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다른 의학 분야도 마찬가지겠지만, 내시경 분야는 특히 다양한 기기가 발명되면서 상황이 크게 변하고 있다. 강조영상을 이용한 진단법이 개발되고 또 확대내시경과 서로 연계되면서 내시경을 이용한 진단학이 한층 향상되었다. 최근에는 캡슐내시경(capsule endoscopy), 이중풍선내시경(double balloon endoscopy), 경비내시경(transnasal endoscopy) 등이 많은 의료기관에 도입되어 진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또한, 컴퓨터를 활용한 예약ㆍ회계시스템이나 전자차트에 의한 병원 내 네...
더보기
머리말
다른 의학 분야도 마찬가지겠지만, 내시경 분야는 특히 다양한 기기가 발명되면서 상황이 크게 변하고 있다. 강조영상을 이용한 진단법이 개발되고 또 확대내시경과 서로 연계되면서 내시경을 이용한 진단학이 한층 향상되었다. 최근에는 캡슐내시경(capsule endoscopy), 이중풍선내시경(double balloon endoscopy), 경비내시경(transnasal endoscopy) 등이 많은 의료기관에 도입되어 진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또한, 컴퓨터를 활용한 예약ㆍ회계시스템이나 전자차트에 의한 병원 내 네트워크도 확대되어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진화되고 있다. 그 한편에서는 진정제를 사용하는 환자 증가, 검사 후 대응, 점막하절제술 등의 복잡한 치료기술이나 노인 증가에 동반하여 많이 발생하는 합병증에
대한 대책, 긴급내시경이나 의료사고에 대한 위험관리 등 대처해야 할 새로운 과제도 많다.
이러한 새로운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내시경 분야의 최신 정보까지 이해하기 쉽게 담아 『의료인을 위한 내시경실 핵심 매뉴얼』을 발행하게 되었다. 물론 내시경실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검사 준비와 전처치, 감염대책에 가장 중요한 내시경 세척 및 소독, 계통별 질환의 해설, 내시경 기기의 원리, 내시경실에서 알아두어야 할 용어와 약어에 대해서도 수록하였다.
이 책은 특히 간호사나 의료기사 등 내시경실에 근무하는 의료 관계자들과 이제 막 내시경을 배우고자 내시경실을 출입하는 전공의 선생님들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많은 그림과 도표를 활용하여 해설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으로 새로운 기술의 원리나 첨단 치료법에 대한 자세한 사항 등 전문적인 항목도 수록하여 이미 전문적으로 내시경검사를 시행하고 있는 의사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내시경검사 빈도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므로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그 밖에 내시경실에서 근무하는 모든 의료진이 협력하여 정확하게 진단하고,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침습이 적은 치료를 제공해야 한다. 이 책이 그에 도움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