2-1. 미주
1) 개요
2) 미국
(1) 주요 정책동향
(2) 시장동향
(3) 주요 사업자 동향
3) 캐나다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4) 브라질
(1) 주요 정책 동향
(2) 시장 동향
(3) 주요 사업자 동향
5) 멕시코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6) 칠레
(1) 시장 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7) 페루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8) 파라과이
(1) 시장 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9) 베네수엘라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2-2. 아시아 태평양
1) 개요
2) 일본
(1) 정책동향
(2) 시장 동향
(3) 주요 사업자 동향
3) 중국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4) 대만
(1) 시장 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5) 말레이시아
(1) 시장 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6) 태국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7) 인도
(1) 정책 동향
(2) 시장동향
(3) 주요 사업자 동향
8) 베트남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9) 호주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10) 카자흐스탄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2-3. 유럽
1) 개요
2) 영국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3) 프랑스
(1) 정책 동향
(2) 시장동향
(3) 주요 사업자 동향
4) 독일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5) 스페인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6) 네덜란드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7) 이탈리아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8) 핀란드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9) 불가리아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10) 터키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11) 러시아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12) 헝가리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13) 루마니아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2-4. 중동아프리카
1) 개요
2) 나이지리아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3) 남아공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4) 사우디아라비아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5) UAE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6) 이집트
(1) 시장동향
(2) 주요 사업자 동향

제3장 국내외 방송통신 산업 동향과 전망
1. 국내 방송통신 산업 동향과 전망
1-1. 개요
1) 방송 통신 서비스 산업의 분류와 특징
2) 방송의 종류
(1) 지상파 TV
(2) 유선방송(종합∙중계유선방송)
(3) 위성방송
(4) 지상파DMB
(5) 위성DMB
(6) IPTV
(7) 인터넷방송
(8) 데이터 방송
1-2. 국내 방송서비스 사업현황
1) 방송매체별 사업자수
2) 종사자 현황
3) 방송서비스 매출 현황
(1) 시장규모 추이
(2) 지상파 방송 매출현황
(3) 종합유선방송과 중계유선방송 매출 현황
(4) 위성방송 매출현황
(5) 방송채널사용사업 매출현황
4) 방송매체별 사업현황
(1) 지상파방송사
(2) 종합유선방송사
(3) 방송채널사용사업자
1-3. 국내 유료방송 현황
1) 유료방송 가입자 현황
2) 채널운영 현황
(1) 종합유선방송사
(2) 중계유선방송사
(3) 위성방송사
3) 부가서비스 현황
1-4. 국내 방송프로그램 제작과 편성 현황
1) 지상파방송사 동향
(1) 프로그램 제작비 현황
(2) 프로그램 편성 현황
(3) HDTV 프로그램 제작 현황
2) 종합유선방송사의 제작과 편성 현황
3) 일반위성방송사의 제작과 편성 현황
4) 위성이동멀티미디어방송사의 제작과 편성 현황
5)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의 제작과 편성 현황
1-5. 국내 방송 프로그램 유통 현황
1) 프로그램 국내 판매와 구매 현황
2) 프로그램 수출입 현황
(1) 지상파방송사의 프로그램 수출입 현황
(2)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의 프로그램 수출입 현황
1-6. 2010년 국내 방송통신산업 전망
1) 개요
2) 부문별 방송통신 시장 전망
(1) 유선통신서비스
(2) 무선통신서비스
(3) 부가통신
(4) 지상파방송서비스
(5) 유선방송서비스
(6) 위성방송서비스
(7) 채널제공업(PP)
(8) 통신기기
(9) 방송기기
2. 해외 방송통신 산업 동향
2-1. EU의 방송통신서비스 시장현황
1) EU 방송서비스 시장 개관
2) 통신서비스 시장 개관
(1) 유선시장
(2) 무선시장
(3) 인터넷 시장
2-2. 미국의 방송시장 현황
1) 개요
2) 지상파방송
3) 케이블방송
4) 위성방송
2-3. 호주의 통신서비스 시장 현황
1) 개요
2) 유선통신 시장
3) 이동통신 시장
4) 인터넷 서비스 시장
2-4. 영국의 이동통신시장 동향
1) 이동통신시장 동향
2-5. 러시아의 방송통신서비스 시장현황
1) 방송 서비스 시장 현황
(1) 지상파 방송
(2) 케이블 방송
(3) 위성방송
2) 러시아의 통신 서비스 시장 현황
(1) 유선통신
(2) 무선통신
(3) 초고속인터넷
3) 방송통신 융합서비스 시장: IPTV
3. 모바일 인터넷 시장 동향
3-1. 개요
1) 정의 및 분류
2) 모바일 인터넷의 진화
3) 모바일 인터넷의 특성
4) 격동하는 무선인터넷 시장
3-2. 세계 이동통신 산업 동향
1) 글로벌 시장동향
2) 국내 시장동향
(1) 시장규모 동향
(2) 기간통신 사업자
(3) 요금 및 데이터매출 동향
3-3. 무선인터넷 육성 정부 지원 정책동향
1) 정책동향 개요
2) 최근 휴대폰 시장의 이슈
(1) 이동통신 4세대(4G) 시장 선점 경쟁 가시화
(2) 진화하는 UI 경쟁

제4장 부록 [참고자료]
1. 국내 방송 통신 분야 관련 통계
1-1. 주요 서비스 및 품목별 통계 현황
1) 방송통신서비스 통계
2) 방송통신기기 통계 현황
1-2. 방송통신산업 통계
1) 전체 생산액
2) 방송통신서비스 생산액(매출액)
2. 지경부 ․ 방통위「방송장비 고도화 추진계획」
3. 방송통신콘텐츠 산업경쟁력 강화 대책
1. 경쟁력 강화대책 개요
2. 국내시장 동향
3. 문제점
4. 방송통신콘텐츠 산업 SW○T 분석
5. 주요과제 추진일정 및 소요예산
4. 국내 방송사업자 List
4-1. 지상파 방송사업자(2009년 6월 30일 기준)
4-2. 지상파 이동멀티미디어 방송사업자 (2009년 6월 30일 기준)
4-3. 종합유선 방송사업자(2009년 6월 30일 기준)
1) 서울지역
2) 부산지역
3) 대구지역
4) 인천지역
5) 광주지역
6) 대전지역
7) 울산지역
8) 경기지역
9) 강원지역
10) 강원지역
11) 충북지역
12) 충남지역
13) 전북지역
14) 전남지역
15) 경북지역
16) 경남지역
17) 경남지역
4-4. 중계유선 방송사업자(2009년 6월 30일 기준)
4-5. 일반위성 방송사업자(2009년 6월 30일 기준)
4-6. 위성이동멀티미디어 방송사업자(2009년 6월 30일 기준)
4-7. IPTV사업자(2009년 6월 30일 기준)
4-8. 방송채널사용사업자(2009년 6월 30일 기준)
4-9. 전광판방송사업자(2009년 6월 30일 기준)
5. IPTV콘텐츠사업자
5-1. 라디오PP
5-2. 부가통신사업자
5-3. 지상파방송
5-3. 텔레비젼PP
5-4. DP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