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3 수박먹고 대학간다 기본편

2023 수박먹고 대학간다 기본편

  • 박권우
  • |
  • 리빙북스
  • |
  • 2022-03-25 출간
  • |
  • 1384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91187568254
판매가

60,000원

즉시할인가

58,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58,2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진학 지도는 우리 손으로”

 

지난 2022학년도 대입은 학령인구 감소의 흐름 속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이 2015 교육과정 취지(문·이과 구분폐지)에 따라 개편되어, 국어와 수학은 공통+선택과목 구조, 사회/과0학탐구영역은 계열 구분 없이 17개 과목 중 최대 2과목을 선택, 제2외국어/한문은 절대평가로 전환, 수능 EBS 연계율은 70%에서 50%로 축소되면서 과목 특성에 따라 직접연계에서 간접연계로 전환되었습니다.

 

수능시험 개편으로 수학영역에서 자연계열 지원자 응시하는 ‘미적분/기하’ 응시자가 1등급의 약90% 정도를 차지한 결과, 수시모집에서 인문계열 지원자가 응시하는 ‘확률과 통계’ 응시자의 수능 최저학력기준 충족율이 낮아졌고, 정시모집에서는 ‘미적분/기하’ 응시자가 상위권 대학의 인문계열로 상향지원하여 합격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또한, 영어영역도 직접연계에서 간접연계로 전환된 영향으로 1등급 비율이 12.66%에서 7.43%로 크게 줄어들어 영어의 변별력도 커졌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2023학년도 대입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시모집 선발 비율이 24.3%에서 22.0%로 감소되었습니다.

정시모집 선발비율이 감소된 이유는 수도권 대학은 35.3%로 전년도와 동일하게 선발하는 반면, 비수도권 대학들이 17.7%에서 13.9%로 크게 줄였기 때문입니다. 학생 수 감소로 인해 입학정원을 채우는 데 어려움을 겪는 비수도권 대학들이 수시모집에서 더 많은 학생들을 선발하여 안정적으로 입학정원을 채우려고 하며, 이는 수시모집에서 정시모집으로의 이월 인원이 줄어드는 결과로 나타났습니다.(지방거점국립대학 기준으로 이월 인원이 전체 모집인원 대비 2.9%에서 1.7% 감소함)

 

2. 의학계열에서 지역인재 최소 입학 비율이 40%(강원·제주는 20%)가 적용됩니다.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 일부 개정(2021년 9월)되어 수도권을 제외한 6개 권역(충청권, 호남권, 대구·경북권, 부산·울산·견남권, 강원권 제주권)에서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한약학과는 제외)는 입학정원의 40%(강원권과 제주권은 20%)를 선발합니다. 따라서, 6개 군역 소재 고교 학생들은 해당 지역 의학계열에 진학하기가 유리해진 반면, 수도권 학생들은 비수도권 대학의 의학계열에 진학하기가 더 어려워졌습니다. 또한, 40%가 ‘선발비율’이 아니라 ‘입학비율’이라는 점도 눈여겨 봐야 합니다.

 

3. 수도권 대학들을 중심으로 학교장추천전형(지역균현전형)을 실시합니다.

수도권 대학에서 학생부교과전형으로 모집인원의 10% 이상을 선발하는 학교장추천전형(지역균형전형)은 올해도 유지되지만 추천 인원을 확대하거나 추천 인원 제한을 폐지하는 등 지원 자격이 점차 완화되는 경향입니다.

 

이러한 2023학년도 대입의 특징일 염두해 두고 다음과 같은 내용에 중점을 두고 정리하였습니다.

 

1부에서는 2023 대입 기본사항 및 시행계획, 수능 시행계획, 학교장추천전형, 전형유형별 모집인원, 수능 응시인원 및 등급별 재학생/졸업생 분포 뿐만 아니라 수시모집에서 정시모집으로의 이월 인원 및 경쟁률을 정리하였고, 한 눈에 보는 전형에서는 전형별 전형 결과를 수록하였습니다.

 

2부에서는 학생부교과, 학생부종합, 논술, 실기 등 각 전형유형별로 전년도 대비 변경사항, 전형, 전형요소 분석, 전형결과를 수록하였고, 예체능계열을 실기위주 뿐만 아니라 학생부교과, 학생부종합, 수능 등 비실기 전형으로 선발하는 대학들을 정리하였습니다.

 

3부에서는 의학 계열, 초등교육과, 고른 기회 특별전형, 사회기여자 및 배려자 특별전형을 정리하여 다양한 유형의 학생들을 진학지도 할 때 도움이 되로록 하였습니다.

 

4부에서는 각 대학의 주요 전형 분석에서 모집단위 중심으로 3년간의 전형 결과를 수시모집 외에 정시모집까지 정리하여 정시모집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지도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습니다.

목차


제1부 2023 대입 살펴보기(대입 흐름 파악하기)
1. 대입 4년 사전 예고제
2. 대입제도 변경사항
3. (2023) 대입전형 기본사항
4. (2023) 대입전형 시행계획
5. (2023) 수능시험 기본계획
6. (2023) 대입 및 학력평가 일정
7. (2023) 학교장추천전형
8. (2023) 수능최저학력기준
9. (2023) 전형유형별 모집인원
10. (2022) 이월 인원 및 경쟁률
11. (2022) 추가모집
12. (수능) 응시인원 및 등급별 재학생·졸업생 분포
13. 한 눈에 보는 전형

제2부 전형유형 분석 (전형 유형별 특징 분석)
1. 학생부교과
2. 학생부종합
3. 논술
4. 실기/실적: 특기자
5-1. 실기/실적 : (예체능)음악
5-2. 실기/실적 : (예체능)미술
5-3. 실기/실적 : (예체능)체육
5-4. 실기/실적 : (예체능)문화
6. 수능


제3부 의학ㆍ초등ㆍ고른기회 (의ㆍ치ㆍ한ㆍ약ㆍ수의예과, 초등교육과, 고른기회특별전형)
1. 의예과
2. 치의예과
3. 한의예과
4. 약학과
5. 수의예과
6. 초등교육과
7. 고른기회 특별전형
8. 사회기역자 및 배려자 특별전형

제4부 대학 (주요전형 분석 및 3년간 경쟁률ㆍ합격자 성적)
일반대학
1. 가천대학교
2. 가톨릭대학교
3. 감리교신학대학교
4. 강남대학교
5. 강원대학교
6. 건국대학교
7. 건국대학교(글로컬)
8. 경기대학교
9. 경동대학교
10. 경북대학교
11. 경상국립대학교
12. 경희대학교
13. 고려대학교
14. 고려대학교(세종)
15. 공주대학교
16. 광운대학교
17. 국민대학교
18. 극동대학교
19. 남서울대학교
20. 단국대학교
21. 대구카톨릭대학교
22. 대진대학교
23. 덕성여자대학교
24. 동국대학교
25. 동덕여자대학교
26. 동양대학교
27. 루터대학교
28. 명지대학교
29. 부산대학교
30. 삼육대학교
31. 상명대학교
32. 서강대학교
33. 서경대학교
3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35. 서울기독대학교
36. 서울대학교
37. 서울시립대학교
38. 서울신학대학교
39. 서울여자대학교
40. 서울장신대학교
41. 서울한영대학교
42. 서원대학교
43. 선문대학교
44. 성결대학교
45. 성공회대학교
46. 성균관대학교
47. 성신여자대학교
48. 세종대학교
49. 수원가톨릭대학교
50. 수원대학교
51. 숙명여자대학교
52. 순천향대학교
53. 숭실대학교
54. 신경대학교
55. 신한대학교
56. 아신학대학교
57. 아주대학교
58. 안양대학교
59. 연세대학교
60. 연세대학교(미래)
61. 용인대학교
62. 우송대학교
63. 울산대학교
64. 원광대학교
65. 을지대학교
66. 이화여자대학교
67. 인천가톨릭대학교
68. 인천대학교
69. 인하대학교
70. 장로회신학대학교
71. 전남대학교
72. 전북대학교
73. 제주대학교
74. 조선대학교
75. 중앙대학교
76. 중앙승가대학교
77. 차의과학대학교
78. 총신대학교
79. 추계예술대학교
80. 충남대학교
81. 충북대학교
82. 칼빈대학교
83. 케이씨대학교
84. 평택대학교
85. 한경대학교
86. 한국교원대학교
87. 한국교통대학교
8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89. 한국산업기술대학교
90. 한국성서대학교
91. 한국외국어대학교
92. 한국체육대학교
93. 한국항공대학교
94. 한남대학교
95. 한동대학교
96. 한라대학교
97. 한림대학교
98. 한밭대학교
99. 한서대학교
100. 한성대학교
101. 한세대학교
102. 한신대학교
103. 한양대학교
104. 한양대학교(에리카)
105. 협성대학교
106. 호남대학교
107. 호서대학교
108. 홍익대학교

교육대학
109. 경인교육대학교
110. 공주교육대학교
111. 광주교육대학교
112. 대구교육대학교
113. 부산교육대학교
114. 서울교육대학교
115. 전주교육대학교
116. 진주교육대학교
117. 청주교육대학교
118. 춘천교육대학교

이공계특성화대학
119. DGIST
120. GIST
121. KAIST
122. KENTECH
123. POSTECH

송도글로벌대학
125.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
126. 유타대학교 아시아캠퍼스

전문학교
127. 서울호서직업전문학교
128. 서울호서예술실용전문학교

부록 : 능력사회로 가는 길 (서울호서전문학교/서울호서예술전문학교)
부록 : 능력사회로 가는 길

저자소개

저 : 박권우 

1997년 인천 숭덕여고에서 교사로 시작하여 2010년부터 현재까지 이대부속고등학교 입시전략실장으로 재직 중이며, 전국 진학담당교사들에게 진학지도서의 바이블로 통하는 <수박먹고 대학간다:기본편>, <수박먹고 대학간다:실전편>의 저자이다.

 

‘진학지도는 우리 손으로’라는 사명감을 가지고 2006년 봄, 유니드림 주최 ‘2007학년도 수시1학기 진학지도를 위한 전국교사연수’를 시작하여 14년 째 전국 진학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여름에 수시모집 연수를 매 년 실시해 오고 있으며, 2018년 3월 17일(토) ‘2019 수박먹고 대학간다(기본편)’을 강의 교재로 경희대 평화의 전당에서 4,300여명의 현직 진학담당교사를 대상으로 2019학년도 대입 강의를 한다.

 

KBS 1TV <행복한 교실>에 고정 패널로 출연하였으며, 한겨레신문 <박권우교사의 수시상담실>을 연재하였고, 교통방송(TBS)의 <상담받고 대학가자(매주 수요일 오후10시)>에 패널로 출연하였으며, 2017년 5월 EBS 다큐프라임 ‘대학입시의 진실’에서 2편 복잡성의 함정에 소개되었다.

 

현재는 탈북 학생들을 돕고 지원하여 통일을 대비하는 미래나눔재단의 장학위원이며, 다음 카페 ‘수박대가’(http://cafe.daum.net/subakdaega:‘수박먹고 대학간다’의 줄임말)를 운영하고 있으며, 겐트대, 건국대, 경희대, 동국대, 명지대, 서울여대, 숭실대, 연세대, 우송대, 인천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외대, 홍익대 입시 자문위원을 역임하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