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유방 생검의 최신 기법 진공 보조 유방 생검

유방 생검의 최신 기법 진공 보조 유방 생검 양장본

  • RENZO BRUN DEL RE
  • |
  • 가본의학
  • |
  • 2010-08-25 출간
  • |
  • 225페이지
  • |
  • 188 X 254 mm
  • |
  • ISBN 9788992006842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60,000원

즉시할인가

54,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54,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목차

1 Senologic 소견의 문서화와 상관성 Documentation and Correlation of Senologic Findings
Renzo Brun del Re
1.1 도입 Introduction
1.2 Senometry
1.2.1 준비물 Material
1.3 임상 소견 표시하기 Mapping Clinical Findings
1.4 2 cm 보다 작은 유방 병변 위치 표시하기 Mapping Mammographic Lesions Smaller than 2 cm
1.4.1 유방촬영상에 나타난 병변에 대한 위치 표시 Mapping the Lesion on the Mammogram
1.4.2 유방촬영상의 수치를 유방 위로 옮기기 Transferring the Mammographic Dimensions onto the Breast
1.5 수술 중의 senometry를 이용한 침 위치 결정법 Intraoperative Senometric Needle Localization
15
1.6 2 cm 보다 큰 유방촬영상의 유방병변의 도식화 Mapping Mammographic Lesions Larger than 2 cm
1.6.1 유방촬영상 나타난 병변 위치파악하기 Mapping the Lesion on the Mammogram
1.6.2 측정된 수치를 유방 위로 옮기기 Transferring Dimensions onto the Breast
1.7 초음파상 확인된 비 촉지성 병변 Nonpalpable Lesion Detected by Ultrasound
1.8 Senometry의 이점 Advantages of Senometry
References

2 대구경 진공보조 유방 생검과 절제 생검의 비교
Comparison of Large-Core Vacuum-Assisted Breast Biopsy and Excision Systems
Robin Wilson and Sanjay Kavia
2.1 서론 Introduction
2.2 대구경 중심 생검 시스템 : 개관 Large-Core Biopsy Systems: Overview
2.2.1 단일 대구경-중심 생검 시스템 Single Large-Core Biopsy System
2.2.2 진공-보조 유방 생검 시스템 Vacuum-Assisted Mammotomy Systems
2.3 적응과 한계 Indications and Limitations
2.3.1 한계점 Limitations
2.3.2 진단적 생검 Diagnostic Biopsy
2.3.3 치료적 절제술 Therapeutic Excision
2.3.4 이미지 유도하 생검 기술 Image-Guided Biopsy Technique
2.4 결론 Conclusions
References

3 핸드 헬드 맘모톰을 이용한 초음파 유도하 진공 보조 유방 생검술
Sonographically Guided Vacuum-Assisted Breast Biopsy Using Handheld Mammotome
Luc Steyaert, Filip Van Kerkhove, and Jan W. Casselman
3.1 서론 Introduction
3.2 장비 Equipment
3.3 기술 Technique
3.4 적응증 Indications
3.4.1 양성 의심 혹은 불확실한 결절성 병변 Probably Benign or Indeterminate Nodular Lesions
3.4.2 매우 작은 크기의 의심 병변들 Very Small Suspicious Lesions
3.4.3 국소 감쇠 부분 Areas of Localized Attenuation
3.4.4 독립된, 복합 섬유 낭종성 부분들 Isolated, Complex Fibrocystic Areas
3.4.5 유두종 Papillomas
3.4.6 군집성 미세석회화 Clusters of Microcalcifications
3.4.7 어려운 위치에 있는 병변들 Lesions in Difficult Locations
3.4.8 이전 생검 또는 FNAC 상 비 결정적인 매우 단단한 병변들
Very Hard Lesions with Inconclusive Previous Biopsy or FNAC
3.4.9 불충분한 FNAC 또는 미세생검 결과 Inadequate FNAC or Microbiopsy Results
3.4.10 양성 병변의 제거 Removal of Benign Lesions
3.4.11 논의된 적응증들 : 방사상 반흔, 큰 낭종 내 병변들
Indications Discussed: Radial Scar, Large Intracystic Lesions
3.4.12 다른 적응증들 Other Indications
3.5 중심 검체 처리하기 Processing the Cores
3.6 탐침의 굵기 Needle Size
3.7 클립 위치시키기 Clip Placement
3.8 초음파 유도 Vs 유방촬영상 유도 US Versus Mammographic Guidance
3.9 결과 Results
References

4 Vacora 생검 시스템 TheVacora Biopsy System
R. Schulz-Wendtland
4.1 도입 Introduction
4.2 기술 Technique
4.3 적응증과 금기사항 Indications and Contraindications
4.3.1 초음파 유도하 경피적 진공 생검 US-Guided Transcutaneous Vacuum Biopsy
4.3.2 정위적 진공 생검 Stereotactic Vacuum Biopsy
4.3.3 MRI 유도하 진공 생검 MRI-Guided Vacuum Biopsy
4.4 부작용 Side Effects
4.5 결과 Results
4.6 한계 Limitations
4.7 실용적인 힌트 Practical Hints
References

5 정위적 유방 생검 Available Stereotactic Systems for Breast Biopsy
Ossi R. K?hli
5.1 도입 Introduction
5.1.1 엎드린 자세 방식 Prone Position Techniques
5.1.2 수직 시스템 Upright Systems
5.2 시스템의 비용 Cost of the Systems
5.3 시술의 비용 Cost of the Procedures
References

6 MRI 유도하 최소 침습적 유방 생검 MRI-Guided Minimally Invasive Breast Procedures
Harald Marcel Bonel
6.1 도입 : MR 맘모그래피의 역할 Introduction: Role of MR Mammography
6.1.1 적응증 Indications
6.1.2 기술과 실제적인 팁 Technique and Practical Tips
6.1.3 한계 Limitations
6.2 결론 Conclusion
References

7 유관내 종양에 대한 유관내시경 Ductoscopy of Intraductal Neoplasia of the Breast
Michael H?erbein, Matthias Raubach, Y.Y. Dai, and Peter M. Schlag
7.1 도입 Introduction
7.2 유관내 유방 세포를 채취하기 위한 방법 Methods for Sampling Intraductal Breast Cells
7.2.1 유관내시경 기술 Technique of Ductoscopy
7.2.2 유관내시경 생검 Ductoscopic Biopsy
7.2.3 유두 분비물이 있는 여성에서의 유관내시경 Ductoscopy in Women with Nipple Discharge
7.2.4 유방암에서의 유관내시경 Ductoscopy in Breast Cancer
7.3 요약 Summary
References

8 최소 침습적 유방 생검 조직의 병리
Pathology of Breast Tissue Obtained in Minimally Invasive Biopsy Procedures
Gad Singer and Sylvia Stadlmann
8.1 도입 Introduction
8.2 최소 침습적 유방 생검 조직의 병리 Pathology of Breast Disease in Minimally Invasive Biopsies
8.3 양성 상피질환 Benign Epithelial Lesions
8.3.1 관주위 유방염 Periductal Mastitis
8.3.2 섬유낭종성 변화 Fibrocystic Change
8.3.3 경화성 선증 Sclerosing Adenosis
8.3.4 원주세포 병변 Columnar Cell Lesions
8.3.5 보통의 상피 증식 Usual-Type Epithelial Hyperplasia
8.3.6 소엽성 종양 Lobular Neoplasia
8.4 섬유상피성 병변 Fibroepithelial Lesions
8.4.1 섬유선종 Fibroadenoma
8.4.2 엽상 종양 Phyllodes Tumor
8.4.3 양성 유두상 병변 Benign Papillary Lesions
8.5 비침윤성 암 Malignant Noninvasive Lesions
8.6 침윤성 암 Invasive Carcinoma
8.7 유방암의 등급 결정 Grading of Breast Carcinoma
8.8 최소 침습적 생검에서의 예측 인자 Predictive Factors in MIBS
References

9 최소 침습적 유방 생검의 한계 Limitations of Minimally Invasive Breast Biopsy
Mathias K. Fehr
9.1 기술적인 실패 Technical Failures
9.2 최소 침습적 유방 생검에서 유방 병리의 과소평가
Underestimation of Breast Pathology on Minimally Invasive Breast Biopsy Specimens
References

10 유방 영상의 발전: 딜레마 혹은 진보? Advances in Breast Imaging: A Dilemma or Progress?
Daniel Fl?y, Michael W. Fuchsjaeger, Christian F. Weisman, and Thomas H. Helbich
10.1 도입 Introduction
10.2 초음파 Ultrasound
10.2.1 다면 표시 모드 Multiplanar Display Mode
10.2.2 함요 모드 영상 Niche Mode View
10.2.3 표면 모드 Surface Mode
10.2.4 투명 모드 Transparency Mode
10.2.5 정적 3차원 용적 대조영상 Static 3D Volume Contrast Imaging
10.2.6 4차원 용적 대조도영상 4D Volume Contrast Imaging
10.2.7 역전 모드 Inversion Mode
10.2.8 용적 계산 Volume Calculation
10.2.9 단층 초음파 영상 Tomographic Ultrasound Imaging
10.2.10 유리체 렌더링 Glass Body Rendering
10.2.11 강화 도플러, 색채 도플러, 그리고 고선명도 흐름
Power Doppler, Color Doppler, and High-Definition Flow
10.2.12 연장된 시야 기록 Extended View Documentation
10.2.13 결론 Conclusion
10.3 자기 공명 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10.3.1 1.5-테슬라 시스템과 Gadopentate 1.5-Tesla Systems and Gadopentetate
10.3.2 3.0-테슬라 시스템 3.0-Tesla Systems
10.3.3 고분자 조영제 Macromolecular Contrast Agents
10.3.4 종양특이 조영제 Tumor-Specific Contrast Agents
10.3.5 기능적 유방 영상 기법 (분광법, 확산강조영상)
Functional Breast Imaging Techniques (Spectroscopy, Diffusion-Weighted Imaging)
10.4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10.4.1 세포 증식과 세포자멸사의 영상 Imaging of Cellular Proliferation andApoptosis
10.4.2 수용체 영상 Receptor Imaging
10.5 광학 영상 Optical Imaging
10.5.1 헤모글로빈 영상 Imaging of Hemoglobin
10.5.2 CTLM 장치 CTLM Device
10.5.3 외인성 조영제의 광학 영상 Optical Imaging of Extrinsic Contrast Agents
10.6 Electrical Impedance Scanning
10.6.1 표적 EIS와 TransScan TS2000 Targeted EIS with TransScanTS2000
10.6.2 T-Scan 2000ED와 Screening EIS
10.7 결론 Conclusion
References

11 비용-효과 분석 Cost-Benefit Analyses
Renzo Brun del Re and Regula E. Burki
11.1 도입 Introduction
11.2 유방촬영술의 빈도 Frequency of Mammography
11.3 소환률 Recall Rate
11.3.1 선별 검사에서의 소환율 Recall Rate in Screening Programs
11.3.2 선별 프로그램 외의 소환율 Recall Rate Outside of Screening Programs
11.4 추가 검사의 분포 Distribution of Further Investigations
11.4.1 외과적 절개 생검 Open (Surgical) Biopsy
11.4.2 절개 생검의 대체 Substitution of Open Biopsies
11.4.3 다른 진단적 기법의 대체 Substitution of Other Diagnostic Procedures
11.5 경향과 시나리오 Trends and Scenarios
11.6 비용의 비교 Comparison of Costs
11.6.1 비용과 절약 Costs and Savings
11.7 의사 결정자는 바뀌었다 Decision Makers Have Changed
11.8 결론 Conclusions
References

12 최근 데이터의 체계적 검토와 메타분석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ecent Data
Renzo Brun del Re and Regula E.
12.1 최소 침습적 유방 생검의 임상적 적절성에 대한 증거
Evidence for the Clinical Relevance of Minimally Invasive Breast Biopsy
12.1.1 고문헌의 체계적 검토 Older Systematic Reviews
12.2 문헌 조사 방법 Literature Search Methods
12.2.1 수행에 대한 증거 Evidence on Performance
12.2.2 위험성과 안정성에 대한 근거 Evidence on Risks and Safety
12.2.3 데이터의 발표와 분석 Presentation and Analysis of the Data
12.3 데이터의 발표와 분석 Presentation and Analysis of the Data
12.3.1 사용된 증거 Evidence Used
12.3.2 결과 Results
12.4 MIBB의 안정성 Safety of MIBB
12.4.1 절대표준으로서의 절개생검 Open Biopsy as Gold Standard
12.4.2 14-G 중심 생검과 11-G 진공 보조 생검 14-G Core Biopsies and 11 #NAME? Vacuum-Assisted Biopsies
12.4.3 MIBB의 안정성에 대한 결론 Conclusions on the Safety of MIBB
12.5 삶의 질 Quality of Life (HRQoL)
12.6 발표된 MIBB 데이터에 대한 요약과 토론 Summary and Discussion of the MIBB Data Presented
12.7 결론 Conclusions
References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