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가족 (세상에 다시없는 내 편)

가족 (세상에 다시없는 내 편)

  • 박동욱
  • |
  • 태학사
  • |
  • 2014-11-24 출간
  • |
  • 244페이지
  • |
  • 140 X 220 X 20 mm
  • |
  • ISBN 9788959666638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시(漢詩)로 엿보는 옛 가족의 생생한 기록, 그리고 지금 우리!

그 옛날 남편은 아내를 어떻게 사랑하고 그리워했을까? 헤어짐을 전제로 한 슬픈 핏줄, 오누이는 어떤 모습으로 서로를 기억할까? 장인에게 사위는 극진한 백년손님이었을까, 반쪽자식에 불과했을까? 서얼, 듣기만 해도 아픈 이름을 안고 그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언제나 위태로운 신분, 첩과는 어떻게 만나 어떤 사랑을 했을까? 그들 사이에 무슨 말들이 오갔을까?

아내와 아들, 며느리를 먼저 저세상 보내고 아비도 어미도 할미도 되어야 했던 할아버지의 애처로운 사연과 따스한 손주 사랑. 정겨운 시아버지와 딸같이 살가운 며느리 이야기. 고독하고 쓸쓸한 세상에서 진짜 내 편인 자식을 얻은 아버지의 심정. 헤어진 딸을 향한 조선 시대 아버지들의 애틋하고 시린 마음까지! 소소하지만 아주 특별한 그들의 일상을 우리 한시(漢詩)와 사연들로 읽는다.

‘가족’ 안에는 수많은 이름과 숨겨진 이야기가 있다!

가족만으로 살 수 없지만, 가족 없이는 살 수가 없다. 가족은 오랜 세월이 지나도 유효하다. 너무 버겁고 힘든 세상살이, 그 어느 때보다 가족이 필요한 시점이다. 박동욱 교수(한양대학교 기초융합교육원)는 ?세상에 다시없는 내 편, 가족?을 통해 조선 시대의 가족을 되돌아보았다. 그리고 어느 순간부터 서로 잊어가는 지금 우리 가족의 의미를 상기시킨다.

조선 시대는 가부장제(家父長制) 사회였다. 부자(父子), 부부(夫婦), 남녀(男女) 간의 지위 등이 엄격히 정해져 있었다. 게다가 계급 제도를 중시하여 적자(嫡子)와 서자(庶子), 처와 첩을 구별했다. 서자들은 제사나 혼사, 혹은 관로(官路) 진출에 제약을 받았다. 또한 합법적이든 그렇지 않든 여러 명의 첩을 거느릴 수 있었다.
과연 그 시대의 가족들은 어떤 삶을 살았을까.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옛날 사람들의 삶은 늘 흥밋거리지만, 그 호기심은 대부분 사극이나 소설로 채울 수밖에 없었다. 문집이나 실록 등에 기록이 남아 있다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온전히 작가의 창작에 불과하다.
이런 터전에서 저자는 우리 한시를 통해, 옛것과 옛사람들의 흔적을 현재의 공간으로 끌어내 삶의 근원적인 비의(秘意)를 탐구하여 호평받고 있다. 일찍이 시인으로 등단하기도 한 저자 특유의 예스럽고도 감성적인 문장은 마치 조선의 풍경을 옆에서 보는 것처럼 생생하다.
이제 그들이 남긴 이야기를 들어보자.

딸아이 처음으로 말 배우는데 女兒始學語
꽃 꺾고선 그것을 즐거워하네. 折花以爲娛
웃음 띠며 부모에게 물어보는 말 含笑問爺孃
“제 얼굴이 꽃과 비슷한가요?” 女顔花似無
_신정(申晸), ?어린 딸이 꽃을 꺾어 기쁘게 노는 것을 보고서 짓다(見稚女折花爲?喜而有作)?_17쪽

여기 일명 ‘딸 바보’ 아버지가 있다. 신정(申晸)은 어린 딸에 대한 감정이 남달랐는지 딸에 대한 여러 시를 남겼다. 말을 막 배우는 딸이 꽃을 꺾어 와서는 함박웃음을 머금고 “엄마 아빠, 제가 꽃처럼 예뻐요?” 하고 물으며 너무도 즐거워한다. 부모의 눈에 딸보다 예쁜 꽃이 과연 있기나 할까. 그렇게 한껏 재롱부리며 자란 딸이 문밖으로 나가 놀 때면 마음이 놓이지 않았다. 시간이 흘러 처녀가 된 딸은 유독 붉은 치마를 좋아하였고, 연지곤지 찍는 흉내도 냈다. 그러다 이내 곧 혼례를 치르게 되어 집을 떠나면 아버지들은 이별의 서운함과 슬픔에 빠져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아들’의 그늘에 가려져 잘 드러나지 않던 아버지들의 딸 사랑. 예전에도 딸의 재롱은 이렇게 아버지의 마음을 녹아내리게 만들었다.
반면에 ‘딸 사랑’은 사위를 향한 극진한 대접으로도 나타난다.

검은 모자는 매미 날개와 같고 烏帽如蟬翼
푸른 도포 빛깔은 풀빛과 같네. 綠袍如草色
사위 탄 말 꼬리는 땅에 끌리고 白鼻尾?地
말 등의 높이는 넉 자나 되네. 馬背高四尺
두 줄의 고삐는 푸른 실이고 靑絲雙遊?
단정히 공수하는 자 옥과 같네. 端拱人如玉
위엄 있게 문 앞에 도착하는데 威遲到門首
멋진 신발 눈길을 사로잡네. 赫?驚神目
_정범조, ?사위 유맹환에게 주다(贈兪?孟煥)? 부분_152~153쪽

새로 사위를 맞는 장인의 마음이 엿보인다. 설렘 속에서 번듯한 사위를 맞는 흐뭇한 풍경은 요즘 장인의 모습과 다를 것 없다. 무엇이 그리도 좋은지 웃음을 숨기지 못하는 장인의 모습이 떠오른다. 딸아이를 시집보내는 아쉬움은 가슴 깊숙이 숨긴 채 덕담과 칭찬만을 사위에게 말하고 있다. 딸의 운명을 맡길 단 한 사람, 사위에게 전하는 마음에서 오히려 딸을 향한 아버지의 깊은 사랑을 읽을 수 있다.
예나 지금이나 어떤 배우자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개인의 인생은 전혀 다르게 전개된다. 며느리도 마찬가지다. 조선 시대에는 부모라도 출가한 딸과의 왕래가 자유롭지 못했고, 어려운 시부모와 매서운 시누이, 힘든 집안일 등 며느리 혼자 치러내야 했다. 며느리 사랑은 시아버지라고 했던가.

말하노라, 며늘아가! 네 어찌 우연이리. 우리 두 집안은 오래도록 가까웠지. 유풍(遺風)을 숭상하며 철인(喆人) 조상 가지일세. 성근 데서 가까워짐 옛 말씀에 있거니와, 지금에서 옛날 보니 일이 서로 꼭 맞는다. 사람이면 아들 있고, 며느리도 뉘 없으리. 내가 재앙 입은 뒤라 가까운 이 두리니. 아름답다, 네 집안은 한마디로 맺어졌네.
말하노라, 며늘아가! 맑고도 어질구나. 네 조부의 어짊에다 네 아비의 자질 갖춰, 곱고도 정숙하니 칭찬이 자자하다. 현부(賢婦) 이를 이름이니 우리 집안 꼭 맞구나. 내 궁하면 위로 주고, 내 미치면 기뻐하고, 내 살아서는 봉양하고, 내 죽으면 제사하리. 그래서 인정으로 며느리를 아끼나니 시아비 며느리 처음 만나 축원 어이 없을쏘냐.
_조관빈(趙觀彬), ?며느리에게 주는 경계(戒子婦文)? 중에서_140쪽

며느리에 대한 시는 손자를 본 벅찬 감동, 새 식구에 대한 당부, 며느리의 삶에 대한 연민을 표현한 시들이 주를 이루고, 간혹 며느리에게 주는 편지들도 제법 찾을 수 있다. 위기의 순간에 단호한 결단을 요구하거나 딸과 다름없이 생각한다며 이런저런 당부를 건네기도 하며, 몰락한 집안에 시집온 며느리와 사돈 집안에 대한 감사와 기쁨을 담기도 했다. 시아버지와 며느리 사이는 예나 지금이나 어렵고 불편해서 평시에는 그 정을 표현하기가 쉽지 않았을 것이다. 그 때문인지 만시(輓詩,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시)가 가장 많은 작품 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속에서 며느리를 잃은 아픔을 숨기지 않았다. 며느리는 아들의 아내이자, 손주의 어머니다. 소중한 내 핏줄의 운명이 어쩌면 그녀에게 전적으로 달려 있는 셈이니 이보다 더 귀하게 여겨야 할 사람도 없을 것이다.
반면 가족이면서 가족으로 인정받지 못한 구성원도 있었다. 첩의 자식인 서얼이다.

하늘은 지극히 높지만 하늘이라 부르지 않은 적이 없고, 임금 또한 지극히 높지만 임금이라 일컫지 않은 적이 없다. 그런데 서얼이 자기 부모를 부모라 부르지 못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_정약용, ?서얼론(庶孼論)? 중에서_200쪽

그러나 그들을 대하는 아버지의 시에는 적서(嫡庶)의 구분이 느껴지지 않는다. 서매(庶妹)나 서형(庶兄), 서제 사이에서도 형제애는 똑같았다. 서로 왕래도 잦았고 그도 여의치 않으면 편지로 안부를 주고받았다. 서모와의 관계에서도 대개 계모가 지니고 있는 폭력적인 모습은 없다. 서로 간의 위계가 철저히 자리 잡혀 있었기에 분란의 소지는 의외로 많지 않았던 것이다. 서얼뿐일까. 그들을 낳은 여인들의 삶 또한 순탄치 않았다.
조선 시대 남성들이 첩을 들인 이유는 제각각이다. 양반들이 후사를 잇기 위해서, 집을 떠나 외지에서 장기 체류할 때 시중 받기 위해서, 부인이 죽은 뒤 더는 후사를 둘 필요는 없고 오로지 시중 받을 목적으로, 여자를 만나던 중 생긴 자식을 거두기 위해서, 자신의 의지로 혹은 부인의 권유로 첩을 들였던 것으로 나타난다.

그대들 한 몸 되는 한바탕 놀이에서 暮雨朝雲劇?場
7분쯤의 능력도 감당키 어려우리. 七分本事勢難當
한창 때 돌아보면 속에서 천불나니 ?思盛壯心頭火
그대 나이 40년 전에는 열다섯 살이었네. 四十年前十五郞
_김려(金?), ?김요장이 첩을 얻어서 시를 써서 놀리고 조롱하다(金僚長卜姓詩以戱嘲)?_218쪽

김려가, 친구인 김기서(金箕書, 1766~1822)가 쉰다섯 살에 첩을 들일 때 써준 시로 모두 아홉 수이다. 성적인 느낌이 물씬 풍겨 나온다. 그런데 왠지 성적 능력이 감퇴되는 나이에 정욕을 과신하는 허풍이 안쓰럽고 익살스럽다. 몸은 마음처럼 따라주지 않으니, 한창 때를 떠올려보면 속에서 울컥하는 마음도 없지 않을 것이다. 사실은 그 나이에 젊은 여자를 얻어 네가 감당할 수나 있겠냐며 친구를 짓궂게 놀리고 있다.
이들 가족 구성원 외에도 아내를 향한 사랑과 안타까움, 할아버지의 끝없는 손주 사랑 등이 한시 곳곳에 상세히 그려져 있다. 헤어짐을 아쉬워하는 작별의 풍경, 오랜만에 다시 보는 재회의 기쁨, 멀리 떨어져 있으며 느끼는 그리움, 동기(同氣)를 잃은 상실감까지, 가족 간의 감정은 서로를 향한 애틋함이 주를 이룬다. 누이나 딸이 출가외인이 되면 서로 삶에 개입할 수 없게 되고, 내 능력의 유무와는 상관없이 도움을 주기가 곤란한 관계가 되면서 안타까움과 무력감을 느끼는 것은 현재도 마찬가지다. 옛글에서 만난 따뜻하고 애틋한 가족들은 기억을 아름답게 공유하며 서로의 삶을 따스하게 응시하고 있다.
우리가 살 수 있는 것도 살아야 하는 이유도 결국 가족이다!

저자는 “아무리 세상이 변한다 해도 사람이 사는 정리(情理)야 늘 변함이 없다. 가족은 천륜(天倫)으로 맺어진 관계이니, 그만큼 서로 간의 각별한 정이 있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가족의 의미와 구성은 점점 해체되고, 각자에게 무관심해졌다. 이름만 가족인 가족이 너무 많아졌다. 게다가 각기 가정을 꾸려 소원하게 살거나, 오히려 서로의 삶에 지나치게 개입해서 뜻하지 않은 분란을 가져오는 일도 있다. 또한 과거에 인정받지 못하고 소외받던 서얼이나 첩은 현대 사회에서 다른 이름으로 여전히 존재한다. 저자는 통찰력 있게 이를 잘 포착했다.

지금 서얼은 사라졌다. 그러나 정말 서얼은 존재하지 않을까? 이주 노동자, 강북, 분교 학생들, 지방대, 강사, 비정규직 등 아픈 이름은 여전히 우리 가까이에 있다. 우리는 이 아픈 현대판 서얼의 이름들을 여전히 외면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서얼은 아직도 우리 가까이 있다._200~201쪽

공식적으로는 1915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축첩 제도는 종언을 고했다. 암암리에 첩을 두는 경우가 지금도 있을 터이지만 공식적으로는 불가능하다. 하지만 치정(癡情)과 내연(內緣)에 관련해서는 여전히 단골로 등장하고 있으니 이 문제는 아직도 현재 진행형일지도 모른다._228쪽

현대 사회에서 여러 이유로 분열되고 사라지는 수많은 가족. 가족 구성원 각자는 기둥이자 주춧돌과 같아서 한 명이라도 무너지거나 사라지면 그 가족은 붕괴된다. 올 한 해는 유독 국내외에서 많은 사건사고가 일어났다. 특히 한국과 팔레스타인에서 많은 아이가 죽었다. 가족의 상실을 느낀 이들에게도 이를 지켜봐야 하는 사람들에게도 이 책은 위로가 된다.

세상에 다시없는 내 편, 가족?은 ‘자식’에서부터 시작된다. 곳곳에 자식의 출생에 대한 기쁨과 경이로움, 그리고 고마움, 환희가 가득하다. 어쩌면 자식을 낳는 것은 “고독하고 쓸쓸한 세상에서 진짜 내 편 하나를 얻는 일이다”. 부모에게 자식은 세계이자 우주이다. 그게 자식뿐이겠는가. 가족이란 모두 그런 존재다. 살면서 포기하고 주저앉고 싶을 때가 왜 없을까. 그러나 ‘가족’이라는 진짜 내 편이 있어서, 이 각박한 세상과 한 번 싸워볼 용기가 생기는 것이 아닐까.


목차


머리말 5

고사리 손으로 먹 장난치던 네가 그립구나*아버지와 딸 11

세상에 다시없는 내 편을 얻다*자식 35

꽃다운 모습, 그 누구 때문에 시들었을까*아내 55

지극한 사랑, 북두성에 이를 만하리*남매 77

수명 빌어서라도 네 모습을 보고 싶노라*할아버지와 손주 99

사람이면 아들 있고 며느리도 뉘 없으리*시아버지와 며느리 123

절반의 자식, 백년의 손님*장인과 사위 149

세상에 태어나서 세상에서 버림받다*서얼 171

끊어진 줄, 너를 통해 이으려 했네*첩 203

후주 231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