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경영정보시스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경영정보시스템

  • 노규성.조남재.김의창.남수현.박상혁
  • |
  • 광문각
  • |
  • 2022-03-25 출간
  • |
  • 344페이지
  • |
  • 188 X 257 mm
  • |
  • ISBN 9788970937854
판매가

26,000원

즉시할인가

23,4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3,4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국경영정보학회 우수도서상 수상!!!

경영자와 관리자들이 정보시스템의 활용하여

가치의 창출과 조직 목표 달성을 위한 지침서

 

◈ 도서의 개요

 

수 천년에 걸쳐 기술의 진보는 인류의 삶을 변화시키고 개선시키는 핵심적인 원동력의 역할을 했다. 특히 첨단 컴퓨터와 모바일 기술, 인공지능, 로봇 등의 현대 디지털 기술은 인류와 사회 전반에 전례 없는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그런 변화의 영향은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걱정되는 측면도 있다. 사실 모든 기술은 그 영향에 있어서 밝은 면과 어두운 면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명한 사회와 현명한 기업, 현명한 개인은 그 기술의 밝은 면을 실현하고 어두운 면을 관리하며 새로운 기술을 소화해 나가고, 나아가 자신의 역량으로 축적해 나간다.

 

오늘날 규모나 산업 분야를 막론하고 모든 조직에서 정보시스템은 그 조직이 추구하고 있는 목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정보시스템의 활용은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의 창출과 전략적 비전을 실현하는 핵심적인 수단이 되었다. 이 책은 경영자와 관리자들이 어떻게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경쟁 우위의 창출과 전략적 비전의 실현, 가치의 창출과 조직 목표 달성을 추구하는지를 다룬다.

 

“경영정보학은 무엇을 추구하는 학문일까? 경영정보시스템을 학습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이며, 그것은 나에게 어떤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인가? 정보화와 지능화, 빅데이터 등의 시대적 추세에 맞추어 나가기 위해서 컴퓨터 기술을 배운다는 것 이상의 무엇이 필요한 것일까? 구체적으로 경영에서 컴퓨터는 어떤 역할을 하며, 어떤 중요성을 가지는 것일까?”

 

이런 궁금증들은 경영정보학을 처음 접하는 모든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의문 거리다. 경영학이나 정보시스템 또는 그 인접 학문을 전공하는 학생들, 또는 경영정보학을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이 책을 통하여 배우게 되는 것은 바로 이런 의문에 대한 대답이다. 이 책을 통해서 여러분들은 디지털기술(DT, Digital Technology)이 어떻게 기업의 경쟁력과 가치 창출에 도움이 되는지 이해하고 배우게 될 것이다.

 

“책의 모든 내용은 대표 저자들 간의 긴밀한 협조와 검토”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각 장은 책임 저자의 핵심적 노력으로 집필되었다. 각 장의 책임 저자들은 다음과 같다.

1장 조남재, 2장 노규성, 이서령, 3장 박상혁, 4장 노규성, 이서령,

5장 남수현, 6장 김의창, 7장 박성택, 8장 최광돈, 9장 박성택,

10장 1절 김의창, 2절 박상혁, 3절 조남재

목차


01장. 가치 창출과 정보시스템

 제1절 경영정보시스템의 개념적 틀
  1. 배경
  2. 개념적 모형과 책의 구조

 제2절 경영 환경의 변화
  1. 시장의 세계화
  2. 변화의 가속화
  3. 고객 정체성의 변화
  4. 지능화와 데이터 기반화

 제3절 디지털 기술의 변화
  1. 디지털 기술의 개념화
  2. 디지털 기술의 혁명적 진화
  3. 디지털기술의 진화가 만들어 내는 기회와 위협

 제4절 디지털 변환과 조직의 대응
  1. 4차 산업혁명 디지털 변환과 영향
  2. 경영정보시스템의 역할 변화


02장. 경영 혁신과 디지털 기술

 제1절 경영 혁신 개요
  1. 경영 혁신의 개념과 유형
  2. 경영 혁신에서의 디지털 기술의 역할
   1) 개념
   2) 사례

 제2절 사업 범위의 혁신
  1. 전략적 제휴
   1) 개념
   2) 사례
  2. 사업 범위의 확대
   1) 개념
   2) 사업 범위 확대의 유형
  3. 융합 혁신
   1) 개념
   2) 사례

 제3절 조직 구조의 혁신
  1. 아웃소싱
   1) 개념
   2) 사례
  2. 오픈 이노베이션
   1) 개념
   2) 사례
  3. 네트워크 조직
   1) 개념
   2) 사례

 제4절 업무처리의 혁신
  1. BPR
   1) 개념
   2) 사례
  2. 벤치마킹
   1) 개념
   2) 사례
  3. 스마트워크
   1) 개념
   2) 사례


03장. 경영과 정보

 제1절 정보와 지식
  1. 데이터, 정보, 지식의 관계
  2. 정보의 바람직한 특성
   1) 정확성
   2) 시기 적절성
   3) 증명 가능성
   4) 목적 적합성
   5) 기타 정보의 특성
  3. 지식의 창조와 관리
   1) 지식 창조
   2) 지식관리

 제2절 경영자의 역할과 의사결정
  1. 경영자는 어떤 일을 하는가?
   1) 경영자의 업무
   2) 팀 조직 경영자
  2. 경영과 의사결정
   1) 경영과 의사결정 과정
   2) 경영 의사결정의 왜곡
  3. 경영자의 기타 역할
   1) 인간관계 중재 역할
   2) 경쟁우위 창출자의 역할

 제3절 경영 활동과 정보의 역할
  1. 경영 계층별 관리자를 위한 정보 지원
  2.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 지원
   1) 탐색
   2) 설계
   3) 선택
   4) 실행
  3. 경영자를 위한 정보의 기타 역할
   1) 상황파악
   2) 변화 적응 및 학습
   3) 사회적 관계 유지
   4) 정보와 권력
   5) 정보의 상징적 효과


04장. 경영지원시스템

 제1절 정보시스템의 기본 모형
  1. 정보시스템의 정의
  2. 정보시스템의 구성 요소
  3. 경영지원시스템의 유형

 제2절 경영지원시스템의 유형
  1. ERP
   1) ERP의 개념
   2) 사례
  2. MES
   1) 정의
   2) 사례
  3. SCM
   1) SCM의 정의
   2) 사례
  4. SFM
   1) 개념
   2) 사례
  5. CRM
   1) 개념
   2) 사례


05장. 데이터베이스와 빅데이터

 제1절 데이터와 경영관리
  1. 배경
  2. 경영 활동과 데이터 활용

 제2절 거래처리지원을 위한 데이터
  1. 거래 처리와 데이터
  2. 데이터의 구조화
   1) 관련 용어
   2) 데이터베이스 접근 방식의 필요성
   3) 데이터베이스의 구조화 과정 : 모델링
   4)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5)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제3절 의사결정지원과 데이터 분석 시스템
  1. 데이터웨어하우스
   1) 개념
   2) 특징
  2. 데이터 마트
   1) 개념
   2) 특성
  3. 데이터마이닝
   1) 개념
   2) 특징
   3) 기법

 제4절 빅데이터
  1. 빅데이터로의 진화 필요성
  2. 빅데이터 개념
  3. 빅데이터의 유형
  4. 데이터의 융합
  5. 빅데이터 활용
  6. 빅데이터 분석의 접근 방법
   1) 수요 기반 접근 방법
   2) 데이터 분석 기반 접근법 : 데이터가 말하게 하는 접근 방법
  7. 데이터 시각화


06장. 경영을 바꾸는 신기술

 제1절 소통을 위한 기술
  1. 유·무선 네트워크
   1) 유무선 통신기술의 발전
   2) 차세대 인터넷 주소 체계인 IPv6
  2. 사물인터넷
   1) 사물인터넷의 이해
   2) 사물인터넷의 활용

 제2절 지능을 위한 기술
  1. 인공지능의 이해
   1) 인공지능의 분류
   2) 인공지능 관련 기술
  2. 인공지능의 활용

 제3절 체험을 위한 기술
  1. 가상현실
   1) 가상현실의 이해
   2) 가상현실의 활용
  2. 증강현실
   1) 증강현실의 이해
   2) 증강현실의 활용
  3. 홀로그램
   1) 홀로그램의 이해
   2) 홀로그램의 활용
  4. 4D 기술
   1) 4D 기술의 이해
   2) 4D 기반 실감 미디어의 활용

 제4절 행위를 위한 기술
  1. 3D 프린팅 기술
   1) 3D 프린팅의 이해
   2) 3D 프린팅의 활용
  2. 로봇 기술
   1) 로봇 기술의 이해
   2) 로봇의 활용
   3) 미래의 스마트 운송수단


07장. 정보시스템 관리와 정보보호

 제1절 정보시스템 관리
  1. 정보시스템 관리의 중요성
  2. 정보시스템 도입
   1) 자체 개발
   2) 외주(아웃소싱)
   3) SW 구매
  3. 정보시스템의 운영 : 인력과 유지보수
   1) 정보시스템 인력
   2) 정보시스템 유지보수(software maintenance)

 제2절 정보보호
  1. 정보보호
   1) 정보보호의 중요성
   2) 정보보호 인력
   3) 정보보호 정책
   4) 정보보호 기술
  2. 보호 방법


08장. 경쟁 전략과 디지털 기술의 전략적 활용

 제1절 경쟁 구조와 디지털 기술의 활용
  1. 경쟁 세력 모형과 디지털 기술의 역할
   1) 산업 내 기존 경쟁사
   2) 공급자
   3) 구매자
   4) 잠재 신규 진입자
   5) 대체재 생산자
  2. 디지털 기술의 전략적 효과
   1) 디지털 기술이 경쟁의 양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2) 디지털 기술이 구매자의 교체 비용을 높일 수 있는가?
   3) 디지털 기술이 공급자와의 교섭 능력에 변화를 주는가?
   4) 디지털 기술이 신규 진입자에 대한 진입 장벽을 구축할 수 있는가?
   5) 디지털 기술이 신제품을 창출할 수 있을까?

 제2절 경쟁 전략과 디지털 기술의 활용
  1. 경쟁 전략
   1) 원가우위 전략
   2) 차별화 전략
   3) 집중화 전략
  2.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디지털 기술의 활용
   1) 원가우위 전략과 디지털 기술
   2) 차별화 전략과 디지털 기술
   3) 집중화 전략과 디지털 기술

 제3절 가치사슬과 디지털 기술의 역할
  1. 가치사슬 모형
  2. 가치사슬상에서의 디지털 기술 활용
   1) 입고
   2) 생산
   3) 출고
   4) 마케팅 및 영업
   5) 고객 서비스
   6) 인프라 관리
   7) 인적자원 관리
   8) 기술 개발
   9) 조달
  3. 디지털 기술이 기업의 내부와 외부에 미치는 영향


09장. 디지털 비즈니스

 제1절 기존 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1. 프로세스 변화
  2. 제품 및 서비스 변화
  3. 신규 비즈니스
   1) 몬산토
   2) GE

 제2절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
  1. 제품 유통
  2. 콘텐츠
   1) 이러닝과 에듀테크
   2) 게임
  3. 온라인 금융
   1) 인터넷 뱅킹
   2) 사이버 증권 거래
   3) 온라인 보험
   4) 핀테크
  4. 포털 서비스

 제3절 새로운 디지털 비즈니스 산업
  1. 소셜미디어 서비스 산업
   1) SNS 서비스
   2) 모바일 메신저
  2. 자원 공유 중계산업
   1) 숙박 공유
   2) 승차 공유
  3. UCC 산업
  4. 크라우드 소싱 산업
  5. 모바일 앱 산업


10장. 디지털 기술과 미래 비즈니스

 제1절 공유경제와 블록체인
  1. 공유경제와 디지털 플랫폼
   1) 공유경제 이해
   2) 공유경제를 위한 디지털 플랫폼
  2. 블록체인 : 기술의 민주화
   1) 블록체인과 비트코인
   2) 블록체인의 응용

 제2절 디지털 시대와 산업의 재탄생
  1. 개방형 혁신
  2. 새로운 산업 생태계의 탄생

 제3절 디지털이 바꾸는 세상
  1. 디지털 기술과 미래의 기업
  2. 디지털 기술과 미래의 시장
  3. 디지털 기술과 미래의 사회

저자소개

노규성 (지은이) 

선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디지털혁신라운드 수석공동의장, 한국소프트웨어기술인협회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경영정보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제16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 제2분과 자문위원, 문재인 정부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전문위원, 대통령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 위원, 한국생산성본부 회장, 중소벤처기업혁신성장위원회 위원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회장 등으로 활동했다. 한국 e-비즈니스대상(유공자부문 산업자원부장관 표창), 정부혁신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 표창장, 정부업무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근정포장, 국가 정보통신 정책 수립에 공헌하여 동탑산업훈장을 수상했다. 저서로 『디지털 뉴딜』(2020), 『디지털 스몰자이언츠』(2019), 『미래 예측 2030』(공역, 2019), 『4차산업혁명시대의 경영정보시스템』(공저, 2019), 『ICT 초강국 건설전략』(공저, 2017), 『스마트융합 비전과 국가전략』(공저, 2012) 등이 있다. “뉴노멀 시대의 디지털 기반 전략경영에 관한 연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경쟁전략과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스마트워커의 역량모델에 관한 연구”, “A Exploratory Study on Election Campaign Strategy in Korea by using Big Data” 등 다수의 연구논문과 보고서가 있다. 

 

조남재 (지은이) 

■ 학력 및 주요 경력

  서울대학교 산업공학 학사

  한국과학기술원 경영과학 석사

  미 보스턴대학교 경영정보학 박사

 

  한양대학교 YES 가업승계 MBA, KABS 국제 MBA 기획 및 설립

  한국경영정보학회 회장

  한국데이터전략학회 회장

  정보통신부 디지털 컨버전스 미래연구 기획총괄위원

  서울시, 정보통신부, 조달청 정보화자문위원 역임

  사이더스 iHQ, Ktis 사외이사 역임

  미국 보스턴대, 프랑스 브루고뉴대, 태국 출라롱콘대, 태국 AIT 방문교수

  프랑스 파리대 방문교수 (프랑스 해외석학 초빙 사업으로 참가)

  인도공과대학(IIT) 외부 자문교수

  Information Systems Review 편집위원장

  Journal of IT Applications and Management 편집위원장

  Asia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편집위원장

  International IT Applications and Management Society 의장

 

■ 주요 저서

  기술기획과 로드매핑: 미래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Innovation in Organizational Coordination using Advanced Mobile Technology (Springer Verlag, Germany)

  Electronic Supply Network Coordination in the Dynamic and Complex Environment (IGI Global, USA)
 

 

김의창 (지은이) 

현) 동국대학교 정보경영학과 교수

동국대학교 학생처장

동국대학교 교무처장

국제e비즈니스학회 회장

(재)경주스마트미디어센터장

경상일보 논설위원


 

남수현 (지은이) 

현) 한남대학교 글로벌 IT 경영학과 교수

한남대학교 경영연구소 소장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정보화경영체제 심사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빅데이터연구위원장


 

박상혁 (지은이)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전자상거래무역학과 부교수 재직

인도 델리대학교 교환교수 역임

LG-CNS 시스템엔지니어 역임

저서: 정보시스템분석 및 설계, 컴원미디어(2007)

주요분야: e- 비즈니스 전략, 경영혁신, 전자상거래 분야 강의 및 컨설팅



박성택 (지은이) 

 

(재)천안과학산업진흥원 전략기획본부장

선문대학교 SW융합학부 교수

성균관대학교 경영학과 초빙교수

충북대학교 경영정보학과 연구교수

(사)한국디지털정책학회 감사


 

이서령 (지은이) 

esrlee@gmail.com

경영학 박사(혁신)

(사)한국소프트웨어기술인협회 회장

(사)한국블록체인기업진흥협회 사무총장

선문대학교 겸임교수(글로벌경영학과)

산업정책연구원(IPS) 연구교수

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초빙교수

전) 국회정책연구위원(1급)



최광돈 (지은이) 

현) 한세대학교 국제경영학과 교수

국가생산성대상(정보화부문) 심사위원

(전) 지방자치단체 혁신브랜드사업 지도위원장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