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3-2 교육과정 Part: 놀이관찰과 기록
01 놀이 관찰과 기록에 대한 이해
1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관찰과 기록
2 놀이 관찰기록의 자율성과 다양성
02 이론적 배경: 유아 관찰 및 연구
1 유아 관찰 및 행동 연구에 대한 이해
2 아동 연구의 유형과 접근법
03 이론적 배경: 관찰법(observation method)의 활용하기
1 관찰법(observation method)에 대한 이해
2 관찰의 절차(과정)
04 이론적 배경: 목적에 적합한 관찰방법 활용하기
1 서술식(descriptive) 관찰법 유형
2 범주형(약호식) 관찰법 유형
부 록
1 펜의 상호작용 또래 놀이척도
2 놀이 지속시간 관찰척도
Chapter 4-1 유아교사론
01 유아교사로서의 교직관 정립
1 유아교사직에 대한 이해
2 유아교사의 교직윤리
3 유아교사의 자격·권리·의무
02 유아교사의 역할과 역량
1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
2 유아교사의 전문성
03 유아교사의 성장과 발달
1 교사발달에 대한 이해: 교직주기에 따른 발달
2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실천적 지식
04 유아교사로서 협력하기
1 유아교사를 위한 장학
2 협력자로서의 교사
부 록
1 윤리강령
2 유아교사의 시간관리
3 유아교사의 직무수행과 스트레스
Chapter 4-2 교수-학습 원리·유치원 평가
01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교수-학습 원리
1 교수-학습에 대한 이해 404
2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교수-학습 원리
02 유치원 평가
1 유아교육기관 평가에 대한 이해
2 제5주기 유치원평가(제5주기 2021학년도 유치원 평가 매뉴얼, 2021)
Chapter 5 아동상담과 부모교육
01 아동상담 및 학부모 상담에 대한 이해
1 아동상담에 대한 이해
2 학부모 상담에 대한 이해
02 아동상담 · 부모교육의 이론 및 프로그램
1 민주주의 부모교육이론: 아들러(Adler), 드라이커스(Dreikurs)
2 인본주의 부모교육이론: 로저스(Rogers), 기노트(Ginott), 가트먼(Gottman)
3 번(Berne)의 상호교류분석(Transactional Analysis, TA) 이론
4 부모교육 프로그램들: 고든(Gordon)의 부모효율성 훈련(PET) 등
03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참여 및 교육
1 부모교육·부모참여에 대한 이해
2 부모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실제
3 부모교육의 운영 방법
부 록
1 아동상담의 문제 영역 및 진단기준
2 부모 유형에 따른 상담 기술(전략)과 민원 대처
3 부모면담의 기본원리(전략) 및 진행 절차
4 부모와 교사의 파트너십
Chapter 6-1 아동권리와 복지
01 아동권리와 아동복지에 대한 이해
1 아동권리(Children’s Rights)에 대한 이해
2 아동복지(Child Welfare)에 대한 이해
02 아동권리와 복지의 역사(발달과정)와 내용
1 아동권리운동(아동의 인권에 관한 국제선언 및 협약)의 역사
2 한국의 아동복지(아동복지 서비스) 역사
03 아동권리와 복지의 실천
1 아동복지 정책과 관련법에 대한 이해
2 아동복지 서비스의 실천분야(영역)
3 (학자별) 아동복지 서비스의 유형
부 록
1 유엔아동권리협약 제1부 조항
2 아동권리 측면에서 바라본 유아 미디어 이용과 교육
3 포스트코로나의 아동권리
Chapter 6-2 유치원의 역사
01 서구: 유아교육기관의 역사
1 유치원의 계보: 프뢰벨의 킨더가르텐을 중심으로
2 유치원 운동과 진보주의 유아교육
02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의 역사와 유형
1 유아교육시설(기관)의 역사
2 유치원(유아교육기관)의 설립 배경과 유형
부 록
1 유아교육의 당면과제와 미래의 유아교육·보육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