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사람은 건강을 누리며 살 권리, 즉 건강권은 인간의 기본적 권리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 헌장에 수록되어 있는 건강권은 건강해질 권리를 의미한다는 것이 아니라 정부가 모든 사람들이 가능한 건강해질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국민의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해서 해야 할 일은 보건의료서비스의 이용에서부터 건강하고 안전한 작업 및 근로조건, 적절한 주거 및 영양식품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폭이 넓습니다. 건강이 인간이 누려야 할 기본권에 대한 인식은 건강에 대한 정부의 책임과 역할을 확대하...
더보기
모든 사람은 건강을 누리며 살 권리, 즉 건강권은 인간의 기본적 권리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 헌장에 수록되어 있는 건강권은 건강해질 권리를 의미한다는 것이 아니라 정부가 모든 사람들이 가능한 건강해질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국민의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해서 해야 할 일은 보건의료서비스의 이용에서부터 건강하고 안전한 작업 및 근로조건, 적절한 주거 및 영양식품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폭이 넓습니다. 건강이 인간이 누려야 할 기본권에 대한 인식은 건강에 대한 정부의 책임과 역할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인구집단의 건강문제를 다루는 보건이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 교재는 크게 5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1부에서는 보건이 무엇인지 이해를 돕기 위하여 건강과 질병의 개념, 보건의 개념, 보건의 역사를 다루었습니다. 제2부에서는 보건에 대한 분석방법으로서 보건의 기초학문인 역학과 역학적 분석방법, 역학의 문제점과 한계에 대해 고민해 보고 보건의 측정, 보건통계 등을 다루었습니다. 특히 역학을 다루면서 고민해야 할 윤리적 문제, 범하기 쉬운 오류, 역학적 혼란상황과 윤리적인 문제 등에 대해서 함께 고민해 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제3부에서는 보건관리로서 우리나라의 보건행정, 감염성 질환 및 만성퇴행성 질환의 관리, 보건사업, 현장중심의 산업보건과 학교보건, 흡연과 음주 등의 건강위험요인 관리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습니다. 제4부 환경과 건강에서는 환경위생, 환경보존, 식품과 건강, 기생충과 건강 및 손상을 포함하였습니다. 특히 손상부분은 안전의 중요성이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는 시기에 보건학을 배우는 사람들에게 손상에 대한 기본개념에서부터 손상의 원인분석, 단계별 예방정책 제시를 통하여 실제로 응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제5부 보건의 과제에서는 미국의 9/11테러와 허리케인 참사로부터 얻는 각종 재해에 대응하는 보건분야의 활동경험을 수록하여 우리나라에서도 향후 다가올 각종 재해에 맞서 보건분야에서 대응해야 할 것들이 무엇인지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평가와 2020년까지 달성해야 할 과제를 다루었습니다. 각 부의 마지막에는 해당 부의 내용과 관련된 예상문제를 수록하였습니다.
이 교재를 통해 보건학을 쉽게 이해하고, 다양한 보건관련 분야와 보건의 새로운 이슈에 대해 현장에서의 적용과 대응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또한 보건관련 각종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에게도 도움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