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성경적 교회복지학

성경적 교회복지학

  • 조복희
  • |
  • 아이네오
  • |
  • 2021-12-10 출간
  • |
  • 639페이지
  • |
  • 180 X 255 mm
  • |
  • ISBN 9791185637396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교회가 세상을 걱정하기보다 세상이 교회를 걱정하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목회자로서 그 책임감으로부터 자유로울 분들이 얼마나 있을까요?
교회를 향해 비난의 도를 넘어 대적하는 사람들에게 맘속으로 자신이 목회자임을 부끄럽게 여기며 그들에게 대신 사과라도 해야 하는 현실을 우리는 어떻게 해석하고 진단하며 대처해야 할까요?
목회비전을 성취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왔어도 그것을 포기하고, 주어진 환경 속에서 자족하며, 오직 사랑하는 양떼들을 돌보는 목회자가 과연 얼마나 될까요?

교회 신앙의 본질은 하나님 사랑과 이웃사랑이 동일선상에 있습니다.
이 사상은 교회가 이 땅에 존재하는 날까지 버릴 수 없는 명제일 것입니다.

한국 교회는 짧은 선교의 역사에 비해 놀랄만한 성장을 하였고 지난 1세기동안 교회자체의 성장은 물론 한국 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선교 초기의 한국 교회는 민족의 고통과 수난의 역사에 함께 동참해 오면서 복음증거의 교회적 사명을 잘 감당해 왔고, 한국교회는 교육과 의료사업을 중심으로 사회에 봉사하는 역할을 활발하게 전개해 왔었습니다.

한국 사회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훌륭히 감당했던 한국 교회는 오늘날 초기의 한국 교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인적, 물적 자원들을 소유하게 되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에서 교회의 본질적 사명인 사회에 대한 봉사를 소홀히 하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사회로부터 멀어져 가는 하나의 종교집단으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기독교의 역사를 돌아보면 복음이 한국에 들어 온지 20여년이 지난 1919년에 한국교회는 독립을 외치는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고, 일본의 잔학하고 음험한 손길에 의해 모두가 포기해 갈 때 한국교회만은 나라의 운명을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교회가 한국을 이끌 수 있었던 것은 단지 1919년 3.1독립운동에서 시작된 것만은 아닙니다.
예를 들면 1900년 우리나라에는 교회가 840개 있었는데 그 중에서 20개 정도가 부분적으로 선교사의 보조를 받고 있었을 뿐, 그 외에는 모두가 스스로의 힘과 노력에 의해 세워진 교회였습니다.

이러한 교회가 1897년 인도에 참혹한 기근으로 아사가 겹칠 때, 당시 우리나라 돈으로 56원 84전을 선교기금으로 보낸 일이 있었습니다.
그 당시 한국 또한 대단히 어려웠던 때인지라 이만한 액수를 모금 한다는 것은 대단히 놀라운 액수가 아닐 수 없습니다.
현금이 없는 여인들은 금가락지를 뽑아 보냈다고 합니다.

저자는 본서를 통하여
사회복지 정신이 성경 속에 어떤 형태로 나타났는지를 살펴보고, 어떻게 발전되어왔으며, 교회의 사회복지 정신이 한국 교회 사회복지실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연구 분석하였습니다.
즉, 교회가 사회복지의 모체임을 밝혀내고 교회 사회복지의 역사적 근거들을 성경을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오늘날의 교회 사회복지실천의 토대가 되었음을 알리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교회의 사회복지 실천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교회적 관점에서 바른 이해가 없으면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온 사회복지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습니다.

‘교회 사회복지’(Church Social Work)에 대한 연구는 어제나 오늘이나 동일하신 창조주 하나님 사역의 시작이며 끝입니다.
‘요람에서 무덤까지’의 인간의 삶을 주관하시고 간섭하시는 하시는 하나님은 에덴동산을 창조하셨으며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을 예비하셨습니다.
이와 같이 좋으신 하나님은 최상의 복지나라 건설을 통해 인간의 안녕과 행복에 관심을 기울이셨습니다.
그 맥락에서 볼 때 교회 사회복지는 오늘날 시대에 가장 필요하고도 중요한 학문 중에 하나이며 실천신학의 한 분야입니다.

한국교회 사회복지는 모든사람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의 표현입니다.
요한복음 10장 16절에서‘또 이 우리에 들지 아니한 다른 양들이 내게 있어 내가 인도하여야 할터이니 그들도 내 음성을 듣고 한 무리가 되어 한 목자에게 있으리라’우리에 들지 않은 다른 양이란 교회 밖 즉 세상으로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표출해 내고 있습니다.

하나님 앞에서는 어느 누구도 가치 없는 사람은 단 한명도 없습니다.
교회사회복지는 일회성이나 단회적이 되어서는 안 되며 이웃을 향한 관심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실천해야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한국교회 사회복지는 성경에서 보여준 사회복지정신을 실천 계승시켜 나가야 하며 확산시켜 나가야 할 것입니다.

하1나님은 사랑이십니다.
교회는 그 사랑을 가지고 지역을 섬겨야 합니다.
세상의 빛과 소금인 우리들이 빛을 내고 맛을 내며 살아갈 때 거룩한 하나님의 교회는 든든히 서 갈 것입니다.
저자는 ‘그 작은 자가 천을 이루겠고 그 약한 자가 강국을 이룰 것이라’(사 60:22)고 하는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 하나님의 나라 확장에 한일의 밀알이 되고자 하며 목회 현장은 하나님의 나라로 회복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아이네오 출판사
대표 나상만 목사

**
[저자 서문]

예수 그리스도의 관심과 명령
그 실천을 위하여

기독교 신앙은 부활신앙과 재림신앙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마태복음 25장 31-40절 말씀에서 이웃을 섬기는 삶을 통하여 하나님을 섬기는 삶과 이웃을 무시하여 심판 받는 반대의 상황을 말씀하고 계십니다.
한국교회의 많은 목사님들이 이 말씀에 대하여 고민하고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승천하시며 명령하신 말씀은 ‘전도하라’(가르쳐 지키게 하라)는 말씀입니다.
그렇지만, 마태복음 25장에서 재림하실 때 임금의 보좌에 앉으신 자리에서의 심판 기준은 ‘소외된 사람을 돌본 것’ 즉, ‘복지 실천’을 기준으로 말씀하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어찌 보면 말씀에 모순이 있는 것 같지만 전도의 과정에서 반드시 하나님의 사랑을 전할 것을 말씀하시고 계시는 것입니다.
하나님께 있어 가장 귀한 ‘이웃’ 즉, 불쌍한 사람들에게 ‘다가서라’는 명령입니다.
마태복음 22장 36절 이하에 보면 한 율법사가 예수님께 묻습니다.
“선생님! 율법 중에서 어느 계명이 크니이까?”(36절)

이 때 예수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하셨으니 이것이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이요, 둘째도 그와 같으니 네 이웃을 네 자신 같이 사랑하라 하셨으니 이 두 계명이 온 율법과 선지자의 강령이니라”(37-40절)

이에 필자는 ‘인생은 마차를 끌고 가는 수레바퀴’라고 말합니다.
‘하나님 사랑’이라는 수레바퀴와 ‘이웃 사랑’의 수레바퀴를 타고 가는 마차라는 것입니다.
이 두 수레바퀴는 그 크기가 같아야 하고, 그 무게가 똑같아야 합니다.
만약 어느 한쪽으로 기울게 된다면 인생의 이 마차는 기울어지게 되고, 넘어져 목적하는바 천국에 들어가지 못하게 됩니다.

그런데 우리는 나란히 가는 수레바퀴가 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나님 사랑’에 관해서는 혼신의 열정을 쏟으면서도 ‘이웃 사랑’에 대해서는 너무나도 무관심하다는 사실입니다.
많은 성도들이 한없는 눈물의 회개로 놀라운 성령의 체험을 하고, 변화된 후 새롭게 살고자 다짐했지만, 그들이 하나님의 사랑을 깨달은 이후 마치 자동차는 준비하였으나 기름은 준비하지 못한 사람들처럼 변화에 대한 감사를 실행하지 못함으로 굴절된 신앙생활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특히 필자가 만난 수많은 목사님들과 대화를 해보면 하나같이 마음으로는 사회복지에 대하여 비상한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말하면서도, 고통당하는 사람들 즉, 고아ㆍ장애인ㆍ과부ㆍ노인들을 위해 살겠노라고 다짐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행동으로 실천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성경은 결코 ‘하나님 사랑’만을 주장하고 있지 않습니다.
성경은 ‘하나님 사랑’과 함께 ‘이웃 사랑’을 우리에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누가복음 3장 7절 이하에서 세례 요한은 ‘죄 사함을 얻게 하는 회개의 세례’를 전파하면서 무리들에게 “독사의 자식들아! 회개하라!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지 못하면 찍어서 불태운다!”고 부르짖었습니다.
이에 “그러면 우리들이 무엇을 하리이까?”라고 묻는 무리들에게 세례 요한은 회개의 열매로 “옷 두 벌 있는 자는 옷 없는 자에게 주고, 먹을 것이 있는 자도 그렇게 할 것이니라.”고 했습니다.

예수님께서도 누가복음 4장 17절 이하에서 이사야 61장의 말씀을 인용하여 “가난한 자에게 복음을 전하게 하시려고 내게 기름을 부으시고 나를 보내사 포로 된 자에게 자유를, 눈 먼 자에게 다시 보게 함을 전파하며 눌린 자를 자유롭게 하고 주의 은혜의 해를 전파하게 하려 하심이라.”(18-19절)고 말씀하셨습니다.

믿음의 성장 과정에 대해서도 성경은 이사야 58장 6절 이하의 말씀에서 “…흉악의 결박을 풀어 주며 멍에의 줄을 끌러 주며 압제 당하는 자를 자유하게 하며 모든 멍에를 꺾는 것이 아니겠느냐? 또 주린 자에게 네 양식을 나누어 주며 유리하는 빈민을 집에 들이며 헐벗은 자를 보면 입히며 또 네 골육을 피하여 스스로 숨지 아니하는 것이 아니겠느냐?”(6-7절)고 증거합니다.

천국 인생과 지옥 인생을 나누는 기준에 대해서도 예수님은 마태복음 25장 31절 이하의 말씀에서 ‘주릴 때에 너희가 먹을 것을 주었고, 목마를 때에 마시게 하였고, 나그네 되었을 때에 영접하였고, 헐벗었을 때에 옷을 입혔고, 병들었을 때에 돌아보았고, 옥에 갇혔을 때에 와서 돌아 본 사람들’과 ‘내가 주릴 때에 너희가 먹을 것을 주지 아니하였고, 목마를 때에 마시게 하지 아니하였고, 나그네 되었을 때에 영접하지 아니하였고, 헐벗었을 때에 옷 입히지 아니하였고, 병들었을 때와 옥에 갇혔을 때에 돌아보지 아니한 사람들’로 구분하시고, “그들은 영벌에, 의인들은 영생에 들어가리라 하시니라.”(46절)고 하셨습니다.

이처럼 성경은 회개ㆍ성화ㆍ천국을 이야기할 때 반드시 ‘복지활동’이라고 하는 ‘행위’로 연결시키고 있습니다.
‘교회복지’ 활동은 필수적인 하나님의 지상명령입니다.
‘교회복지’ 활동은 우리가 해도 되고,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믿음과 같이 실천해야 하는 우리의 사명인 것입니다.

우리 모두는 지금 천국 가는 마차를 타고 있습니다.
마차의 한 바퀴는 ‘하나님 사랑’이라는 바퀴요, 또 한 바퀴는 ‘이웃 사랑’이라는 바퀴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현재 나의 신앙상태를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지는 않습니까?
만약 한쪽 바퀴가 적다면 내가 탄 마차는 제자리만 맴돌게 될 것입니다.
이 같은 신앙으로는 절대로 믿음에서 믿음에 이르게 할 수 없습니다.

이웃 사랑 운동은 하나님의 시대적 요청입니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의 사명입니다.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은 그리스도인들이 펼쳐야 하는 ‘제3의 성령운동’입니다.
‘제3의 성령운동’은 ‘하나님 사랑’과 함께 이제까지 구호적이거나 형식적이거나 일부 사람에 의해서만 이루어져 온 ‘이웃 사랑’을 우리 모두가 예수님의 방법으로 실천하는 행동 운동입니다.

이제 저는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이라고 하는 ‘제3의 성령운동’의 활성화를 위하여『성경적 교회복지학』을 교회 앞에 내어놓습니다.
본서에는『복지관』을 운영하는 경험과 대학에서 발표한 박사학위 논문인『백암중앙교회를 중심으로 한 사회봉사를 통한 교회성장에 대한 연구』에 대한 신학적 마인드를 가지고 이웃 사랑의 실천방법을 위한 필자의 노력이 담겨져 있습니다.

① 이웃 사랑은 돌보는 것(Caring)입니다.
사랑하면 돌보며 가꾸어 가야 합니다.

② 이웃 사랑은 주는 것(Giving)입니다.
정말 사랑하면 뭔가 자꾸 주고 싶어집니다.

③ 이웃 사랑은 경작하는 것(Cultivate)입니다.
사랑하면 잘 자라도록 물주고 비료 주고 벌레도 잡아주어야 합니다.
한 번만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하는 것입니다.

④ 이웃 사랑은 지식을 쌓아 가는 것(Knowledge)입니다.
내가 사랑하고 섬기려는 대상에 대해 끊임없이 그리고 깊이 연구하여 상대의 필요를 진정으로 채워주어야 합니다.

⑤ 이웃 사랑은 존경하는 것(Respect)입니다.
존경이 없으면 사랑이 금방 식어집니다.
사랑한다면 가까운 사람일수록 존중하는 언어와 마음을 갖고 대해야 합니다.

⑥ 이웃 사랑은 책임(Responsibility)입니다.
책임 없고 책임지지 않는 사랑은 거짓입니다.
사랑하면 책임이 따라야 하고, 책임이 함께 있어야 합니다.

⑦ 이웃 사랑은 이해하는 것(Understanding)입니다.
이해는 그의 발아래에서 그를 바라보며 섬기는 것입니다.
말로는 사랑한다고 하면서 상대를 이해하지 않는다면 그 사랑은 오래지 않아 시끄럽고 힘들어집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서로 사랑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사랑은 피상적인 것이 아닙니다.
우리의 손을 펴서 나누고 깊은 마음의 사랑으로 형제를 부둥켜안는 ‘실천적인 사랑’입니다.

이제 한국교회는 ‘나눔’과 ‘섬김’으로 ‘개혁’(Reforming)되어야 합니다.
날마다 새롭게 개혁시키되 ‘진행형’(ing)이 되어야만 합니다.
디아코니아(Diakonia)의 깊은 마인드를 가지고 사랑을 실천하지 않으면 실체는 없고 무늬만 있는 무의미한 개인과 교회가 될 것입니다.

디아코니아는 느끼고ㆍ보고ㆍ듣고ㆍ생각한 것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행동하는 사랑입니다.
이 사랑은 우리가 해도 되고, 하지 않아도 되는 ‘선택의 사랑’이 아닙니다.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의무적 사랑’인 것입니다.

아무쪼록 이 사명을 감당할 선지 생도들에게는『성경적 교회복지』라는 용어가 회자되고, 하나님을 가르치는 신학교에서도『성경적 교회복지학』에 관심을 갖는 자가 많이 생겨나며, 무엇보다 세계 모든 신학교는 마지막 재림 예수께서 사랑 실천 여부를 확인하는 중차대한『성경적 교회복지』가 모든 신학 이론 가운데서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어 행동하는 사랑의 주체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추천사]

교육에 대한 열정! 복지에 대한 사명!
좌면우고(左眄右顧) 하지 않는 목회자

신 동 권 목사
용인중앙교회 담임목사
온석대학원대학교 교수
코헨대학교 신학박사
온석대학원대학교 Ph.d

하나님의 은혜가 참으로 놀랍습니다.

40년 전 아무런 연고도 없는 용인의 동쪽 귀퉁이 백암에서 교회를 설립하신 후 한결같은 길을 걸어오신 조복희 목사님의 박사학위 논문 『사회봉사를 통한 교회성장에 대한 연구』(백암중앙교회를 중심으로)를 바탕으로 한 『성경적 교회복지학』의 출판을 축하하면서 추천의 글을 드립니다.

오늘이 있기까지 목사님은 가난한 시절 맨주먹을 쥐고, 맨땅에 헤딩하다시피 교회를 개척하여 좌면우고(左眄右顧)하지 않고 주님만을 바라보며 목회현장을 지켜 오신 분이십니다.
목사님과의 만남을 돌이켜 보면 정말 만감이 교차하고 한편으로는 감개무량한 감정이 주마등처럼 저의 뇌리를 두드립니다.

30년이면 강산도 3번이나 변한다는데 서로가 가난하고 외로운 사명자의 길을 함께 의지하며 달려 온 것은 오직 하나님의 은혜요 축복이었음을 고백하면서 목사님의 학문적 결실을 이루게 되어 떨리는 마음으로 하나님께 영광과 감사를 드립니다.
목사님을 생각할 때마다 떠오르는 것은 작지만 크고 강한 목회자입니다.
목사님은 출석 교인 100여 명 남짓한 작은 농촌교회를 섬기는 목회자이지만 낙스 신학교에서 『사회봉사를 통한 교회 성장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이러한 학문적 바탕아래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지역교회를 만들기 위한 분명한 비전을 가지고 백암중앙교회를 섬겨 오셨습니다.

목사님은 『용기총』(용인기독교총연합회) 회장으로서 『용인기독교회사』를 출판하여 한국교회 앞에 발표하는 등 왕성한 대내외 활동을 하셨으며, 시청 공무원이나 경찰 공무원들의 신앙생활 활성화를 위해서 시목·경목을 맡아 봉사하는 일에 주저하지 않으셨습니다.
이밖에도 총신대학교 이사, 대한예수교장로회 경성노회장 등을 역임한 바 있고,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실행위원으로 봉사하기도 하셨습니다.

농촌교회로서는 결코 쉽지 않은 교회 복지관과 묘지 공간 확보, 일반 성가대 외에 오카리나 선교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교회 재정규모에 비해 많은 해외 선교지원을 하고 있는 것을 볼 때, 작지만 크고 강한 목회자라 아니할 수 없습니다.

목사님의 원만하신 성품!
성도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목회활동!
소외계층을 먼저 배려하는 생활 습관 등은 성도들이 목사님을 잘 따르는 이유라는 생각이 듭니다.

‘행복한 가정 즐거운 교회생활’은 목사님의 모토(motto)였습니다.
물고기가 물을 떠나서 살 수 없는 것처럼 믿음생활도 가정을 떠나서 영위할 수 없다는 것이지요.

그래서였을까요?
목사님은 어린이는 국가의 미래는 물론 교회의 앞날을 전망하는 데 중요한 척도가 된다는 믿음으로 어린이 선교원을 설립하여 지역 어린이들에게 자연학습을 통해서 정서적인 감각을 익히고 창의력과 판단력, 표현력 함양을 통해서 으뜸이 되는 어린이로 자라도록 기획ㆍ운영하였습니다.
출석 교인 수나 교회 재정규모를 감안해 볼 때 지역주민과 더불어 살아가는 교회를 만들기 위해 복지관을 설립하고, 경로대학을 운영하였다는 사실은 시골교회로서는 정말 어려운 일이었지만 목사님의 교육에 대한 열정과 복지에 대한 사명이 어떠한가를 보여주고 있음을 봅니다.

저는 목사님으로부터 ‘새 성전을 건축할 때, 복지관을 마련할 때를 비롯하여 말 못할 어려움과 고비를 당할 때마다 간절히 기도하고 노력하였더니 하나님은 우리의 소원을 들어주셨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저 또한 이러한 삶을 숱하게 체험하며 살아왔기에 오늘 목사님의 책 『성경적 교회복지학』을 목사님의 삶의 열매로 생각하며 이 글을 읽는 성도들이 어려움과 시련을 당할 때 두려워하지 말고, 오직 하나님께 매달리며 기도하고, 무엇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일인가를 생각하기를 바랍니다.

이 책은 앞으로 우리 교회 부흥과 성장에 밑거름이 될 것으로 확신하며, 또한 그렇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나님이 역사해 주시기를 기도합니다.
이 책을 접하는 사람들에게 믿음의 양식이 되었으면 더더욱 좋겠습니다.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과 축복이 이 책을 접하는 모든 이들에게 함께 하시기를 축원합니다.


목차


■ 프롤로그
성경적 교회복지를 위하여 | 4
오늘날 많은 교회와 전도자들은 “요즘 사람들은 장터 아이들처럼 피리를 불어도 춤추지 아니하고, 곡을 하여도 애통해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왜 그렇습니까?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그렇게도 많은 사람들이 주 예수를 믿으라 외치건만, 십자가 탑이 방방곡곡 하늘을 찌르건만, 왜 그들은 냉담하고 있습니까?

■ 서문
예수 그리스도의 관심과 명령 그 실천을 위하여 | 9
마태복음 22장 36절 이하에 보면 한 율법사가 예수님께 묻습니다.
“선생님이여 율법 중에 어느 계명이 크니이까?”
이 때 예수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
님을 사랑하라 하셨으니 이것이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이요,
둘째는 그와 같으니 네 이웃을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하셨으니 이 두 계명이 온 율법과 선지자의 강령이니라”
이에 필자는
‘인생은 마차를 끌고 가는 수레바퀴’라 말합니다.
‘하나님 사랑’이라는 수레바퀴와
‘이웃 사랑’이라고 하는 수레바퀴를
타고 가는 마차라는 것입니다.

■ 저자소개 | 13

■ 추천사 | 교육에 대한 열정! 복지에 대한 사명란?| 14

■ 제목해설 | 성경적 교회복지학이란?| 17
신학을 전공으로 삼지 않는다 하여도 사람이라면
누구나 신학에 대해 어느 정도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신학이란 무엇인가?”, “신학은 과연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신학은 어디에서 시작된 것인가?”
결코 쉽지 않은 질문들입니다. 그러나 사람이 인생을 알기 이전에,
인생의 장에 던져져 그 의미를 찾아가듯이 사람이라면 전문가(신자)이든,
비전문가(불신자)이든 신학의 의미를 찾아가야 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교회복지 신학이란 무엇입니까?
우리는 ‘교회복지 신학’을 논하기 전 ‘학문이란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다시 말해 “교회복지 신학에도 학문성이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학문이 되기 위한 필수적 조건은 ‘학문의 대상’이 있어야 하고, ‘학문의 방법론’이 있어야 하며,
‘학문의 주체’가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면에서 교회복지 신학은 의심의 여지없이 대상과 방법을 소유하고 있는 학문입니다.
교회복지 신학의 주체가 하나님에 대해 알고자 하는 인간의 노력이기 때문입니다.

■ 제1부| 교회 ? 敎會 ? CHURCH | 43
돌아보기와 둘러보기 | 44

제1장 교회(敎會)와 종교(宗敎) | 46
교회와 종교 | 49
종교의 본질 | 54

제2장 교회와 성경 | 66
성경과 일반 종교의 경전(經典) | 66
인적 교리성(人的 敎理性)의 경전 | 67
신적 교리성(神的 敎理性)의 경전 | 69
성경의 특징 | 71
성경의 해석 | 74

제3장 교회와 예배 | 79
예배란 무엇인가? | 81
예배의 본질 | 89
예배의 순서 | 95
예안식일과 주일 | 104

제4장 교회와 교육 | 116
인간과 교육 | 117
교육의 내용 | 117
인간의 참 행복 | 119
교육의 나아갈 길! | 122
기독교 교육 | 125
기독교 교육의 커리큘럼 | 142

제5장 교회복지 관점에서 본 신인(神人)교회론 | 145
교회의 역사적 유래와 형태에 대하여 | 147
역사적인 교회관에 대하여 | 151
성경에 나타난 교회의 어의 | 153
교회의 본질 | 167
교회의 조직 | 172

■ 제2부| 복지 ? 福祉 ? WELFARE | 195
돌아보기와 둘러보기 | 196

제1장 하나님의 창조사건에 나타난 복지사상 | 198
안식일법(제도)에 나타난 복지사상 | 205
결혼법(제도)에 나타난 복지사상 | 212
노동법(제도)에 나타난 복지사상 | 217

제2장 계약법전과 성결법전, 신명기법전에 나타난 복지사상 | 222
계약법전에 나타난 복지사상 | 223
성결법전에 나타난 복지사상 | 233
신명기법전에 나타난 복지사상|238

제3장 예언서에 나타난 복지사상 | 251

제4장 성문서에 나타난 복지사상 | 261
현자의 빈자에 대한 복지사상 | 261
지혜 문학에 나타난 복지사상 | 262

제5장 예수 그리스도의 복지사상 | 269
1. 복지의 모형으로서 하나님 나라 | 273
2. 소외계층에 대한 예수의 관심과 명령 | 294

제6장 산상수훈에 나타난 복지사상 | 322
1. 산상수훈의 배경에 나타난 복지사상 | 323
2. 산상수훈에 나타난 복지사상 | 326
3. 새 계명 | 354

총정리 | 395
1. 하나님에 대한 분명한 인식 | 364
2. 하나님의 은혜를 근거로 한 청지기 인식 | 365
3. 예수 그리스도의 삶을 유일한 방법으로 인식 | 354

■ 제3부| 교회성장 ? 敎會成長 ? GROWTH OF CHURCH | 381
돌아보기와 둘러보기 | 382

제1장 교회성장에 대한 이해 | 384
교회성장이란? | 385
교회성장의 필연성과 정당성, 그리고 당위성 | 389
교회성장의 방법 | 394

제2장 성경 속의 교회성장 | 398
교회성장의 성경적 배경 | 400
초대교회에 나타난 교회성장 | 404

제3장 교회성장과 행정 | 411
일반 행정과 경영 | 412
교회성장과 행정 | 414
교회 행정의 요청 | 416
성경에 나타난 교회 행정 | 417
교회 행정의 원동력 | 421
교회 행정의 세 가지 요소 | 424
성경적 교회 행정 실무자가 되라! | 426

제4장 교회성장과 행정의 실제 | 433
교회 행정 법규 | 435
교회 행정 조직의 실제 | 438
교회 행정과 회의 진행 | 441
회의의 원칙 | 442
회의의 성격과 기능 | 443
회의에 임하는 사회자와 회원의 태도 | 444

제5장 이제 모든 인간은 하나님께 돌아오라 | 446
1.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인간 | 448
2.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지음 받은 인간 | 452
3. 청지기로 지음 받은 역사적 존재로서의 인간 | 454
4. 더불어 살아가도록 지음 받은 인간 | 459
5. 하나님께로 돌아오라 | 463

제6장 인류 구원을 위한 뉴 프로젝트 | 472
주의 이름을 부르게 하자! | 472
우리 안의 양과 우리 밖의 양(Outside Sheep and Inside Sheep) | 481
개인예배수첩(Individual Worship Booklet) | 498

■ 제4부| 박사학위논문 ? 사회봉사를 통한 교회성장에 대한 연구 | 503

제1장 서론 504
제1절 문제제기 504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505

제2장 사회봉사에 대한 성경적 근거 507
제1절 구약에서의 사회봉사 507
제2절 신약에서의 사회봉사 520

제3장 교회의 사회봉사에 대한 신학적 근거 527
제1절 지역사회의 봉사의 책임을 진 교회 527
제2절 교회의 관점에서 바라본 지역사회 548

제4장 지역사회 봉사의 역사적 근거 556
제1절 사회봉사에 대한 역사적 이해 556
제2절 초대교회 시대 562
제3절 중세 시대 564
제4절 근세 시대 564
제5절 현대교회와 사회봉사 566
제6절 한국교회와 사회봉사 567

제5장 지역사회에 대한 선교전략 방안 572
제1절 지역사회에서의 선교의 목적 572
제2절 경기도 용인시의 지역사회 이해 592
제3절 지역사회에 대한 구체적인 봉사 사역방안 611

제6장 결론 630

참고도서 633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