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창조도시를 넘어서

창조도시를 넘어서

  • 박세훈
  • |
  • 나남
  • |
  • 2014-02-15 출간
  • |
  • 379페이지
  • |
  • 152 X 225 mm
  • |
  • ISBN 9788930087384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문화와 도시를 아우르는
도시문화전략을 찾아서

세계적인 도시를 키워내기 위한 도시문화전략, 그러나 그 이면은?
도시문화전략의 현실을 살펴보고 대안적 방향을 제시한다

오늘날 문화산업(cultural industries)은 세계 모든 선진국가가 육성하고자 하는 전략산업이 되었다. 도시문화의 경제적 가치가 재평가되면서 도시개발을 위한 도구로써 문화를 이용하려는 정책이 경쟁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1980년대 이후 도시의 탈산업화가 본격화되면서 문화는 도시경제를 재생시킬 수 있는 필수불가결한 수단이 되었다. 도시문화전략에 대해서는 몇몇의 성공사례가 세계적으로 회자되고 있지만 실패한 사례는 자주 이야기되지 않는다. 또한 역사상 지역적 기반이 탄탄했던 선진국 사례들과는 달리, 한국은 급진적으로 도시를 개발해 나가면서, 문화를 상업적으로 접목시키기에 바빴다. 단기적인 경제적 성과에 집착한 것이다. 과연 이것은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개발이었는가?
이처럼 도시문화전략의 사회적, 문화적 파급효과를 간과하며 개발에 치중한 결과, 한국의 도시문화전략은 대부분 실패하거나 일회적인 행사에 그치고 말았다. 문화전략이란 겉으로 드러나는 몇 가지 지표만으로 성공과 실패를 결론지어서는 안 된다. 문화란 경제와 같이 절대적 기준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도시문화전략을 제대로 평가하려면 근본적으로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지 장기적인 관점에서 큰 그림을 내다보아야 한다. 모두의 도시문화를 만들기 위해, 그리고 그러한 도시문화가 스스로 발전해나갈 창조적인 공동체가 될 수 있게 만들기 위해 창조도시는 한국의 도시문화정책을 조명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도시문화정책은 매우 일천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도시 단위로 문화정책이라는 이름으로 계획을 세우기 시작한 것은 기껏해야 199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이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의 양상은 가히 문화정책의 시기라고 할 만큼 무수한 정책이 난무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정책들이 지역사회의 문화적 역량과는 관계없이 지방자치단체 혹은 중앙정부의 일방적인 밀어붙이기 사업으로 추진된다는 점이다. 문화라는 이름으로 건물을 짓고 도로를 내는 등의 대규모의 토목사업이 추진되지만, 막상 호화스러운 건물에서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매우 부족하다. 이러한 문화정책은 지역의 문화적 역량을 키우기보다는 관료와 문화인들 그리고 지역주민 사이에 갈등과 반목을 가져오기 쉽다. 문화라는 외피를 입고 있지만, 이는 산업시대의 개발주의의 관행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문화개발주의’(cultural developmentalism)라고 부를 수 있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우리의 도시문화정책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향후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기 방안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목차


도시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서ㆍ박세훈 5

1 이론적 쟁점

ㆍ문화, 경제 그리고 도시 김원배_19
문화와 경제 20
문화와 도시 26
장소와 문화, 문화도시 및 창조도시 31
문화산업, 문화관광, 문화(산업)지구 39
문화전략과 도시발전 46
결론: 도시와 문화 연구에 대한 시사점 51

ㆍ문화와 도시계획: 오래된 역사, 새로운 만남 박은실_59
들어가며 59
도시계획에서 문화전략의 등장배경 61
문화와 도시계획 역사적 조망 66
문화와 도시정책 패러다임 변화와 시대별 특징 74
결론 및 시사점 106

ㆍ창조도시론, 어떻게 볼 것인가? 남기범_113
창조도시론의 등장 배경 113
창조도시론의 전개과정 117
창조도시에 대한 비판적 성찰 125
창조도시론의 한국적 함의 131

ㆍ문화지구의 사회경제학:창조의 요람인가, 상업화의 도구인가? 박세훈_139
문화지구를 다시 생각한다 139
문화지구의 개념, 유형, 변화사이클 142
문화지구와 창조성: 혁신은 어디에서 오는가? 149
문화지구의 경제적ㆍ사회적 효과 152
우리나라의 문화지구: 현황과 과제 160
문화지구 정책,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167
창조적 문화공동체를 향하여 171

2 실천적 경험

ㆍ서울특별시 예술창작공간 조성정책의 성과와 과제 김윤환_179
들어가며 179
서울시 도시문화정책과 컬처노믹스 전략 180
서울시 창작공간 조성사업의 전개 186
국내 창작공간정책의 흐름과 쟁점 193
서울시 창작공간 정책의 성과와 과제 200
몇 가지 제언 205

ㆍ부산시 도시문화정책의 성과와 과제:또따또가 그리고 그 이후 차재근_209
들어가며 209
‘부산 문화비전 2020’의 주요 내용과 문제점 210
원도심 창작공간 ‘또따또가’ 이야기 217
또따또가 이후 부산의 도시문화전략 236

ㆍ대구의 재발견, 시민주도 도시문화운동의 경험 류태희_241
글을 시작하며 241
‘대구의 재발견’, 도시문화운동 10년의 궤적 243
대구 新택리지 프로젝트 250
북성로 재발견 프로젝트 257
중구 도시문화운동으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265
글을 마무리하며 270

ㆍ인천시 도시문화정책을 되돌아본다:개발주의와 도구적 문화정책 민운기_273
들어가기에 앞서 273
‘문화’에 대한 인천시의 사고와 태도 변화 274
인천경제자유구역 조성 사업과 ‘문화’ 277
“명품도시 인천 건설” 속 ‘도시재생’ 사업과 ‘문화’ 279
일방적 개발주의에 반기를 든 배다리 싸움 291
민선 5기 송영길 인천시정부의 출범과 도시정책 294
도시정책의 전면적인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302

3 향후 과제

ㆍ문화적 도시재생의 해석과 과제 조명래_307
도시재생 패러다임의 시대 307
문화적 도시재생의 (재)해석 309
한국에서 문화적 도시재생: 방식과 오류 316
올바른 문화적 도시재생 방안의 모색 325

ㆍ커뮤니티 중심의 도시문화전략,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이영범_337
문화도시 10년을 통해 본 도시문화전략의 문제점 337
지역에 기반한 시민문화공동체의 다양한 실험 349
커뮤니티와 상생하는 도시문화전략 추진방향 365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