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2년 바이오의약품 바이오 소재(기능성) 화장품 시장분석과 비즈니스 전략 (상)

2022년 바이오의약품 바이오 소재(기능성) 화장품 시장분석과 비즈니스 전략 (상)

  • 산업경제리서치편집부
  • |
  • 산업경제리서치
  • |
  • 2022-01-05 출간
  • |
  • 519페이지
  • |
  • A4
  • |
  • ISBN 9791185508740
판매가

440,000원

즉시할인가

396,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96,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2022년 제약바이오 시장 전망

1. 2022년 제약바이오 시대 개막
1) 코로나가 안겨준 제약바이오의 중요성
(1) 2021년 회고와 2022년 전망
(2) 첫 번째, 제약바이오 산업 투자 급증: 선순환 기대
(3) 국내 신약 파이프라인 동향
(4) 아직은 부족한 연구개발비, 어떻게 매꾸어서 신약개발을 이뤄낼까
(5) 글로벌 벤처캐피탈은 어떻게 바뀌었을까?
(6) 임상단계별 투자방식과 개발 이전의 매출확보
(7) 리오프닝: 대면영업과 비대면영업의 공존, 그리고 다시 찾는 병의원
(8) 싱가폴을 넘어서: 한국의 바이오허브 구축
(9) 국내시장을 넘어 세계 시장으로: 인수합병도 좋다
2) 제약바이오 기초 지식 : 이건 알고가자
(1) 전통제약사 과거 성장기반과 그 후
(2) 신약개발 기초
(3) 신약개발 2022년 기초 업데이트: AI 스크리닝
(4) 바이오의약품이 대세인 이유7
(5) What is 바이오의약품
(6) Why 바이오의약품
(7) 제약바이오 value chain
(8) 산업의 밸류에이션 특징
(9) 바이오 회계처리 특징
3) 2022년 제약바이오 업종 기업평가
4) 제약바이오 관련 기업 분석
(1) SK바이오팜
(2) SK바이오사이언스
(3) 보령제약
(4) 대원제약
(5) 네오이뮨텍(Reg.S)
(6) 펨토바이오메드

2. 바이오 의약품과 동반 성장할 CMO, CDMO 시장분석
1) 바이오의약품 시장 성장에 따라 CMO/CDMO 기회 증가 예상
2) mRNA 의약품의 시대
(1) mRNA 백신 탄생
(2) mRNA 생산 수요 증가는 이제 시작이다
3) 변이 등장에 따라 지속될 백신 수요
4) 바이럴 벡터, 최고의 유전자 전달체
(1) 코로나 19 로 심화된 바이럴 벡터 공급 부족
(2) 바이럴 벡터, CGT, 재조합 백신의 핵심
5) CMO에서 CDMO로 확대되는 시장
(1) CDMO 시장은 이제 시작하는 단계
(2) CGT의 50% 이상이 위탁생산
6) 글로벌 기업의 CMO/CDMO 동향
(1) Lonza, 누구보다 빠르게 움직이자 (feat. ADC, mRNA, CGT)
(2) Catalent는 CGT에 집중
(3) Wuxi Biologics, 물질부터 확보하는 전략
(4) Sartorius, 또 다른 코로나 19 의 수혜는 Single-use 시스템
7) 코로나19 이후 높아지는 K-CMO 위상
(1) 국내 CMO 역사와 향후 성장 스토리에 대한 고찰
(2)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는 Game
8) 항체의약품 CMO
(1)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CMO 수요 폭발
(2) 만성질환 환자 대상 고용량의 치료제 개발 확대로 CMO 수요 증가 전망
(3) 항체의약품 수요와 공급
9) 바이러스 벡터 CMO
(1) 유전자 치료제 개발 현황 및 생산 수요
(2) 바이러스 기반의 치료제
(3) 바이러스를 운반체로 활용한 치료제 종류
(4) 바이러스 벡터 기반의 유전자 치료제 생산 과정
(5) Roche의 Luxturna : 저용량 투약, 초희귀질환 환자 대상인 경우 부착 배양 roller bottle 용이
(6) Novartis의 Zolgensma: 고용량 투약, 초희귀질환 치료 목적으로 소규모 바이오리액터 필요
(7) BioMarin의 BMN 270: 고용량 투약, 많은 환자 수 고려 시 큰 규모의 바이오리액터 필요
(8) 바이러스 벡터 수요와 공급
10)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CMO
(1)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기반 치료제 개발 현황 및 생산 수요
(2)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플랫폼 활용 영역
(3)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치료제 종류
(4)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생산 과정
(5)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수요와 공급
11) 국내업체 분석
(1) 삼성바이오로직스
가. 연간 실적
나. 바이오의약품 성장성을 내다본 선제적 투자
다. S-Cellerate, One-Stop 서비스의 드라이버
라. mRNA 생산도 One-Stop으로!
마. S-Cellerate 를 뒷받침하는 배양 기술
바. 기업 개요
(2) 마이크로디지털
(3) 에스티팜
(4) SK 팜테코 (비상장)

3.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바이오헬스 산업의 새로운 활로와 과제 분석
1) 코로나시태 바이오헬스 산업의 환경변화
(1) 거시환경 분석
가. 정책적 측면
나. 경제적 측면
다. 사회적 측면
라. 기술적 측면
(2) 코로나19의 바이오헬스 산업 영향
가. 코로나19로 인한 국내 산업 영향
나. 코로나19의 글로벌 제약산업 영향
다. 코로나19로 인한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영향
라. 코로나19의 의료기기 산업 영향
마. 코로나19의 화장품 산업 영향
바. 의료 해외진출 및 외국인환자 유치 관련 사업 동향 및 정책 현황
사. 포스트 코로나, 디지털 헬스케어와 지속가능한 미래 의료
(3) 수출ㆍ통상 및 정책 동향
가. 국내 바이오헬스 수출 동향
나. 코로나19 이후 바이오헬스 신성장 수출 동력
다. 수출 동향 및 통상 정책 모니터링 강화 필요
라. 코로나19 관련 무역변화 및 주요 통상 쟁점
마. 포스트 코로나, 위드 코로나를 대비하는 R&D 정책
바. 의료기기 수출ㆍ통상 및 정책 동향
사. 화장품산업 수출·통상 및 정책 동향
(4) 포스트코로나 시대 바이오헬스 R&D 전망
(5) 바이오헬스 산업에 대한 국민 인식변화와 향후 과제
가. 바이오헬스 산업 대국민 인식조사의 의의
나. 바이오헬스 산업에 대한 인식
다. 첨단 의료기술에 대한 경험과 인식
라. 코로나19가 바이오헬스 산업에 미친 영향
마.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과제
바. 향후 과제
2) 포스트코로나 시대, 바이오헬스 산업의 새로운 방향
(1) 제약바이오 산업의 미래 전망
가. 원격의료
나. 임상시험과 공장 실사, 기술수출을 위한 가상(Virtual) 공간
(2) 의료기기 산업 전망
(3) 화장품 산업의 미래 전망
가. 코로나19 시대의 화장품 산업의 변화
나. 연구개발의 영향(방향)
다. 글로벌 경쟁력 강화
라. 화장품 산업의 미래 전망
(4) 국제 의료사업에 대한 영향과 전망
가.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의료환경 변화
나. 포스트코로나 시대 국제의료사업의 전망
다. 국제의료사업의 미래를 위한 제언
(5) 제약바이오산업 정책 과제
가. 산업정책의 개념과 제약바이오산업의 특징
나. 그간 제약바이오산업의 정책과 영향
다. 그간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수준의 산업 발전은 여전히 숙제
라.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제약바이오산업의 정책과제
(6) 국내 의료기기산업 생태계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과제
가. ‘K-방역모델’ 성과와 의료기기 산업의 과제
나. 국산 의료기기 사용실태와 극복방안
다. 공공시장에서 국산 의료기기 확대를 위한 노력
라. 병원-기업 협력사례와 발전 방안
마. 저평가된 국산 의료기기에 대한 재평가 필요
바. 결론 : 선순환 생태계를 위한 정책 제언
(7) 화장품 산업 정책과제
(8)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헬스케어 비전
가. 디지털 기술이 만드는 의료의 혁신
나. 포스트코로나 뉴노멀 : 비대면 헬스케어 비즈니스의 새로운 기회
다. 포스트 코로나 : 디지털헬스케어 생태계 진화의 중요성
(9) 외국인환자유치 재도약을 위한 시점
가. 우리나라 의료관광의 성장과 코로나19 팬데믹
나. 주요 의료관광 국가들의 코로나19 발생 이후 위기대응 정책
다. 외국인환자 유치 재도약을 위한 제언
3) 글로벌 바이오헬스 전망 및 주요국 정책 분석
(1) 글로벌 기관의 포스트코로나 시대 바이오헬스 전망
가. 개요
나. 바이오헬스 산업별 전망
ⓐ 의료서비스
ⓑ 제약산업
ⓒ 의료기기 산업
다. 시사점
(2) 주요국 바이오헬스 산업 정책변화 분석
가. 주요국의 바이오헬스 산업 정책 개요
나. 코로나19로 인한 바이오헬스 산업의 환경 및 구조의 변화
다. 미국의 코로나19에 관련된 주요 정책 대응
라. EU의 코로나19에 관련된 주요 정책 대응
마. 영국의 코로나19에 관련된 주요 정책 대응
바. 일본의 코로나19에 관련된 주요 정책대응
사. 바이오헬스 산업의 향후 전망 및 정책방향

Ⅱ. 국내외 바이오 산업과 바이오 의약품 관련 핵심 소재/부품/장비/시스템 시장분석

1. 바이오 산업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해외시장
가. 해외시장 동향 및 전망
나. 해외업체 동향
(2) 국내시장
가. 국내시장 동향 및 전망
나. 국내 생태계 현황
다. 국내업체 동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해외 기술
가. 바이오메디컬
나. 바이오화학
다. 바이오 서비스
(2) 국내 기술
가. 바이오산업
나. 바이오메디컬
다. 재생의료
라. 바이오화학
마. 바이오 서비스
3) 국내외 정책 분석
(1) 해외 정책
(2) 국내 정책
가. 바이오산업 혁신전략
나. 코로나 19 바이러스 관련 지원 정책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연구개발 추진전략
(2) 국내 전략 제품

2. 바이오의약품 생산 정제 공정 시스템 및 부품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분석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국내 핵심기술
(3) 국내 기술개발 중기 종합 계획안

3. 바이오의약품 생산 품질 분석 시스템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분석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국내 핵심기술
(3) 국내 기술개발 중기 종합 계획안

4. 바이오의약품 생산 품질관리 시스템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 개발 전략
(1)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국내 핵심기술
(3) 국내 기술개발 중기 종합 계획안

5. 바이오의약품 생산 배양 시스템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국내 핵심기술
(3) 국내 기술개발 중기 종합 계획안

6. 바이오의약품생산 제품분석용 소모품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분석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국내 핵심기술
(3) 국내 기술개발 중기 종합 계획안

7. 바이오의약품 생산 배양 공정관리 시스템 및 부품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2)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국내 핵심기술
(3) 국내 기술개발 중기 종합 계획안

8. 바이오 의약품 생산용 배지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분석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국내 핵심기술
(3) 국내 기술개발 중기 종합 계획안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