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2 행정법 교안 Summary

2022 행정법 교안 Summary 변호사시험.5급공채 등 대비

  • 서병수
  • |
  • 학연
  • |
  • 2022-03-10 출간
  • |
  • 498페이지
  • |
  • 160 X 235 mm
  • |
  • ISBN 9791158247638
판매가

29,000원

즉시할인가

26,1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6,1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2022년판 머리말

 

안녕하십니까! 서병수 변호사입니다. 「2022년판 행정법교안」에 이어 「2022년판 행정법교안 Summary」을 출간하였습니다.

 

「2022년판 행정법교안 Summary」의 특징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2022년판 행정법교안 Summary」은 「2022년판 행정법교안」의 자매서입니다. 따라서 「2022년판 행정법교안」으로 시험준비를 하시는 분은 「2022년판 행정법교안 Summary」로 마무리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2.「2022년판 행정법교안 Summary」은 「2022년판 행정법교안」을 요약한 책이 아니라, 「2022년판 행정법교안」 중에서 답안지를 쓸 내용만을 간추린 책입니다.

3.쟁점별로 정리한 책은 자칫 행정법 전체체계를 놓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 교재는 행정법 전체체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도 신경을 썼습니다.

4.「2022년판 행정법교안 Summary」은 「2022년판 행정법교안」과 마찬가지로 2021. 2. 26. 국회를 통과한 「행정기본법」을 전면 반영하였습니다.

5.「2022년판 행정법교안 Summary」은 「2022년판 행정법교안」과 마찬가지로 2020. 11. 9. 국회를 통과한 「전부개정 지방자치법」을 전면 반영하였습니다.

6.「2022년판 행정법교안 Summary」은 2021. 1. 11. 국회를 통과한 「행정절차법」을 전면 반영하였습니다.

7.2021. 12. 발간된 「대법원 판례공보」까지 반영하였습니다.

8.2021년까지 출제된 사법시험 및 5급 공채의 사례형과 2022년까지 출제된 변호사시험(모의시험 포함) 선택형ㆍ사례형ㆍ기록형까지 기출표시를 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학습방향을 잡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9.본래 본 교재는 5급 공채 및 변호사시험 등 사례형을 대비하기 위해서 만든 책입니다. 그러나 「2022년판 행정법교안」과 마찬가지로 선택형 기출판례도 2022년 변호사시험에 출제된 선택형 기출판례까지 반영하여 기출판례를 전체적으로 95% 이상 반영하였습니다. 따라서 변호사시험 선택형도 대비가 가능할 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불가피하게 페이지 수가 늘어난 점을 양해하시기 바랍니다.

10.5급 공채 및 변호사시험 등 사례형을 준비하는 수험생은 시험답안지를 작성할 때 변호사시험에서 선택형으로 출제된 판례를 리딩판례(Leading Case)로 활용하시면 됩니다. 특히 변호사시험을 준비하시는 수험생들은 이 책으로 선택형, 사례형 및 기록형 중 청구원인 부분을 마무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11.마지막으로 총론과 각론에서 선택형이나 사례형으로 출제되지 않는 주제와 각론 중에서 총론과 중복되는 주제는 별도로 다루지 않았음을 알려드립니다.

 

이번 「2022년판 행정법교안 Summary」의 출간에도 물심양면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아주신 이인규 박사님과 전희주 편집인에게 지면을 빌려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끝으로 이 책으로 시험준비를 하시는 모든 수험생에게 합격의 영광을 있기를 기원합니다.

 

변호사 서병수

2022. 2. 25. 

목차


제1편 헌법총론
제1장 헌법과 헌법학 3
제2장 헌법의 기본원리 3
사례 01.의료급여 대상의 축소와 소급입법금지원칙 위배 여부 [사법시험 제51회(2009) 제2문의2] 3
사례 02.교원할당제와 신뢰보호원칙 위배 여부[사법시험 제48회(2006) 제1문] 6
사례 03.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 조항의 진정소급입법 해당 여부[법전원 2015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 9
제3장 헌법의 기본제도 11
사례 04.후보자 등록 제한과 정당의 자유[법전원 2016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 11
사례 05.선거비용 보전범위 제한 규정의 위헌 여부[법전원 2018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의2] 14
사례 06.쇼핑몰 설치 제한 조례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사법시험 제50회(2008) 제1문] 18
사례 07.조례에 대한 헌법소원심판[변호사시험 제7회(2018) 제1문의1] 21


제2편 기본권론
제1장 기본권 총론 27
사례 08.입국의 자유와 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사법시험 제57회(2015) 제1문] 27
사례 09.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 인정 여부[법전원 2018년 제3차 모의시험 제2문의5] 29
사례 10.외국인 근로자의 근로의 권리 주체성[법전원 2021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의3] 32
사례 11.재단법인의 기본권 주체성[법전원 2015년 제1차 모의시험 제2문의5] 36
사례 12.대통령의 기본권 주체성[법전원 2013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 38
사례 13.판사의 기본권 주체성[사법시험 제51회(2009) 제1문] 44
사례 14.기본권 경합[사법시험 제59회(2017) 제1문의2] 50
사례 15.금연구역 규정과 기본권의 충돌[변호사시험 제5회(2016) 제1문의3] 53
사례 16.피의자의 얼굴 공개와 기본권 충돌[사법시험 제56회(2014) 제2문의2] 58
사례 17.기본권 제한 입법과 명확성의 원칙[법전원 2014년 제2차 모의시험 제2문2⑴] 61
사례 18.명확성 원칙[법전원 2019년 제1차 모의시험 제2문] 63
사례 19.명확성 원칙 및 법률유보원칙 위배 여부[법전원 2020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의3] 65
사례 20.명확성 원칙 위배 여부[법전원 2021년 제2차 모의시험 제2문의5(2)] 68
사례 21.의회유보원칙 및 포괄위임금지원칙 위반 여부[변호사시험 제11회(2022) 제1문의2] 71
사례 22.포괄위임금지원칙 위배 여부[법전원 2017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3] 75
사례 23.포괄위임금지원칙 위배 여부[법전원 2019년 제3차 모의시험 제2문] 78
사례 24.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법전원 2018년 제1차 모의시험 제2문의4] 81
제2장 인간의 존엄과 가치·행복추구권·법 앞의 평등 84
사례 25.친일반민족행위 조사보고서의 공개와 인격권 침해 여부[사법시험 제55회(2013) 제1문] 84
사례 26.법위반사실 공표와 인격권 침해 여부[법전원 2015년 제3차 모의시험 제2문의4] 87
사례 27.금연구역지정과 일반적 행동자유권 침해 여부[사법시험 제58회(2016) 제1문] 92
사례 28.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자기결정권[사법시험 제59회(2017) 제2문의2] 95
사례 29.건강진단 및 예방접종 명령과 자기결정권[변호사시험 제10회(2021) 제2문의4] 98
사례 30.성적 자기결정권 침해 여부[사법시험 제59회(2017) 제2문의1(1)] 101
사례 31.성적 자기결정권 침해 여부[사법시험 제52회(2010) 제2문의2] 103
사례 32.평등권 침해 여부[사법시험 제59회(2017) 제2문의1(2)] 105
사례 33.서울시의 금연구역지정조례와 평등원칙 위배 여부[사법시험 제58회(2016) 제1문] 108
사례 34.교원할당제의 평등권 및 공무담임권 침해 여부[사법시험 제48회(2006) 제1문] 110
사례 35.연임제한규정의 평등권 침해 여부[변호사시험 제10회(2021) 제1문의2-2] 115
사례 36.전기요금 누진제의 평등권 침해 여부[변호사시험 제11회(2022) 제1문의3] 117
사례 37.청년고용의무제의 평등권 침해 여부[법전원 2021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의3(2)] 120
제3장 자유권적 기본권 122
사례 38.지문채취거부행위를 처벌하는 규정의 위헌 여부[변호사시험 제5회(2016) 제1문의2] 122
사례 39.책임과 형벌간의 비례원칙[법전원 2020년 제1차 모의시험 제2문의5] 127
사례 40.신상공개명령과 이중처벌금지원칙[사법시험 제58회(2016) 제2문의1] 129
사례 41.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명령과 이중처벌금지원칙[법전원 2015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 132
사례 42.배우자의 금품수수 처벌과 연좌제 금지[법전원 2017년 제3차 모의시험 제2문5] 134
사례 43.행정기관에 의한 구금과 영장주의[변호사시험 제8회(2019) 제1문의2-1] 137
사례 44.탄핵소추절차와 적법절차원칙[법전원 2014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 142
사례 45.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변호사시험 제9회(2020) 제1문의2] 145
사례 46.법위반사실 공표명령의 진술거부권 침해 여부[법전원 2019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 149
사례 47.피의자 얼굴보도와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및 보도의 자유[사법시험 제56회(2014) 제2문의2] 153
사례 48.정당활동 경력의 공개 요구와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침해 여부[사법시험 제54회(2012) 제2문의2] 157
사례 49.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과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법전원 2015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 162
사례 50.정보의 제공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침해 여부[법전원 2014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 167
사례 51.수형자의 서신발송 및 변호인 접견 제한[법전원 2017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의2] 170
사례 52.패킷감청행위의 통신의 비밀 침해 여부[법전원 2019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 175
사례 53.미결수용자의 종교행사 참석 제한과 종교적 집회·결사의 자유 침해 여부[법전원 2012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 182
사례 54.납골시설의 설치 제한과 종교의 자유 침해 여부[법무부 2011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의2] 191
사례 55.광고의 금지와 표현의 자유 침해 여부[변호사시험 제6회(2017) 제1문의2] 196
사례 56.광고표현에 대한 제한[사법시험 제59회(2017) 제1문의3] 203
사례 57.인터넷 게시글 삭제행위의 표현의 자유 침해 여부 및 검열 해당 여부[사법시험 제57회(2015) 제1문] 205
사례 58.도서열람금지 조치와 선거운동의 자유 침해 여부[사법시험 제55회(2013) 제1문] 210
사례 59.공무원의 정치행위 금지 규정의 정치적 표현 자유 침해 여부[변호사시험 제1회(2012) 제1문] 217
사례 60.신문 발행인의 신문기사 삭제와 언론의 자유[사법시험 제51회(2009) 제2문의1] 223
사례 61.신문의 보도의 자유와 허위보도[법전원 2014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 226
사례 62.단체의 정치자금 기부 금지와 정치적 표현의 자유[법전원 2011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 230
사례 63.군내 불온서적 차단과 알 권리 침해 여부[법전원 2020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의2·3] 235
사례 64.집회의 자유(우발적 집회)[사법시험 제50회(2008) 제2문의1] 242
사례 65.집회의 자유의 장소적 제한[법전원 2011년 제1차 모의시험 제2문의3] 247
사례 66.옥외집회 신고제의 위헌 여부[법전원 2020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의1] 250
사례 67.국립대학교의 총장선출방식과 대학의 자유[법전원 2020년 제2차 모의시험 제2문의5] 253
제4장 경제적 기본권 256
사례 68.손실보상에 관한 규정이 없는 법령에 근거한 재산권 제한[변호사시험 제9회(2020) 제2문(3)] 256
사례 69.도로점용허가 갱신 제한과 재산권 침해 여부[변호사시험 제5회(2016) 제2문의4] 261
사례 70.공무원 연금 삭감 조항과 재산권 침해 여부[변호사시험 제2회(2013) 제2문의3] 263
사례 71.현물분양권을 부정하는 규정이 재산권을 침해하는지 여부[법전원 2017년 제1차 모의시험 제2문의3] 270
사례 72.이주대책과 정당한 보상[법전원 2021년 제3차 모의시험 제2문의4] 274
사례 73.민간영리기업에 의한 수용과 재산권 침해 여부[법전원 2012년 제3차 모의시험 제2문의2] 277
사례 74.석유정제업 등록 제한과 직업의 자유 침해 여부[변호사시험 제6회(2017) 제2문의4) 281
사례 75.요양기관 강제지정제와 직업의 자유[법전원 2016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 284
사례 76.흡연폐해 경고그림 부착과 직업의 자유[사법시험 제58회(2016) 제1문] 290
사례 77.운전면허의 취소와 직업의 자유[변호사시험 제3회(2014) 제2문] 293
사례 78.백화점 실내온도 규제와 직업의 자유[사법시험 제54회(2012) 제2문의1] 302
사례 79.PC방 금연구역 지정과 직업의 자유 침해 여부[법전원 2018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의2·3] 306
사례 80.직업수행의 자유 침해 여부[법전원 2019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 311
사례 81.보호자 동승의무조항과 직업의 자유 침해 여부[법전원 2021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의2] 314
사례 82.청년고용의무제의 직업의 자유 침해 여부[법전원 2021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의3(1)] 317
제5장 정치적 기본권 320
사례 83.선거권 연령 제한 규정의 위헌 여부[사법시험 제59회(2017) 제2문의3] 320
사례 84.공무담임권 침해 여부[법전원 2016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 323
사례 85.경찰청장 퇴임 후 공무원 임용 제한 규정의 위헌 여부[법전원 2017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1] 326
사례 86.국회의원의 4선 연임 제한 법률안[법전원 2019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 329
제6장 청구권적 기본권 332
사례 87.후임 헌법재판관을 선출하지 않은 부작위와 재판청구권[변호사시험 제4회(2015) 제1문의1] 332
사례 88.대법원의 단심재판과 재판청구권[법전원 2015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 335
사례 89.접견제한과 수형자의 재판청구권 침해 여부[변호사시험 제10회(2021) 제1문의1-1] 338
사례 90.국가배상청구권을 제한하는 헌법규정의 위헌 여부[법전원 2014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 341
사례 91.의무경찰의 국가배상청구권 제한[변호사시험 제8회(2019) 제1문의2-2] 344
제7장 사회적 기본권 349
사례 92.인간다운 생활권[사법시험 제37회(1995) 제2문의1] 349
사례 93.과외금지규정의 위헌 여부[법전원 2013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 354
사례 94.학교선택권 침해 여부[변호사시험 제7회(2018) 제1문의2] 362
사례 95.혼인·출산의 자유[사법시험 제57회(2015) 제2문의1] 366
사례 96.동성혼(同性婚)의 자유 인정 여부[법전원 2018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2] 369


제3편 통치구조론
제1장 통치구조론의 이론적 기초와 체계 377
제2장 통치구조의 구성원리 377
사례 97.대법원장의 헌법기관구성권과 권력분립의 원리[사법시험 제48회(2006) 제2문의1] 377
사례 98.대법관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겸직과 권력분립의 원리[법전원 2013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 381
제3장 통치구조의 형태 383
제4장 통치작용 383
제5장 국회와 국회의원 383
사례 99.다수결 원리 및 본회의 의결주의[법전원 2019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 383
사례 100.일사부재의 원칙 위배 여부[법전원 2017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3] 388
사례 101.지방자치단체의 자치사무에 대한 국정조사[사법시험 제55회(2013) 제2문의2] 391
사례 102.국정조사요구 요건의 정족수를 강화하는 법률개정안[변호사시험 제9회(2020) 제1문의1(3)] 394
사례 103.해임건의권의 기속력 인정 여부[법전원 2013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 397
사례 104.비례대표 국회의원의 탈당과 의원직 상실[사법시험 제42회(2000) 제1문] 401
사례 105.국회의원 제명처분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사법시험 제58회(2016) 제2문의 2] 407
사례 106.국회의원 제명처분에 대한 헌법소원심판[법전원 2014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 410
사례 107.비난내용의 발언과 국회의원의 면책특권[법전원 2015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 415
사례 108.청문회 발언 내용의 사전배포와 국회의원의 면책특권[법전원 2014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 419
제6장 정부(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 국무회의) 423
사례 109.대통령 선거 실시 여부[법전원 2021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의2] 423
사례 110.대통령의 불소추특권[법전원 2014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 425
사례 111.긴급재정경제명령의 발동요건 충족 여부[법전원 2021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의2] 427
사례 112.법률안에 대한 국민투표의 허용 여부[사법시험 제54회(2012) 제1문] 429
사례 113.대통령 권한대행의 직무범위와 국무총리의 법률안 거부권[변호사시험 제4회(2015) 제1문의3] 432
사례 114.대통령 권한대행의 직무범위[법전원 2021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의3] 436
사례 115.사면법 개정안에 대한 대통령의 법률안 거부권[사법시험 제53회(2011) 제2문의1] 438
사례 116.사회복지입법에 대한 대통령의 법률안 거부권[법전원 2014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 443
사례 117.보류거부권 인정 여부[법전원 2017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의3] 445
사례 118.사면권 행사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사법시험 제53회(2011) 제2문의1] 448
사례 119.국무총리 부서 없는 대통령 법률안 공포행위의 효력[변호사시험 제9회(2020) 제1문의1(1)] 452
사례 120.부서 없는 대통령의 국법상 행위의 효력[사법시험 제49회(2007) 제2문의1] 455
사례 121.부서의 거부 가능성 및 부서 없는 대통령의 국법상 행위의 효력[법전원 2017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의2] 459
사례 122.공정거래위원회를 대통령 직속으로 설치하는 법률안[법전원 2021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의1] 462
제7장 법 원 465
사례 123.대법원장의 인사발령과 사법권의 독립[사법시험 제51회(2009) 제1문] 465
사례 124.‘법관 징계 사유’ 규정의 위헌 여부[법전원 2015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 467


제4편 헌법재판소
제1장 위헌법률심판·제68조 제2항에 따른 헌법소원심판 473
사례 125.위헌법률심판 제청신청의 적법요건[법전원 2016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 473
사례 126.위헌법률심판의 대상 및 위헌제청의 적법 여부[법전원 2018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의1] 475
사례 127.재판의 전제성[법전원 2016년 제2차 모의시험 제2문] 478
사례 128.재판의 전제성 인정 여부[사법시험 제59회(2017) 제1문의1] 480
사례 129.재판의 전제성[법전원 2018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1-가] 482
사례 130.합헌결정의 기속력·위헌결정의 소급효[사법시험 제57회(2015) 제2문의2] 484
사례 131.비형벌법규에 대한 위헌결정의 소급효[변호사시험 제7회(2018) 제2문의3] 487
사례 132.위헌결정의 기속력[사법시험 제54회(2012) 제1문] 489
사례 133.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 및 법원의 재판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사법시험 제55회(2013) 제2문의1] 492
사례 134.한정위헌결정과 재심청구의 적법 여부[법전원 2014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 496
사례 135.위헌제청신청 기각 결정과 위헌성의 정도[변호사시험 제3회(2014) 제2문의3] 500
사례 136.한정위헌청구의 적법 여부[변호사시험 제5회(2016) 제1문의1] 504
사례 137.한정위헌청구의 적법 여부[사법시험 제59회(2017) 제1문의4] 507
사례 138.한정위헌청구의 적법 여부[법전원 2018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1-다] 509
사례 139.한정위헌청구의 적법 여부[법전원 2019년 제1차 모의시험 제2문] 511
사례 140.헌법규정에 대한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심판[법전원 2014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 513
사례 141.청구기간[법전원 2018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1-나] 517
사례 142.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심판[변호사시험 제2회(2013) 제2문의3] 519
사례 143.법령에 대한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심판[변호사시험 제1회(2012) 제1문] 522
사례 144.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심판청구[법전원 2021년 제2차 모의시험 제2문의5(1)] 526
사례 145.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심판청구[변호사시험 제11회(2022) 제1문의1] 528
사례 146.헌법소원심판청구의 적법 여부[법전원 2018년 제2차 모의시험 제2문의4] 531
제2장 탄핵심판 534
제3장 정당해산심판 534
사례 147.해산된 정당 소속 국회의원의 의원직 상실 여부[변호사시험 제8회(2019) 제1문의1] 534
사례 148.정당해산심판의 대상 및 해산된 정당 소속 의원의 의원직[법전원 2020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 536
제4장 권한쟁의심판 546
사례 149.공정거래위원회의 권한쟁의심판 청구인 능력[법전원 2021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의4] 546
사례 150.국회의 동의 없이 조약을 비준한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원의 권한쟁의심판[법전원 2016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 549
사례 151.S구(區) 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비용 통보와 권한쟁의심판[변호사시험 제4회(2015) 제1문의2] 555
사례 152.기관위임사무와 법률조항에 대한 권한쟁의심판[사법시험 제56회(2014) 제2문의1] 559
사례 153.국회부의장의 피청구인 적격 인정 여부[법전원 2017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의1] 563
사례 154.법률안에 대한 국민투표안 공고와 권한쟁의심판[사법시험 제54회(2012) 제1문] 567
사례 155.교육감과 도지사의 권한쟁의심판[변호사시험 제7회(2018) 제1문의3] 570
사례 156.국회 의결절차의 하자와 권한쟁의심판[변호사시험 제9회(2020) 제1문의1(2)] 574
사례 157.권한쟁의심판과 제3자 소송담당[법전원 2015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 579
사례 158.상임위원회 강제 변경과 권한쟁의심판[법전원 2014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 582
사례 159.국회의장에 대한 국회의원의 권한쟁의심판[법전원 2019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 588
사례 160.권한쟁의심판과 가처분[사법시험 제53회(2011) 제2문의2] 592
제5장 헌법소원심판 595
사례 161.정당의 헌법소원심판 청구인 능력[법전원 2016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 595
사례 162.공법인의 헌법소원심판 청구인 능력[법전원 2021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의1(2)] 597
사례 163.법률에 대한 헌법소원심판[변호사시험 제6회(2017) 제1문의1] 600
사례 164.법률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사법시험 제58회(2016) 제1문] 606
사례 165.자기관련성, 직접성 요건 충족 여부[법전원 2016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 610
사례 166.자기관련성[법전원 2021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의1(3)] 613
사례 167.직접성 및 권리보호이익[법전원 2016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 615
사례 168.직접성 및 권리보호이익[법전원 2017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의1] 617
사례 169.헌법소원심판과 기본권 침해의 직접성[변호사시험 제5회(2016) 제2문의4] 621
사례 170.직접성·현재성·청구기간 충족 여부[법전원 2018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의1] 623
사례 171.직접성 및 현재성[변호사시험 제10회(2021) 제1문의2-1] 627
사례 172.직접성 및 보충성[법전원 2020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의1] 629
사례 173.직접성 및 청구기간[법전원 2021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의1] 632
사례 174.부작위에 대한 헌법소원심판[변호사시험 제4회(2015) 제1문의1] 635
사례 175.법적 관련성 요건 충족 여부[사법시험 제56회(2014) 제1문] 639
사례 176.단체와 구성원의 법적 관련성 인정 여부[법전원 2017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2] 642
사례 177.법률안에 대한 국민투표 제안과 헌법소원심판[사법시험 제54회(2012) 제1문] 645
사례 178.직접성과 청구기간 요건 충족 여부[사법시험 제54회(2012) 제2문의1] 647
사례 179.자기관련성과 직접성 요건 충족 여부[사법시험 제52회(2010) 제2문의2] 650
사례 180.보충성 요건 충족 여부[사법시험 제51회(2009) 제1문] 653
사례 181.법적 관련성 및 보충성[법전원 2019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 655
사례 182.보충성 및 청구기간[법전원 2021년 제1차 모의시험 제2문의5] 658
사례 183.행정규칙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사법시험 제51회(2009) 제2문의2] 661
사례 184.행정규칙의 헌법소원심판 대상성 인정 여부[법전원 2017년 제2차 모의시험 제2문2] 663
사례 185.행정규칙에 대한 헌법소원심판[법전원 2020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의2] 667
사례 186.법률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사법시험 제48회(2006) 제1문] 671
사례 187.헌법소원심판의 대상적격 인정 여부[법전원 2014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 674
사례 188.긴급재정경제명령의 대상적격 인정 여부[법전원 2021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의1(1)] 676
사례 189.대법원의 재심청구기각 판결에 대한 헌법소원심판[법전원 2014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 679
사례 190.미결수에 대한 교도소장의 처우와 헌법소원심판[법전원 2012년 제3차 모의시험 제1문] 681
사례 191.패킷감청에 대한 헌법소원심판[법전원 2019년 제2차 모의시험 제1문] 688
사례 192.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1항 및 제2항의 헌법소원심판[법전원 2011년 제1차 모의시험 제1문] 693
사례 193.헌법소원심판과 가처분[변호사시험 제10회(2021) 제1문의1-2] 700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