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입문 협동조합

입문 협동조합

  • 재단법인아이쿱협동조합연구소(엮음)
  • |
  • 알마
  • |
  • 2015-02-05 출간
  • |
  • 392페이지
  • |
  • 153 X 224 mm
  • |
  • ISBN 9791185430461
판매가

18,500원

즉시할인가

16,65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65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협동조합을 배운다, 아이쿱을 배운다!

기획 의도

협동조합인이 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맞춤 안내서
《입문 협동조합: iCOOP생협 2015년》은 장차 협동조합인이 되려는 이들을 위한 상세하고 체계적인 안내서다. 이 책에는 사회적경제, 국제 협동조합운동, 한국 생협과 아이쿱생협의 역사와 현재가 오롯이 담겨 있다. 더불어 생협의 회계와 재정계획, 조직운영 활동의 기본과 노하우까지 배울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의 1부와 2부는 협동조합의 이론과 운동, 역사와 현황, 그리고 운영과 실무 전반을 개괄함으로써 협동조합 입문서로서 손색없는 편재를 갖추고 있다. 또한 3부는 한국 최대 생협인 아이쿱생협의 발전과정과 정책을 낱낱이 밝혀 협동조합의 실제를 구체적으로 생생히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런 점에서 《입문 협동조합: iCOOP생협 2015년》은 미래의 협동조합인을 꿈꾸는 이들만을 위한 책은 아니다. 현재의 조합원 리더와 임직원들에서부터 협동조합 관련 종사자에 이르기까지, 모든 협동조합인을 위한 길라잡이로서 알차고 풍성한 지침이 되어줄 것이다.

협동조합, 청년들에게 새로운 도전과 꿈을 제시하다
오늘날 한국 청년들의 삶은 그 어느 때보다 암울하다. 지난한 사교육과 입시경쟁, 스펙 쌓기를 거쳐 대학 졸업장을 손에 넣지만, 그들 앞에는 장밋빛 미래가 아니라 다시 취업이라는 거대한 전쟁터가 기다리고 있다. 청년실업률 9%(2014년 기준)는 이런 현실을 방증하는 도드라진 지표다.
신자유주의 시장경제의 모순이 더욱 극심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협동조합은 청년들에게 하나의 대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이 책 ‘머리말’의 한 대목에 그 단서가 엿보인다. “아이쿱생협은 2009년부터 공개채용을 실시했는데 초기에 수백여 명이던 응시자 수가 최근 2년 동안에는 2,000여 명이 넘었습니다. … 10년 전만 하더라도 ‘생협’을 아는 청년은 매우 드물었습니다. 지금은 커져가는 사회격차, 만성적인 취업전쟁, 비정규직 증가 등 기존의 방식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산적한 시대로 다른 경제, 또다른 기업으로서 아이쿱생협의 가능성에 도전하는 청년들이 확실히 늘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이 책에서는 다음과 같은 역사적 사실을 적시해 보인다. 먼저 1970년대부터 유럽에서 부활하기 시작한 사회적경제가 있다. 석유 파동으로 유럽 경제가 더이상 고도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워질 무렵, ‘고용 없는 성장’이란 경제발전 방식에 의문을 품은 청년들은 실업에 대한 대안과 경제적 약자(이민자, 여성, 소수민족, 장애인, 출소자 등)를 배제하는 노동시장에 대한 반발로 대안적인 경제활동의 방식을 모색한 끝에 다양한 사회적경제 조직과 사업모델을 개척하기 시작했다. 더불어 2011년 월가 점령 시위 당시 터져 나온 ‘은행계좌 폐쇄하고 신협으로 옮기자!’는 청년들의 구호 역시 자본주의의 대안모델로서 협동조합의 가치가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른바 ‘88만원세대’를 넘어 ‘오포세대’라고까지 불리는 한국 청년들에게도 협동조합은 이제 진정한 도전의 장이자 꿈을 실현하는 선택지로 기능할 수 있다. 물론 여기에는 단순한 일자리 찾기 차원을 넘어서는 인식의 전환과 실천이 뒤따라야 한다. 그것은 협동조합이 추구하는 가치와 원칙이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원리와는 사뭇 다르기 때문이다.

자본 중심과 이윤 추구를 넘어 사람 중심과 공생의 경제로
이 책은 협동조합의 특징을 시장경제의 대표적 기업형태인 주식회사와의 비교를 통해 적절히 설명해준다. 이른바 ‘사람 중심의 경제’ ‘공생의 경제’가 그것이다. 주식회사는 현실적으로 이윤 극대화를 목표로 사업을 운영한다. 그 결과 주식회사는 이윤이 발생하는 사업에만 관심을 기울이고 장기적인 투자와 경영보다 단기적인 수익 확보에 몰두하는 경향이 강하다. 더 큰 문제는 투자자와 이용자가 괴리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투자자의 이윤 확보를 위해 시장 독점, 환경 파괴, 저임금, 해고 등 이용자를 비롯해 함께 살아가는 나머지 사람들의 희생을 불사한다.
협동조합은 이러한 주식회사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생겨난 기업이다. 협동조합은 소유자와 이용자가 일치한다. 협동조합의 사업 목적은 단결한 조합원의 공통된 필요와 욕구, 갈망을 실현하는 것이고 이윤보다는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 생활의 향상을 위해 사업을 도모한다. 다시 말해 사업체이므로 흑자경영을 추구하지만 반드시 이윤을 남겨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협동조합은 주식회사가 이윤을 남기기 어렵다고 철수한 부문에서 협업으로 새로운 사업과 시장을 개척하고 공통의 이익과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으로 이 책은 협동조합이 결사체면서 동시에 사업체enterprise라는 사실을 분명히 함으로써 협동조합에 대한 이해를 한층 깊게 한다. ‘2부 생협의 운영과 재무’는 그런 점에서 매우 실천적인 사업 지침이며, ‘3부 아이쿱생협을 배우다’는 사업과 운동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 발전해나가는지에 대한 훌륭한 본보기다.

한국 최대 생협, 아이쿱의 실천과 비전
아이쿱생협은 2014년 기준 조합원 수 21만 5000명, 매출액 4300억 원에 이르는 한국 최대 생협이다. 한국 협동조합의 대표 사례로 꼽히는 아이쿱생협이 추구하는 전략과 가치 실현의 실제는 ‘사람 중심의 지역발전 구상’을 모토로 한 ‘구례 자연드림파크’에서 잘 찾아볼 수 있다. 친환경식품클러스터인 ‘자연드림파크’는 생산과 생활, 지역사회가 하나로 어우러진 상생의 생태계다. 일자리에서부터 주거, 교육, 의료, 문화까지 아우르는 생산단지이자 삶의 터전이 되도록 함으로써 농업과 농촌의 발전을 도모하고, 나아가 균형 잡힌 국민경제 발전의 주요한 구성요소가 되고자 하는 것이다.
아이쿱생협이 감당하고자 하는 다음 같은 사회적 과제와 역할이야말로 가장 근본적이고 현실적인 협동조합의 비전일 것이다.
“아이쿱생협은 우리 사회에서 협동조합에 의한 협동적인 경제체계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사회적으로 증명할 책임이 있다. 조합원의 협동, 생산-소비의 연대, 사회적 약자와 나눔과 협동, 국경을 넘는 우애와 협력으로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 수 있다는 사회적·경제적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차


머리말 _5

1부_협동조합을 배우다

01 협동조합 이해 ?13
(1) 협동조합이란 무엇인가 _13
(2) 협동조합의 종류 _15
(3) 협동조합의 특징: 주식회사와 비교 _18
(4) 협동조합이 성공하기 위한 조건 _23
02 협동조합 정체성에 관한 ICA 선언 ?25
(1) 국제협동조합연맹 _25
(2) 협동조합 정체성에 관한 ICA 선언 _26
(3) ICA 선언 해설 _32
(4) ICA 협동조합 10년을 위한 청사진 _57
03 협동조합운동을 품은 경제부문: 사회적경제 ?59
(1) 경제활동의 다양성과 다원적인 경제 _59
(2) 사회적경제의 역사적 기원과 원리 _63
(3) 한국의 사회적경제 _68
04 느리게 걸으며 멀리 여행하다: 국제 협동조합운동 ?74
(1) 산업혁명과 거대한 전환, 노동운동의 탄생 _74
(2) 협동조합의 탄생과 주요 분야 _85
(3) 근대 협동조합운동과 사업모델: 로치데일공정선구자협동조합 _96
05 경제가 어려울수록 지역사회와 시민을 지키는 세계 협동조합 ?111
(1) 국제사회는 왜 협동조합에 주목하는가 _111
(2) 사람 중심의 경제를 실현하는 비즈니스, 협동조합 _116
(3) 복지사회와 협동조합 _118
(4) 인간다운 노동을 지키는 몬드라곤협동조합 _123
(5) 협동조합 지역사회의 모델: 에밀리아로마냐 주와 볼로냐 시 _130
06 한국 생활협동조합운동의 역사와 특징 ?134
(1) 일제강점기 소비조합의 활동과 소멸 _134
(2) 해방 후~1950년대: 정부 주도의 협동조합 설립과 풀무생협의 태동 _136
(3) 1960~1970년대: 협동조합운동의 확산과 정부의 탄압 _137
(4) 1970~1980년대: 신협과 단체 중심으로 도시소비자협동조합 출현 _141
(5) 1980~1990년대: 지역에서 자발적으로 결성된 소비자생활협동조합 _143
(6) 1990년대 이후: 경영 위기와 사업연합의 출현 _144
(7) 한국 생협운동의 특징 _148
(8) 한국 생협의 현황 _150

2부_생협의 운영과 재무

07 생협의 기관 이해와 조직운영 ?163
(1) 생협의 기관 _163
(2) 생협 기관운영의 기본 관점 _167
(3) 임원의 역할과 책임 _168
(4) 임원의 리더십 _170
(5) 지역생협의 민주적 운영 _171
08 생협의 경영 이해 ?183
(1) 협동조합 경영 _183
(2) 생협의 "비영리원칙"과 잉여금 발생 시 처리 원칙 _186
(3) 협동조합의 미션을 지향하는 경영 _187
(4) 경영조직의 정비와 생협 경영조직의 특징 _192
(5) 경영자와 이사회의 역할 _196
(6) 협동조합의 자본조달 _199
(7) 아이쿱생협의 경영방침 및 특징 _206
09 생협의 재무회계 이해 ?214
(1) 회계의 개념 _214
(2) 회계기준의 일반 원칙 _217
(3) 생협 회계의 특징 _219
(4) 회계 순환과정 _221
(5) 재무제표 개념과 구조의 이해 _224
(6) 재무제표 분석 _244
(7) 계정과목 설명 _249
(8) 협동조합 자본의 특징 _252
(9) 법인세 _254
(10) 부가가치세 _257

3부_아이쿱생협을 배우다

iCOOP생협이 걸어온 길 _262
10 아이쿱생협의 설립부터 제3기 발전전략까지 ?267
(1) 제1기, 제2기 발전단계(1997~2006)의 주요 정책 _268
(2) 물품의 신뢰 시스템 구축 _277
(3) 상생의 시스템 구축: 우리농업지킴이상조회 _279
(4) 제3기 발전계획(2007~2011) _280
(5) 제3기 발전계획 실행 성과 _287
11 ‘사회적 연대와 나눔의 협동 경제를 향한’
아이쿱생협 제4기 발전계획 ?299
(1) 제4기 발전 시기: 사회적·경제적 전망과 생협의 과제 _299
(2) 사업목표와 활동목표 _315
(3) 사업 분야 _318
(4) 활동 분야 _337

부록
아이쿱생협그룹 현황: 소비자와 생산자, 직원이 함께 만들다 _353
구례에 뿌리내리기, 아이쿱생협의 계획은 이렇습니다 _357
지금 만나러 갑니다: 아이쿱생협 직원 인터뷰 _366
아이쿱생협 공채 필기전형 기출 문제 _387
추천도서 _390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