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인생 후반기는 안녕하십니까?
전직 또는 은퇴 후 새 인생을 개척한 이들이 들려주는 리얼스토리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폭발적으로 인구를 증가시킨 베이비 부머(baby boomer) 세대는 대한민국을 세계 최빈국에서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으로 만든 역군이며, 세계가 부러워하며 닮고 싶어 하는 국가로 만든 장본인이다. 그러나 최근 경제대국 건설 역군이던 65세 이상 노령층은 빈곤과 자살이라는 비참한 현실 앞에 내몰렸다.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2018년 43.4%로, OECD 평균(14.8%)의 약 3배에 달했다. G5 국가인 미국(23.1%), 독일(10.2%), 영국(14.9%), 프랑스(4.1%), 일본(19.6%)보다 비교하기 민망할 정도로 높았다. 또한 2019년 기준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당 65세 이상 노인 자살률은 46.6명으로 OECD 평균(17.2명)을 2배 이상 뛰어넘었고, 2위인 슬로베니아(36.9명)와도 현격한 차이로 앞섰다(보건복지부 『2021 자살예방백서』).
이와 같이 우리나라 노인 문제는 급속한 경제발전만큼이나 빠르게 사회문제로 부각했다. 은퇴 후의 삶은 녹록지 않다. 일자리 부족은 빈곤으로 연결된다. 더 일하고 싶지만, 나이에 맞는 일자리가 없다. 그렇다고 넋 놓고 누가 일을 주기만을 기다릴 수는 없다. 적극적으로 찾아 나서야 한다.
저자는 은퇴 이후의 삶에 관심을 갖고 제2의 인생을 성공적으로 개척하신 분들의 이야기를 찾아 나섰다. 자신에게 맞는 일을 찾아 열정적으로 일하고 계신 분들은 생각보다 많았다. 그리고 은퇴는 아니지만 50세 전후에 전직해야 하는 절박한 상황에서 완전히 새로운 직업에 도전하여 안착하신 분들도 있었다.
은퇴 후 또는 40~50대 전직 후 새 인생 개척 사례에 관한 개인적인 실제 경험담과 그들이 살아가는 이야기를 모아 요약하여 정리해놓은 책은 없었다. 그때 저자가 번쩍 떠올리게 된 아이디어가 제2 인생 이야기 인터뷰였다. 한 분 한 분 인터뷰를 이어갈수록 직업의 이면에 숨겨진 뒷이야기와 퇴직 후 소감을 들으며 인생의 깊이와 의미를 되새겨보는 계기가 되었다. 19개 업종 종사자의 성공사례와 1개 업종 실패사례 인터뷰 자료를 확보하여 책으로 출간했다.
퇴직을 한 사람, 퇴직이 머지않은 사람 등 새 일자리를 찾고 있는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힘을 얻어 자신의 인생 제2막을 향해 힘차게 나아갈 수 있길 응원한다.
치킨 가맹점 “치킨 가게 노동, 만만하지 않아요”
귀농 3년 차 “큰돈은 못 벌어도 수확의 기쁨은 최고예요”
시내버스 운전기사 “손님들이 버스를 타면서 박카스 한 병 줄 때면 하루 피로가 확 풀리지요”
양봉 농장 “자연에 순응하면서 꿀벌이 하고 싶은 대로 두고 보조적인 역할만 하라”
1톤 개인 화물차 “남한테 구애받지 않고 내 마음대로 일할 수 있다”
개인택시 “구속이나 눈치 볼 필요 없이 자유롭다”
편의점 “프랜차이즈는 본사를 먹여살리는 기계다”
직업소개소 · 행정사 “실업률 3% 방어와 사회안전망 역할을 하지요”
공인중개사 및 시인 “아파트 단지 말고 구도심에서 작은 규모로 출발하세요”
원예치료(꽃 장식) 강사 “희망, 용기,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해주는 게 매력이에요”
도배 · 인테리어필름 사업 “절대 돈을 보고 일하지 마세요”
학교급식 배송 냉동 탑차 “소액 투자, 쉬운 노동, 여유가 매력이죠”
병원 경영지원실 원무부장 “환자가 완치되어 나가면 제가 행복해요”
한국국제협력단 해외봉사단원 “한국 유학 가서 공부하고 있다고 하면 진한 감동”
토지보상전문 행정사 “도시개발이 있는 한 토지보상은 계속된다”
탁구 강사 · 공공기관 계약직 근로자 “생각보다 시골에 일자리가 많아요”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 “나누어 줄 것이 아직 남아 있다”
마을버스회사 대표이사 “기회는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만드는 것”
대리운전기사 “자기 자신을 내려놔야 한다”
방문노인돌봄센터 시설장 “연금 재테크하지 말고 근육을 재테크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