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교재는 2020. 11. 27. 공개된 PSAT 7급 모의평가 문제와 2021년 최초 실시된 7급 1차 PSAT 기출문제를 기준으로 문제의 유형을 분류하고, 2021년 기출문제 및 모의평가 문제를 [기본문제 및 유제]로 배치한 뒤, 5급 PSAT, 민간경력자 PSAT, LEET 기출문제에서 유사한 유형의 문제를 [연습문제]로 추가하여 구성하였습니다.
특히 [기본문제 및 유제]는 상세한 해설에 더해 해당 유형 풀이의 로드맵을 제시하고 공부방법과 함께 이해하고 숙지하면 문제풀이에 도움이 되는 관련 이론과 TIP도 정리하여 두었으므로 기본문제 및 유제풀이에 시간을 투입하여 자신의 것으로 완전히 체화한 뒤에 연습문제로 실력을 다져가셔야 합니다.
본 교재는 기본 단계의 문제들로 기출문제 중 난이도가 낮은 문제들을 연습문제로 수록하였고, 문제마다 적정 풀이시간도 기재해 두었으므로, 처음 문제를 풀이할 때 시간을 재서 푼 뒤 이를 기재해서 비교해보시기를 바랍니다.
지식의 암기를 요하지 않고 풀이 순간의 사고력과 문제해결능력이 중요한 PSAT 시험의 특성상 최초 문제를 풀이한 뒤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 다시 그 문제를 풀게 되더라도 새로운 문제로 보이게 될 것이므로,
2회 차 풀이 시 다시 시간을 재어서 적정 풀이시간과 기재해 둔 최초 풀이시간을 비교해보신다면 실제로 새로운 문제를 해석하고 풀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하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를 위해 [기본문제 및 유제]에는 최대한 시간을 들여 이해하고 체화하는 연습을 하시고 [연습문제]는 문제에 교재에 아무런 표시 없이(연습장 등 활용) 시간을 재어 1회를 풀어보시고 시간을 기재해 둔 뒤 일정 시간 뒤에 다시 풀어보시는 방법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각 유형마다 본인이 좀 더 강점이 있는 영역과 약한 영역을 학습을 통해 확인해보시고, 해당 영역을 강화하기 위한 훈련을 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영역 강화를 위해서는 기본문제와 해설, 강의를 백분 활용하시고, 단순 반복하는 문제풀이 보다는 문제를 구조화하여 풀어나가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
결국 PSAT 문제는 형식적인 분류가 있다고는 하더라도 최종적으로는 정보를 파악하여 추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유형이라는 점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본 교재의 유형구성]
유 형
법률규정의
해석과 적용
정보해석과
추론
논리퍼즐과
수리추론
[기본문제]
2021년 7급
PSAT 1차
1, 2, 3, 15, 16, 17, 18, 23, 24
4, 6, 12, 13, 14, 19, 20, 25
5, 7, 8, 9, 10, 11, 21, 22,
[유제]
7급 PSAT 2020년
모의평가
1, 2, 3, 4, 5, 6, 7
8, 9, 11, 12, 15, 17, 20, 23, 24
10, 13, 14, 16, 18, 19, 21, 22, 25
기본적인 위 유형분류를 다시 세분화하면, 법률규정의 해석과 적용은 행정법 유형과 민사법 등(형사법이나 상법 등) 유형으로 세분화되고, 정보해석과 추론은 다시 상황이해와 문제해결 유형으로 세분화 할 수 있으며, 논리퍼즐과 수리추론은 퀴즈와 퍼즐, 수리추론(연산) 유형으로 세분화가 가능합니다.
[기본문제]는 풀이방식의 설명을 위해 세분화하여 6개의 영역으로 유형을 설명해두었으나 [연습문제]는 세분화에 구애받지 않고, 크게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수록하였습니다.
유형에 대한 분석은 어디까지나 최초 학습 과정에서 풀이를 익히기 위한 과정에 불과하고, 강사마다 분류도 다르며, 어떤 분류가 절대적으로 옳다고도 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유형별 분류나 유형별 풀이법에 집중하시기 보다는 결국 상황판단 영역이 하나의 유형이라는 사고를 가지시고 문제에 주어진 정보를 해석하고 구조화하여 해답을 찾는 능력을 체화하고 발전시키는데 초점을 맞추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