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악을 기념하라

악을 기념하라

  • 김성환
  • |
  • 보리
  • |
  • 2021-12-10 출간
  • |
  • 512페이지
  • |
  • 152 X 215 mm
  • |
  • ISBN 9791163142263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7,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7,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 과거를 잊은 나라에 미래는 없다
청산되지 않은 역사는 되풀이된다. 역사 청산을 제대로 못 한 우리와 달리 독일은 끔찍했던 나치 폭력의 현장을 그대로 보존하고 교육하여 다시는 잘못된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게 노력해 왔다. 이 책은 국가가 저지른 폭력과 공포의 역사를 독일이 어떻게 청산하고 바로잡아 왔는지 낱낱이 보여 준다. 숱한 유대인이 죽어 간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조차 독일 시민들은 악을 기억하고 반성하는 장소로 남겨 두었다. 그 현장들을 답사하고 똑같은 독재와 폭력의 장소였던 남영동 대공분실을 돌아보며 저자는 말한다.
“악을 기념하라. 다시는 그 악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 카체트, 죽음의 강제 수용소
카체트는 나치가 독일과 유럽 곳곳에 세운 강제 수용소를 이른다. 그곳에서 숱한 유대인이 오로지 유대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죽어 갔다. 제1차 세계 대전의 패전을 틈타 영리하게 세력을 잡은 히틀러와 나치는 자신들의 권력을 공고히 하고자 “유대인을 전부 죽여서 유대인 없는 세계를 만들” 결심을 한다. 그것이 바로 나치의 최종 해결책, 이른바 유대인 ‘절멸’ 정책이었고, 끔찍한 악(국가폭력)의 시작이었다.

-청산 가스는 공기보다 무거워서 먼저 바닥에 가라앉은 뒤 점차 차오른다. 이때 (가스실의) 사람들은 마지막 남은 생존 본능으로 좀 더 높은 곳으로 올라가 독가스를 피하려고 한다. 결국 먼저 죽은 시신들을 밟고 올라선다. 그들이 죽으면 다음 사람들이 그 위로, 또 그 위로.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인간 피라미드의 가장 아래에는 노인과 아이들이, 그 위층에는 여자들이, 가장 위에는 혈기 왕성한 젊은이가 차지했다. 그 광경을 상상하며 가슴이 울컥해지는 순간, 살기 위해 안간힘을 쓰며 손톱으로 가스실의 벽면을 긁은 자국들이 내 눈을 긁었다. (398~390쪽)

■ 남영동, 국가폭력의 범죄 현장
우리에게도 비슷한 기억이 있다. 1987년 꽃다운 젊은이의 목숨을 앗아가 놓고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망언을 한 독재 정권은, 그 뒤로도 오랫동안 고문과 폭력을 멈추지 않았다. 그 현장인 남영동 대공분실을 어떻게 할 것인가. 박종철처럼 학생운동가였고, 남영동 인권기념관추진위원회 공동 대표이자 역사 편집자이기도 한 저자는 끊임없이 고민한다.

“그저 불행했던 과거의 현장을 보존한다는 소극적인 의미를 벗어나, 이 땅에 다시는 밀실에서의 고문이 횡행하는 독재 국가가 발붙이지 못하게 하기 위해, 미래 세대에게 민주주의에 방심하면 그 틈을 비집고 독재 권력이 성장한다는 것을 잊지 않게 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남영동 대공분실은 우리에게 그 답을 요구하고 있다.”

그리고 독일에 그 답을 구할 수 있는 수많은 사례들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나치즘과 동독 공산주의 체제가 저지른 국가폭력 범죄를 독일은 어떻게 ‘기념’하고 있는가.”

오랜 과정 끝에 찾은 기념이라는 해법. 그리하여 독일의 국가폭력 기념관들을 답사하고 분석하며 남영동 대공분실의 답을 찾아가는 긴 여정이 바로 이 책, 《악을 기념하라》이다.
■ 기념하고 기억하라, 국가폭력의 고통을
우리나라에서 ‘기념’이란 말은 흔히 좋은 것을 기리거나 추도할 때 쓴다. 하지만 독일에서 ‘기념’은 말 그대로 생각한다는 뜻으로 쓰인다. 그래서 ‘기념관’이라고 했을 때 그곳은 ‘생각하는 장소’, 반성하는 장소가 된다. 무엇을 생각하냐고? 그곳에서 벌어졌던 폭력을, 고통과 죽음을, 또는 그것을 외면했던 부끄러움을.

- (수용소의) 참상을 목격한 바이마르 시민들은 모두 얼굴이 어두워지고 굳어졌다. 그러나 시민들은 이곳에서 이러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느냐는 질문에 대해 한결같이 “나는 몰랐다”고 대답했다. 그들이 막사에 들어갔을 때 침상에 누워 있던 수감자가 발을 감싸고 있는 천을 풀어서 보여 주었다. 발가락들이 모두 썩어 문드러지고 뼈가 드러나 있었다. 바이마르 시민들은 차마 볼 수 없어 고개를 돌리면서도 “우리는 모르고 있었다”며 책임을 회피했다. 그들은 정말 모르고 있었을까? (314~315쪽)

독일의 거의 모든 강제 수용소는 그 원형을 보존한 채 강제 수용소 ‘기념관’이 된다. 한때 죽음의 수용소였던 곳은 개방되어 시민들을 들이고, 그곳에서 시민들은 날것 그대로 악의 실체를 만난다. 그리고 깊이 성찰하며 다짐한다. 다시는 악을 되풀이하지 말자고.
그렇게 기념하고 기억해 미래를 바꾸고자 한다. 거기에서 ‘기념관교육학’이라는 학문까지 생겨났다. 저자의 말을 빌자면, 이 책이야말로 “글로 진행된 기념관교육”이라 할 수 있다.

■ 상처를 드러내는 데서 진정한 치유가 시작된다
독일이 처음부터 반성하고 기념한 것은 아니었다. 거기에는 오랜 세월과 기나긴 논의의 과정이 있었다. 무엇보다 그것을 가능케 한, “시민운동가들의 피와 땀이 섞인 헌신”이 있었다.

- 독일인들의 나치 청산은 적어도 그 첫 단계에서는 마치 우리가 친일파 청산에 실패한 것과 똑같은 이유와 정치 정세로 말미암아 실패했다. ……암흑기를 거쳐 다시 나치 청산을 햇볕 아래로 호출해 낸 힘은 학생운동에서 나왔다. 좀 더 보편적으로 규정하자면,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인 소수 사람들의 헌신에 의해 사회 전반으로 확장된 운동, 곧 ‘사회운동’의 힘에서 나왔다. (58~59쪽)

마치 공포의 남영동 대공분실이 인권기념관으로 거듭날 수 있게 추진한 힘이 ‘촛불시민’에게서 나왔던 것과 같다. 저자는 남영동이 우리 역사의 아픈 상처일 수 있다면서도, “그럼에도 아픔은 아픔 그대로 드러내서 많은 사람들이 그 아픔을 자신의 아픔으로 공감할 때 비로소 사회적 치유가 시작된다고 믿는다”고 말한다. 상처를 감추고 치장하는 것이 아니라 드러내함께 고민하는 것. 그것이 진정한 치유의 시작이며 진정한 과거 청산이자 미래의 시작임을 저자는 말하고 있다. 그것이 바로 이 책을 읽어야 하는 까닭이다.

- 어떤 이들은 미래가 중요하므로 지나치게 과거에 얽매이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나는 과거를 기억하는 주체는 오늘을 사는 피해자 세대가 아니라 미래 세대라고 생각한다. ……나는 미래 세대의 행복 조건에서 중요한 한 가지는 과거와 같은 국가폭력이 다시는 되풀이돼서는 안 된다는 점이라고 생각한다. (476쪽)
- (그러므로 과거) 청산 작업은 끊기지 않고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현재 진행형이다. (454쪽)


목차


책을 내면서 5

들어가는 글 - 나는 누구인가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17
학생운동가와 사회운동가로서 19
남영동에서 독일까지 28

1. 독일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독일과 일본의 차이 35
뉘른베르크 전범 재판 39
독일 과거 청산의 좌절 43
냉전 시대의 장벽 49
탈나치화가 재나치화로 53
68운동과 과거 청산의 재개 58

2. 바이마르 공화국은 왜 무너졌나
베를린과 바이마르 65
페르가몬 박물관 70
독일 혁명 77
바이마르 체제의 허약성 82
바이마르 체제 붕괴의 책임 87

3. 강제 수용소 공간의 탄생
히틀러의 등장 97
의사당 화재 사건 101
독일 연방 의사당 104
공안 정국 몰아치다 112
다하우 강제 수용소 기념관 119
작센하우젠 강제 수용소 기념관 126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 133
독일 저항 기념관 136
공포의 현장을 보존하라 142
작센하우젠의 시설들 144

4. 공포의 지형도
공포의 기관들 153
플로센뷔르크 강제 수용소 기념관 157
서대문형무소역사관 164
플로센뷔르크 기념관, 인간 중심의 전시 169
‘공포의 지형도’ 전시 174
남영동 대공분실과 ‘공포의 지형도’ 180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과 남영동 188
5. 뮌헨의 나치 기록관
히틀러와 뮌헨 199
제1차 대전과 히틀러 204
히틀러에게 찾아온 기회 208
베르그호프 기록관과 켈슈타인 하우스 213
뮌헨 나치 당사 브라운 하우스 219
뮌헨 나치 기록관과 4·19탑 223

6. 히틀러가 사랑한 도시 뉘른베르크
고도 뉘른베르크 235
뉘른베르크와 히틀러 238
나치당 단지 개발 계획 242
파시즘의 어원 244
무솔리니의 파시즘 249
히틀러의 파시즘 건축 251
우리 안의 파시즘 262
나치 단지 보존과 극우주의 264
조선 총독부 건물 철거 논란 271
‘민족정기’의 정체 275
군산 근대문화유산거리 279

7. 바이마르와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
바이마르시와 히틀러 285
엘리펀트 호텔 287
나치 도시 바이마르 290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 291
남영동 대공분실과 김수근 297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와 괴테 301
실러의 가구 308
방관자 또는 동조자로서의 시민 313
분단 속의 부헨발트 317
독일 통일과 부헨발트 320
미래 세대를 위한 전시 323

8. 함부르크와 노이엔가메 수용소 기념관
항구 도시 함부르크 331
게슈타포 본부 건물 337
신세대 예술가들의 시도 343
함부르크 게슈타포 건물의 운명 348
남영동 대공분실의 장소성 354
노이엔가메 강제 수용소 기념관 357
노이엔가메 수용소 작업장 364

9. 베를린 반제 기념관
반유대주의의 기원 371
유대인 문제 374
‘수정의 밤’ 포그롬 377
최종 해결책 382
절멸 수용소 387
반제 회의 390
제노사이드 395
요셉 불프 399

10. 슈타지 박물관, 호헨쇤하우젠 기념관
동독 청산 문제 407
베를린 장벽 붕괴 사건 409
동독의 동독 청산 414
슈타지 문서 416
슈타지 박물관 424

호헨쇤하우젠 기념관 429
남영동 대공분실 435
밀폐된 비밀의 장소 439
동독 청산의 과정 447

나가는 글 - 기념관교육학
현장 교육으로서 기념관교육 459
보이텔스바흐 합의 462
기념관교육의 사례들 468
남영동 대공분실 기념관교육 474

부록
나치 강제 수용소 지도 482
유럽 여러 나라의 강제 수용소 기념관 484
참고 문헌 492
찾아보기 496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