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행정쟁송법(공인노무사)

행정쟁송법(공인노무사)

  • 박균성
  • |
  • 고시계사
  • |
  • 2015-01-05 출간
  • |
  • 562페이지
  • |
  • 172 X 245 mm
  • |
  • ISBN 9788958225027
판매가

34,000원

즉시할인가

30,6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0,6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머리말
이 번 개정에서는 전면개정 제2판이 발행된 2014년 1월 20일 전후의 이론 및 판례의 발전과 법령의 개정을 반영하였다. 또한, 기본적이고 중요한 사항을 중심으로 서술한다는 행정쟁송법의 서술방침을 충실히 실천하기 위하여 전반적으로 압축적인 서술을 하고자 하였다.

행정쟁송법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서는 요약서가 아니라 기본서로 공부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본서로 공부하여야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어 논리적인 답안작성이 가능해지고, 응용력이 길러져 예상하지 않은 문제가 나와도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를 거듭할수록 시험문제의 난이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으므로 기본서로 실력을 제대로 쌓을 필요가 있다.

행정소송법의 개정은 올 해도 넘길 것으로 보인다. 2013년 법무부의 행정소송법 개정안이 입법 예고 되었지만, 법제처 협의 중 알기 쉬운 법령만들기사업의 일환으로 행정소송법의 법률용어 및 문구를 알기 쉬운 용어 및 문구로 바꾸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제시된 후 행정소송법의 개정이 우선순위에서 밀려 법무부의 재검토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15년에 행정소송법이 개정될 수 있을지도 불투명한 상황인데, 만일 2015년 행정소송법이 개정되어도 최소 6개월 이상의 시행준비기간이 주어질 것으로 보이니 행정소송법 개정에 너무 민감할 필요는 없다.

끝으로 이 번 개정을 준비함에 있어서 도움을 준 윤기중 박사에게 감사의 마음을 표한다. 그리고, 이 책의 출판을 주관해 주신 정상훈 사장님과 전병주 국장님 그리고 박석순 이사님께도 깊이 감사드린다.


2014년 12월 22일
저자 씀


목차


제1부 행정쟁송법의 기초
제1편 행정법 서설
제1장 행정법의 기초적 이해
제1절 행정법의 의의
제2절 행정법의 분류
Ⅰ. 일반행정법과 특별행정법(개별행정법) 31
Ⅱ. 행정조직법, 행정작용법, 행정구제법 32
제3절 법치행정의 원칙
Ⅰ. 법률의 법규창조력 / Ⅱ. 법우위의 원칙 32
Ⅲ. 법률유보의 원칙 33
제4절 법치행정의 원칙의 한계
Ⅰ. 통치행위 34
Ⅱ. 내부행위 35
Ⅲ. 재량행위 / Ⅳ. 특별권력관계 35

제2장 행정법의 법원
제1절 법원의 의의
제2절 행정법상 법원의 특징
Ⅰ. 행정법의 성문법주의 / Ⅱ. 법전화 및 총칙적 규정의 불비 36
제3절 성문법원
Ⅰ. 헌 법 /Ⅱ. 국제법규 / 37
Ⅲ. 법 률 / Ⅳ. 명 령 / V. 자치법규 38
제4절 불문법원
제1항 관습법 38
제2항 판 례 39
제3항 법의 일반원칙 39
Ⅰ. 의 의 / Ⅱ. 헌법으로부터 도출되는 법의 일반원칙 39
Ⅲ. 모든 법의 일반원칙 42
Ⅳ. 기타의 행정법상 법의 일반원칙 43
제4항 조 리 43
제5절 법원의 단계구조
Ⅰ. 법원의 상호관계 / Ⅱ. 위헌·위법인 법령의 효력과 통제 44
제6절 행정규정의 흠결과 보충
Ⅰ. 개 설 / Ⅱ. 행정법규정의 유추적용 45
Ⅲ. 헌법규정 및 법의 일반원칙의 적용 45
Ⅳ. 사법규정의 적용 / V. 조리의 적용 46

제3장 행정법관계(공법관계)와 사법관계
제1절 행정법관계의 의의 및 공법관계와 사법관계의 구별
Ⅰ. 행정법관계의 의의 47
Ⅱ. 공법관계와 사법관계의 구별 47
제2절 행정법관계의 당사자(행정주체와 행정객체)
제1항 행정주체와 행정기관 49
Ⅰ. 의 의 49
Ⅱ. 행정주체의 종류 50
제2항 행정객체 52
제3절 행정법관계의 특질
제1항 행정주체의 특권 53
Ⅰ. 일방적 조치권 53
Ⅱ. 행정행위의 공정력과 구성요건적 효력 53
Ⅲ. 구속력 58
Ⅳ. 존속력(또는 확정력) 59
Ⅴ. 강제력 60
제2항 권리구제수단의 특수성 61
Ⅰ. 행정상 손해전보 / Ⅱ. 행정쟁송 61
제4절 공 권
제1항 공권의 의의와 종류 62
제2항 개인적 공권 62
Ⅰ. 개인적 공권의 의의 62
Ⅱ. 개인적 공권의 성립요건(공권의 3요소론에서 공권의 2요소론으로) 62
Ⅲ. 공권, 법적 이익 및 반사적 이익의 구별 63
Ⅳ. 공권과 기본권 / Ⅴ.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 64
제5절 특별행정법관계(종전의 특별권력관계)
Ⅰ. 개 념 / Ⅱ. 특별행정법관계의 종류 69
Ⅲ. 특별행정법관계와 법치주의 69
제6절 행정법관계의 변동(발생·변경·소멸)
제1항 법률요건 70
제2항 행정주체의 행위 70
제3항 사인의 공법상 행위 70
Ⅰ. 개 념 70
Ⅱ. 사인의 공법상 행위의 종류 71
Ⅲ. 사인의 공법행위 71
제4항 행정법상 사건 79
Ⅰ. 기간의 경과 79
Ⅱ. 시 효 / Ⅲ. 제척기간 80
Ⅳ. 공법상 사무관리 81
V. 공법상 부당이득 81


제2편 행정조직법
제1장 행정조직법 개설
Ⅰ. 행정조직법의 의의 85
Ⅱ. 행정조직법정주의 85

제2장 행정기관
Ⅰ. 행정기관의 개념 86
Ⅱ. 행정주체와 행정기관 87

제3장 행정청의 권한
제1절 권한의 의의
제2절 권한의 효과
Ⅰ. 외부적 효과 89
Ⅱ. 내부적 효과 90
제3절 권한의 대리
제1항 권한의 대리의 의의 90
Ⅰ. 개 념 / Ⅱ. 유사개념과의 구별 90
제2항 종 류 91
Ⅰ. 수권대리(임의대리) / Ⅱ. 법정대리 91
제3항 대리권의 행사방식 92
제4항 대리권행사의 효과 92
제5항 대리권 없는 대리자의 행위의 효력 93
제6항 대리기관의 처분에 대한 권리구제 93
제4절 권한의 위임
제1항 권한의 위임의 의의 94
Ⅰ. 개 념 / Ⅱ. 유사개념과의 구분 94
제2항 위임의 효과 94
제5절 권한의 위탁
제1항 권한의 위탁의 의의 95
제2항 위탁의 유형 96
Ⅰ. 협의의 위탁 96
Ⅱ. 권한의 대행(대행위탁) / Ⅲ. 보조위탁 96
제3항 수탁자의 권한행사에 대한 권리구제 97
Ⅰ. 민사소송 97
Ⅱ. 항고소송 97

제3편 행정작용법
제1장 행정상 입법
제1절 개 설
Ⅰ. 의 의 / Ⅱ. 법규명령과 행정규칙의 비교 101
제2절 법규명령
Ⅰ. 개 념 / Ⅱ. 법규명령의 종류 102
Ⅲ. 법규명령의 성립·하자·소멸 103
Ⅳ. 사법적 통제 [2004 사시, 2006 행시 사례] 103
제3절 행정규칙
Ⅰ. 행정규칙의 의의 106
Ⅱ. 행정규칙의 종류 107
Ⅲ. 행정규칙의 법적 성질 및 구속력 108
Ⅳ. 행정규칙의 통제 110
제4절 법규명령형식의 행정규칙과 법규적 성질(효력)을 갖는 행정규칙
Ⅰ. 법규명령형식의 행정규칙 112
Ⅱ. 법규적 성질을 갖는 행정규칙 114

제2장 행정계획
Ⅰ. 개 설 / Ⅱ. 행정계획의 법적 성질 116
Ⅲ. 계획재량과 통제 118
Ⅳ. 행정계획과 권리구제제도 [2011 행시(재경직)사례] 119

제3장 행정행위
제1절 행정행위의 개념
Ⅰ. 행정행위의 개념요소 121
Ⅱ. 행정행위의 특질 122
제2절 행정행위의 분류
Ⅰ. 법률행위적 행정행위와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의 구별 122
Ⅱ. 행정행위의 법적 효과의 내용에 따른 분류 123
Ⅲ. 기속행위와 재량행위 123
Ⅳ. 침해적 행정행위·수익적 행정행위·이중효과적 행정행위(복효적 행정행위) 123
Ⅴ. 일반처분과 개별처분 126
제3절 재량권과 판단여지
Ⅰ. 재량권 127
Ⅱ. 판단여지 129
제4절 행정행위의 법적 효과의 내용
Ⅰ. 법률행위적 행정행위 131
Ⅱ.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 138
제5절 행정행위의 부관
Ⅰ. 부관의 개념 / Ⅱ. 부관의 종류 140
Ⅲ. 부관의 한계 143
Ⅳ. 위법한 부관과 권리구제 144
제6절 행정행위의 성립요건, 효력발생요건, 적법요건
Ⅰ. 개 설 / Ⅱ. 성립요건 144
Ⅲ. 효력발생요건 145
Ⅳ. 적법요건 / V. 유효요건 145
제7절 행정행위의 하자(흠)와 그 효과
Ⅰ. 개 설 146
Ⅱ. 행정행위의 부존재, 무효, 취소 147
Ⅲ. 행정행위의 하자(위법사유) 150
Ⅳ. 하자의 승계 151
V. 흠 있는 행정행위의 치유와 전환 153
제8절 행정행위의 취소와 철회
Ⅰ. 행정행위의 취소 155
Ⅱ. 행정행위의 철회 158
Ⅲ. 처분의 변경 159
제9절 행정행위의 실효
Ⅰ. 의 의 / Ⅱ. 실효사유 161
Ⅲ. 권리구제수단 161
제10절 단계적 행정결정

제4장 공법상 계약
Ⅰ. 의 의 / Ⅱ. 사법상 계약과의 구별 166
Ⅲ. 공법상 계약의 종류 166
Ⅳ. 공법상 계약의 법적 규율 167

제5장 행정상 사실행위
Ⅰ. 의 의 169
Ⅱ. 행정상 사실행위에 대한 권리구제 169

제6장 행정지도
Ⅰ. 의의와 법적 성질 / Ⅱ. 행정지도의 종류 170
Ⅲ. 행정지도의 법적 근거 / Ⅳ. 행정지도의 한계 171
V. 행정지도와 행정구제 172

제7장 행정조사
Ⅰ. 의 의 / Ⅱ. 행정조사의 법적 성질 174
Ⅲ. 행정조사의 법적 근거 174
Ⅳ. 행정조사와 권리구제 175

제8장 행정의 실효성 확보수단
제1절 의 의
제2절 행정강제
제1항 행정상 강제집행 177
Ⅰ. 의 의 / Ⅱ. 근 거 177
Ⅲ. 대집행 177
Ⅳ. 집행벌(이행강제금) 181
V. 직접강제 182
Ⅵ. 행정상 강제징수 183
제2항 행정상 즉시강제 185
Ⅰ. 의 의 / Ⅱ. 법적 근거 185
Ⅲ. 행정상 즉시강제에 대한 구제 185
제3절 행정벌
제1항 의 의 186
제2항 종 류 187
제3항 행정범과 행정형벌 187
Ⅰ. 의 의 187
Ⅱ. 행정범과 행정형벌의 특수성과 법적 규율 187
제4항 행정질서벌(과태료) 189
Ⅰ. 의 의 /Ⅱ. 법적 근거 189
Ⅲ. 행정질서벌 부과행위의 법적 성질과 권리구제 190
제4절 기타 행정의 실효성 확보수단
제1항 과징금 190
Ⅰ. 의 의 / Ⅱ. 변형된 과징금 190
Ⅲ. 법적 성질, 법적 규율 및 법적 구제 191
제2항 가산세, 가산금 191
Ⅰ. 가산세 / Ⅱ. 가산금과 중가산금 191
제3항 명단의 공표 192
Ⅰ. 의 의 / Ⅱ. 법적 근거 192
Ⅲ. 한 계 / Ⅳ. 법적 성질 192
제4항 공급거부 194
Ⅰ. 의 의 / Ⅱ. 법적 근거 194
Ⅲ. 법적 성질 및 법적 구제 195
제5항 관허사업의 제한 195
Ⅰ. 의 의 / Ⅱ. 법적 근거 195
Ⅲ. 권리구제 196
제6항 시정명령 196

제9장 행정절차
제1절 행정절차의 의의
제2절 행정절차법의 기본구조와 적용범위
Ⅰ. 행정절차법의 기본구조 197
Ⅱ. 행정절차법의 적용범위 197
제3절 행정절차법의 내용
제1항 공통사항 및 공통절차 198
제2항 처분절차 198
Ⅰ. 처분기준의 설정·공표(제20조) 198
Ⅱ. 처분의 이유제시 199
Ⅲ. 신청에 의한 처분의 절차 200
Ⅳ. 의견진술절차(의견청취절차) 200
제3항 신 고 202
제4절 절차의 하자
Ⅰ. 절차의 하자의 독자적 위법사유(취소 또는 무효사유) 202
Ⅱ. 절차의 하자의 치유 204

제10장 정보공개제도
Ⅰ. 의 의 / Ⅱ. 정보공개의 법적 근거 205
Ⅲ. 정보공개의 내용 206


제4편 행정상 손해전보
제1장 개 설
제2장 행정상 손해배상
제1절 서 론
Ⅰ. 개 념 / Ⅱ. 국가배상책임의 근거 214
Ⅲ. 국가배상책임(또는 국가배상법)의 성격 214
제2절 국가의 과실책임 (국가배상법 제2조 책임) : 공무원의 위법행위로 인한 국가배상책임
제1항 개 념 215
제2항 국가배상책임의 성립요건 215
Ⅰ. 공무원 / Ⅱ. 직무행위 216
Ⅲ. 직무를 집행하면서(직무관련성) 216
Ⅳ. 법령위반(위법) 216
Ⅴ. 고의 또는 과실 221
Ⅵ. 손 해 221
Ⅶ. 인과관계 222
제3절 영조물의 설치·관리의 하자로 인한 배상책임

제3장 행정상 손실보상
제1절 행정상 손실보상의 의의
제2절 행정상 손실보상의 근거
Ⅰ. 이론적 근거 223
Ⅱ. 실정법상 근거 224
제3절 행정상 손실보상의 요건
Ⅰ. 적법한 공용침해 224
Ⅱ. 공용침해로 손실이 발생하였을 것 225
Ⅲ. 특별한 희생 (손해) 225
제4절 보상액의 결정방법 및 불복절차
제1항 협의에 의한 결정 226
제2항 행정청에 의한 결정 226
Ⅰ. 토지취득보상법상 토지수용위원회의 재결에 의한 결정 226
Ⅱ. 개별법령상 행정청 등의 처분에 의한 결정 227
제3항 소송에 의한 결정 227
제5절 손실보상청구권
Ⅰ. 손실보상청구권의 공권성 227

제2부 행정쟁송법
제1편 행정쟁송 개설
Ⅰ. 행정쟁송의 의의 233
Ⅱ. 행정쟁송의 기능 233
Ⅲ. 행정쟁송제도 233
Ⅳ. 행정쟁송의 종류 234

제2편 행정심판
제1장 행정심판의 의의
Ⅰ. 행정심판의 개념 239
Ⅱ. 이의신청과 행정심판 239
Ⅲ. 청원과의 구별 242
Ⅳ. 직권취소와의 구별 242
Ⅴ. 행정소송과의 구별 242
Ⅵ. 감사원에의 심사청구와 행정심판 [2006 입시 약술] 242
Ⅶ. 행정심판의 존재이유 243

제2장 행정심판의 종류
Ⅰ. 취소심판 / Ⅱ. 무효등확인심판 244
Ⅲ. 의무이행심판 [1997, 2010 공인노무사] 245

제3장 행정심판의 당사자 및 관계인
Ⅰ. 청구인 246
Ⅱ. 피청구인 248
Ⅲ. 대리인의 선임 248
Ⅳ. 참가인(심판참가) 249

제4장 행정심판과 행정소송의 관계
Ⅰ. 행정심판임의주의-예외적 행정심판전치주의 250
Ⅱ. 행정심판의 전심절차성 250
Ⅲ. 행정심판의 제기와 행정소송의 제기 250
Ⅳ. 행정심판의 재결과 행정소송의 판결 250

제5장 행정심판의 대상

제6장 행정심판의 청구
Ⅰ. 행정심판청구기간 [1999 공인노무사] 253
Ⅱ. 심판청구의 방식 255
Ⅲ. 행정심판 제기절차 255
Ⅳ. 심판청구의 변경 256

제7장 행정심판제기의 효과
Ⅰ. 행정심판위원회에 대한 효과 258
Ⅱ. 처분에 대한 효과: 계쟁처분의 집행부정지 또는 집행정지 258

제8장 행정심판법상의 가구제
Ⅰ. 집행정지 [2012 사시 사례] 259
Ⅱ. 임시처분 260

제9장 행정심판기관
Ⅰ. 의 의 262
Ⅱ. 심판기관의 독립성과 제3자기관성 262
Ⅲ. 행정심판위원회 [2000 공인노무사] 263

제10장 행정심판의 심리
Ⅰ. 심리의 내용 267
Ⅱ. 심리의 범위 268
Ⅲ. 심리의 기본원칙 269
Ⅳ.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장의 의견진술권 270
V. 당사자의 절차적 권리 271
Ⅵ. 심판청구의 병합과 분리 272
VII. 처분사유의 추가·변경 272

제11장 행정심판의 재결
제1항 재결의 의의 273
제2항 재결절차 등 273
Ⅰ. 행정심판위원회의 재결 273
Ⅱ. 재결기간 273
Ⅲ. 재결의 방식 / Ⅳ. 재결의 범위 274
Ⅴ. 재결의 송달과 효력발생 274
제3항 재결의 종류 [2009 공인노무사, 2011 행시(일반행정) 사례] 274
Ⅰ. 각하재결(요건재결) 274
Ⅱ. 기각재결 275
Ⅲ. 인용재결 275
제4항 재결의 효력 [2003 공인노무사] 281
Ⅰ. 형성력 [2013 사시] 282
Ⅱ. 기속력 [2007 공인노무사] 282
Ⅲ. 불가변력 288
제5항 재결에 대한 불복 288
Ⅰ. 재심판청구의 금지 288
Ⅱ. 원고 등의 행정소송 [1997 입시 사례형] 288
Ⅲ. 처분청의 불복가능성 289
Ⅳ. 인용재결에 대한 권한쟁의심판 289

제12장 고지제도
Ⅰ. 고지제도의 의의 및 필요성 290
Ⅱ. 고지의 성질 290
Ⅲ. 직권에 의한 고지 290
Ⅳ. 청구에 의한 고지 291
V. 불고지 또는 오고지의 효과 [2002 공인노무사] 292

제13장 특별행정심판
Ⅰ. 조세심판 294
Ⅱ. 노동행정심판 [2012 공인노무사] 295
Ⅲ. 소청심사 296
Ⅳ. 수용재결에 대한 이의신청 [2007 사시 사례] 297


제3편 행정소송
제1장 행정소송의 의의와 종류
Ⅰ. 행정소송의 의의 301
Ⅱ. 행정소송의 법원 301
Ⅲ. 행정소송의 종류 302
Ⅳ. 항고소송 302
Ⅴ. 무명항고소송 309
Ⅵ. 당사자소송 314
Ⅶ. 민중소송 [2001 공인노무사] 320
Ⅷ. 기관소송 [2001, 2009 공인노무사] 321

제2장 행정소송의 한계
Ⅰ. 사법의 본질에서 오는 한계 326
Ⅱ. 권력분립에서 오는 한계 329
Ⅲ. 행정소송의 한계 논의의 재검토 329

제3장 소송요건
제1절 행정소송의 대상
제1항 취소소송 및 무효등확인소송의 대상 [1996, 2000 공인노무사] 332
제1목 행정소송법상 처분의 개념 332
Ⅰ. 행정소송법상 처분의 의의 332
Ⅱ. 처분개념에 관한 학설 및 판례 332
Ⅲ. 행정소송법상 처분 개념규정의 해석론 335
제2목 행정상 입법의 처분성 337
Ⅰ. 처분적 명령 [2007, 2011 공인노무사] 337
Ⅱ. 행정규칙 341
제3목 거부행위 [2008 사시 사례, 2008 행시(일반행정), 2013 변시] 341
Ⅰ. 법규상 또는 조리상 신청권의 존재 342
Ⅱ. 거부의 의사표시 345
Ⅲ. 공권력 행사의 거부 346
Ⅳ. 거부행위가 신청인의 권익에 직접적 영향을 미쳐야 한다. 346
제4목 사실행위 346
Ⅰ. 사실행위 처분성 346
Ⅱ. 권고 등 비권력적 사실행위 348
Ⅲ. 사실행위인 단순한 관념의 통지 [2005 사시 약술] 349
Ⅲ. 환급거부 또는 부작위에 대한 권리구제 351
제5목 그 외의 구체적 사례 352
Ⅰ. 행정계획 [2011 행시(재경직) 사례] 352
Ⅱ. 일반처분 352
Ⅲ. 내부행위 353
Ⅳ. 중간행위 355
Ⅴ. 반복된 행위 357
Ⅵ. 변경처분의 경우 357
Ⅶ. 신고의 수리거부행위 359
Ⅷ. 사법(私法)행위와 처분 360
Ⅸ. 행정소송 이외의 특별불복절차가 마련된 처분 360
Ⅹ. 경 고 [2009 행시(일반행정) 사례] 361
ⅩⅠ. 토지수용재결에 대한 항고소송 361
ⅩⅡ. 기 타 362
제6목 행정심판의 재결에 불복하여 취소소송을 제기하는 경우 362
Ⅰ. 원처분주의와 재결주의 362
Ⅱ. 원처분주의에 따라 원처분이 대상이 되는 경우 363
Ⅲ. 재결이 대상이 되는 경우 365
제2항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의 대상: 부작위 [2002 공인노무사] 376
Ⅰ.행정청의 처분의무의 존재 (달리 말하면 신청인에게 법규상 또는 조리상 신청권의 존재) 376
Ⅱ. 당사자의 처분의 신청 378
Ⅲ. 상당한 기간의 경과 379
Ⅳ. 처분의 부존재 379
제3항 당사자소송의 대상 380
Ⅰ. 일반적 고찰 / Ⅱ. 구체적 사례 380
제2절 원고적격 [1997, 2004 공인노무사]
제1항 원고적격과 당사자능력 388
제2항 항고소송에서의 원고적격 [2011 행시(재경직) 사례] 390
Ⅰ. 의 의 390
Ⅱ. 원고적격의 요건 390
Ⅲ. 구체적 사례의 유형별 고찰 397
제3항 당사자소송에서의 원고적격 406
제4항 민중소송 및 기관소송에서의 원고적격 406
제3절 협의의 소의 이익(권리보호의 필요) [1998 공인노무사]
제1항 소의 이익(권리보호의 필요)의 의의 407
제2항 취소소송에서의 협의의 소의 이익 407
제1목 협의의 소의 이익일반 407
Ⅰ. 행정소송법 제12조 후문의 해석 407
Ⅱ. 소의 이익의 유무의 판단기준: 현실적인 법률상 이익 409
제2목 구체적 사례(유형별 고찰) 411
Ⅰ. 처분의 효력이 소멸한 경우 [2013 행시(일반행정)] 411
Ⅱ. 처분 후의 사정변경에 의해 권익침해가 해소된 경우 414
Ⅲ. 원상회복이 불가능한 경우 415
Ⅳ. 보다 실효적인 권리구제절차가 있는지 여부 416
Ⅴ. 기 타 418
제3항 무효확인소송에서의 소의 이익 [2010 입시 사례] 419
제4항 부작위위법확인소송에서의 소의 이익 421
제5항 공법상 당사자소송에서의 소의 이익 422
제6항 기관소송·민중소송에서의 소의 이익 423
제4절 피고적격이 있는 자를 피고로 할 것 [2005 공인노무사]
Ⅰ. 항고소송의 피고 423
Ⅱ. 당사자소송의 피고 426
Ⅲ. 피고경정 427
제5절 제소기간 [2003 공인노무사]
제1항 항고소송의 제소기간 [2003 입시 사례] 427
Ⅰ. 행정심판을 거친 경우 취소소송의 제기기간 428
Ⅱ. 행정심판을 거치지 않고 직접 취소소송을 제기하는 경우 429
Ⅲ. 소 제기기간 준수 여부의 기준시점 [2009 사시 사례] 434
Ⅳ. 부작위위법확인의 소의 제소기간 436
Ⅴ. 제소기간 제한의 적용제외 437
Ⅵ. 민사소송법상 소송행위의 추완규정 준용 437
제2항 당사자소송의 제소기간 437
제3항 제소기간 준수 여부의 판단 438
제6절 행정심판전치주의가 적용되는 경우 그 요건을 충족할 것 [1995, 2008 공인노무사]
Ⅰ. 행정심판임의주의 ― 예외적 행정심판전치주의 438
Ⅱ. 행정심판전치주의의 인정례 438
Ⅲ. 행정심판전치주의의 적용범위 439
Ⅳ. 행정심판전치주의의 예외 439
Ⅴ. 행정심판전치주의의 이행 여부의 판단 441
제7절 관할법원 [2006 공인노무사]
Ⅰ. 항고소송의 관할법원 442
Ⅱ. 당사자소송의 관할법원 442
Ⅲ. 행정소송의 관할의 성격: 전속관할 443
IV. 관할 위반의 효력 443

제4장 행정소송에서의 가구제
제1항 개 설 445
제2항 행정소송법상의 집행정지 [1999 공인노무사] 445
Ⅰ. 집행부정지의 원칙 445
Ⅱ. 예외적인 집행정지 446
Ⅲ. 집행정지의 요건 [2012 공인노무사] 446
Ⅳ. 집행정지결정 452
Ⅴ. 집행정지결정의 내용 452
Ⅵ. 집행정지의 효력 453
Ⅶ. 집행정지결정에 대한 불복과 취소 455
제3항 가처분의 가부 456
Ⅰ. 행정소송법상 가처분의 인정필요성 456
Ⅱ. 항고소송에서의 가처분의 인정 여부 456
Ⅲ. 공법상 당사자소송에서의 가구제 458

제5장 행정소송의 심리
제1항 개 설 459
제2항 심리의 내용 459
Ⅰ. 요건심리 459
Ⅱ. 본안심리 460
제3항 심리의 범위 460
Ⅰ. 불고불리의 원칙 460
Ⅱ. 재량문제의 심리 462
Ⅲ. 법률문제·사실문제 463
제4항 심리의 일반원칙 463
Ⅰ. 민사소송법상의 심리절차의 준용 463
Ⅱ. 행정소송법상의 특수한 소송절차 464
제5항 심리과정의 문제 468
Ⅰ. 관련청구소송의 병합 [2010 입시 사례, 2011 공인노무사] 468
Ⅱ. 소의 변경 471
Ⅲ. 소송의 이송 476
Ⅳ. 소송참가 [2008 공인노무사] 477
Ⅴ. 처분사유의 추가·변경 [2007, 2011 공인노무사] 482
Ⅵ. 화해와 조정 491
제6항 주장책임과 입증책임 492
Ⅰ. 주장책임 492
Ⅱ. 입증책임 (증명책임) [1999 공인노무사] 493
제6장 행정소송의 판결
제1항 판결의 의의 498
제2항 판결의 종류 498
Ⅰ. 소송판결과 본안판결 498
Ⅱ. 기각판결과 인용판결 499
Ⅲ. 형성판결, 확인판결과 이행판결 499
제3항 취소소송의 판결의 종류 500
Ⅰ. 각하판결 500
Ⅱ. 기각판결 500
Ⅲ. 인용판결(취소판결) 500
Ⅳ. 사정판결 [1995 공인노무사] 504
제4항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의 판결의 종류 507
Ⅰ. 각하판결 507
Ⅱ. 기각판결 507
Ⅲ. 인용판결 508
제5항 무효등확인소송의 판결의 종류 508
Ⅰ. 각하판결 508
Ⅱ. 기각판결 508
Ⅲ. 인용판결 508
제6항 공법상 당사자소송의 판결의 종류 509
Ⅰ. 각하판결 509
Ⅱ. 기각판결 509
Ⅲ. 인용판결 509
제7항 항고소송에서의 위법판단의 기준시 [1996 공인노무사] 509
Ⅰ. 처분시설 509
Ⅱ. 판결시설 510
Ⅲ. 절충설 510
Ⅳ. 판 례 510
Ⅴ. 결 어(처분시설) 511
Ⅵ. 행정처분의 위법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시점이 처분시라는 의미 511
Ⅶ.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의 위법판단의 기준시 511
Ⅷ. 거부처분취소소송에서의 위법판단 및 판결의 기준시 [2010 행시(일반행정) 사례] 512
제8항 취소판결의 효력 [2002 공인노무사] 513
Ⅰ. 형성력 513
Ⅱ. 기속력 [2005, 2010, 2012 공인노무사] 517
Ⅲ. 기판력 527
제9항 무효등확인판결의 효력 531
제10항 부작위위법확인판결의 효력 531
Ⅰ. 응답의무설 532
Ⅱ. 특정처분의무설 532
제11항 기각판결의 효력 533
제12항 민사판결의 기속력 533

제7장 행정구제수단으로서의 헌법소송
Ⅰ. 헌법소원 534
Ⅱ. 권한쟁의심판 535
Ⅲ. 위헌법률심판 536

부 록
부록 1 / 사례형 및 논술형의 답안작성방법 539
부록 2 / 행정쟁송법 기출문제 542

판례색인 552
사항색인 55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