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미래를 여는 가치 중심의 프로젝트(PBL) 수업

미래를 여는 가치 중심의 프로젝트(PBL) 수업

  • 시동국 ,서정보 ,공영재 ,신성진 ,우희석
  • |
  • 다빈치books
  • |
  • 2021-11-15 출간
  • |
  • 304페이지
  • |
  • 규격外
  • |
  • ISBN 9791186742457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2018년부터 경인교대부설초등학교 동료교사 7명이 자발적으로 조직한 ‘크레파스 수업연구회’가 4년간 연구해 온 프로젝트 수업 노하우를 이 한 권에 담았습니다. 메타버스와 인공지능의 시대, 학생들에게 단편적인 지식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바라보고 세상과 함께 살아갈 힘을 키워주기 위한 선생님들의 고민에 공감하고 감동할 것입니다.

이 책의 강조점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어떻게 설계하고 프로젝트 수업을 어떻게 실행하면 좋을까요?
1. 가장 먼저 교사의 철학을 담은 ‘가치’를 선정하고
2.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상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3. 빅아이디어를 통해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설계합니다.
4. 프로젝트 수업에서는 ‘질문’으로 학생의 의욕을 자극하고,
5. 다양하고 효과적인 ‘탐구’를 통해 학생의 성장을 확인하고
6. 모든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과정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지며
7. 결국 최종의 ‘결과물’은 프로젝트 수업의 의미를 더해줍니다.

이 책은 프로젝트 설계, 실행에서 위의 7가지를 어떻게 해야할 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줍니다.

[저자의 말]

시동국
우주 만물이 그러하듯 0에서 1로의 변화는 작은 움직임 하나에서 시작됩니다.
움직임이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무엇이라도 하려고 하는 노력,
할까 말까 주저하는 마음을 딛고 한번 해보려는 도전,
서로 네가 하라고 등 떠미는 상황에서 먼저 나서는 용기입니다.
세상과 삶이 좀 더 가치 있게 변화하고 있다고 믿는다면
가치 있는 변화는 이런 움직임을 먼저 시작한 사람들 덕분일 것입니다.
저를 움직일 수 있도록 자극해주신 프로젝트 수업의 대가들, 선배님들 고맙습니다.
7가지 빛깔로 활발히 움직임을 함께해준 동료들 고맙습니다.
이제 여러분과 0인 교사에서 1인 교사가 되도록 함께 더 활발한 움직임을 하고 싶습니다.
이 책이 한 번, 두 번, 세 번 거듭 읽히며 더 많은 공감과 영감을 주는 책이 되었으면 합니다.

서정보
오늘날 선생님의 역할은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학생 개개인이 삶에 필요한 여러 가지 지식, 기능, 태도에 대하여 스스로 배움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저도 처음 PBL 수업을 만나며 과거에 했었던 전통적인 수업에 대해 스스로 반성하게 되었고, 우리 반 아이들에게 단편적인 지식 전달이 아니라 세상을 바라보고 세상과 함께 살아갈 힘을 키워주려면 어떤 도움을 주어야 할까? 하는 고민을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처음 PBL 수업을 할 때는 고통과 인내 그리고 혼란의 연속이었습니다. 교육과정을 구성하기도 어렵고 수업을 준비하기도 힘들었으며, 과연 이것이 맞는 교육의 방향일까? 하는 물음표가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1년, 2년… 실천하며 아이들이 성장하고 배움을 얻어가는 모습을 보면서 이제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PBL 수업은 우리 교육의 미래라는 것을…….
이 책은 저희가 몇 년간 시행착오를 거치며 실천해 온 PBL에 대하여 ‘이제 함께 나누고 싶다!’라는 바람에서 탄생한 작은 결과물입니다. 이 책을 읽는 여러분들도 우리 교육의 미래를 제시하는 PBL의 매력에 흠뻑 빠져보셨으면 합니다.

공영재

시시각각 변하는 세상, 우리의 미래 교육은 어떤 모습일까요? 미래 교육이 어떤 모습일지 단정 짓기는 어렵겠지만 지금의 모습이 아니라는 것은 분명합니다. 교육의 모습은 세상의 변화보다는 좀 느리겠지만 지속해서 변화할 것이며 우리는 그 변화에 먼저 대응해야 합니다.
‘교육(education)’의 어원은 ‘밖으로(e) 끌어내다(duco)가 결합한 라틴어 educo’입니다. 말 그대로 교육은 학생들이 가진 역량을 키워 무언가 성찰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현재의 학생들은 지식이나 정보를 습득하고, 머릿속에 넣으려고만 합니다. 이에 교사는 학생들이 제대로 된 학습을 하기 위해 도와주어야 합니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프로젝트 수업은 그중 한 가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학생들은 프로젝트 학습을 하며 스스로 질문을 하고 분석하며 문제를 해결하려고 합니다. 이러한 학생 주도적인 수업은 계속해서 동기를 부여하고 자존감도 점점 높여줍니다.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지식이 아닌 삶의 지혜를 익히고 자기 주도적으로 미래를 살아가는 힘을 키울 수 있습니다.
현재 수업에 무언가 만족하지 못하거나 프로젝트 학습, 미래 교육에 관심이 있는 분에게 이 책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긴 시간 동안 프로젝트 수업에 관심을 두고 같이 고민하고 연구한 선후배와 동기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신성진

프로젝트 수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면서 들었던 의문점은 ‘프로젝트 수업은 과연 무엇일까?’, ‘교사 혼자 방대한 규모의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까?’, ‘어떤 내용을 프로젝트에 담아야 할까?’, ‘프로젝트 수업에서 평가는 어떻게 해야 할까?’와 같은 것이었습니다. 이런 의문점을 해결하는 방법은 제 나름대로 프로젝트 수업에 대해 좀 더 연구하고 체계적으로 정립하는 것이었습니다. 기존에 있던 프로젝트 수업에 관한 연구나 도서는 학교 현장에서 활용하기에는 너무 이론적이거나 반대로 너무 이벤트적인 사례에 국한되어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 책의 집필을 통해 우리가 연구하고 실천한 프로젝트 수업에 대하여 좀 더 체계적이고 쉽게 정리하고 싶었고, 더 많은 선생님께 프로젝트 수업에 대하여 안내하는 길잡이를 마련하고 싶었습니다.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는 데 여러 가지 어려움으로 지금 머뭇거리고 있으시다면 이 책을 통하여 프로젝트 수업에 다시 도전해보기를 권유합니다.
지금의 아이들이 미래사회를 살아가려면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마음에 새기고 삶과 관련된 문제를 타인과 함께 해결하는 역량이 분명 필요합니다. 이 책을 읽으며 우리의 생각에 공감하며 같은 꿈을 꾸는 선생님들이 하나둘 늘어가기를 바랍니다.
끝으로 집단지성의 힘으로 프로젝트 수업에 대해 같이 생각하고 고민한 동료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합니다.

우희석

좋은 수업을 위해 교실의 창밖이 어두워지는지도 모른 채 하루하루를 보내왔습니다. 그리고 지난 시간을 돌이켜보면 그 시간이 정말 소중하게 느껴집니다. 지난 4년 동안 프로젝트 기반의 수업을 연구하고 실행해 본 경험을 통해 볼 때 가장 확실한 한 가지 사실은 프로젝트 수업이 완벽한 수업 방법이나 도구가 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그런데도 프로젝트 수업 연구 경험을 동료 선생님들과 이렇게 함께 정리하여 남기게 된 이유는 프로젝트 수업이 우리가 지향해야 할 수업의 방향을 가장 의미 있게 제시하고 있다는 확신을 공유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또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교사와 학생의 역할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게 되었고, 교실에서 나타나는 긍정적인 변화에 감사하며 지내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교사라면 누구나 좋은 수업을 꿈꿉니다. 이 책을 읽는 선생님들께서 자신의 수업 개선을 위해 깊이 있게 연구하고 학생들과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과제를 탐구하고 실행하시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지속적인 반성과 피드백으로 늘 성찰하며 교사로서의 자신 또한 하루하루 성장해 가는 과정을 함께 느낄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처음부터 완벽하게 계획되고 실행되는 프로젝트 수업은 불가능합니다. 다만, 질문을 통해 새로운 과제들을 계속 만들어 내기도 하고, 때로는 처음 의도했던 것과는 다르게 방향이 바뀌기도 하는 그 과정 자체가 프로젝트 수업의 매력임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이경윤

4년 동안 프로젝트 기반의 학급 교육과정을 설계·운영하면서 점점 드는 생각은 학생들의 삶을 교육과정으로 녹여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학생에게 있어 진정한 이해와 배움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교사에게 교육과정 문해력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뛰어넘은 전문적인 교육과정 생성 역량이 꼭 필요하다는 것을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교사 한 명, 한 명이 교육과정을 생성하는 역량을 함양해야만 불확실한 미래사회 속에서 우리 학생들이 현명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삶의 힘을 기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1년 동안 학급 안에서 함께 뒹굴고 호흡하며 살아가는 학생들이 함께 배우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사가 프로젝트 기반 학급 교육과정 설계를 통해 새로운 교육과정과 학습 내용을 생성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낍니다.
저는 지난 4년 동안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우리 반 학생들의 성장을 눈으로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프로젝트 수업’이 생명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기반 학급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이 ‘프로젝트 수업’을 넘어 ‘프로젝트 기반 학급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길라잡이로 활용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끝으로 이번 기회를 통해 자신만의 프로젝트 기반 교육과정을 멋지게 디자인해보시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문석현

프로젝트 수업은 설계, 운영, 결과 등에서 뭐 하나 쉬운 게 없습니다. 가치 및 주제 선정부터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활동을 설계하는 등 교육과정을 늘 고민해야 하고, 프로젝트를 이끌어갈 핵심 지식과 기능까지 늘 생각하고 있어야 합니다. 단위 수업을 할 때도 아이들이 프로젝트의 방향을 잃지 않고 목표를 향해 갈 수 있도록 계속해서 교수자, 조력자 역할을 해야 합니다. 아이들도 스스로 자료를 조사, 탐구하고 논의하는 과정, 의미 있는 산출물을 만들어 공유하는 과정이 쉽지 않습니다. 교사나 학생에게 참으로 어려운 교수학습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저와 동료들의 학급에서 교사와 학생은 모두 적극적으로 프로젝트 수업을 설계하고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합니다. 학습 내용에 의미를 부여하고 스스로 탐구하여 배워가는 과정에서 지식과 역량이 부쩍 성장한다는 것을 교사나 학생 모두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거기에 배움 그 자체에 대한 재미도 한몫합니다.
이러한 강점을 가진 프로젝트 수업을 시도하고 싶은 마음에, 혹은 지금 하는 프로젝트 수업에 더하기를 하고 싶은 마음에 이 책을 읽기 시작한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 책을 읽는 선생님에게 저희가 연구하고 고민하며 시행착오를 겪었던 것들이 모두 공유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부족한 저희의 결과물이 이 책을 읽는 모든 선생님께 작게나마 도움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라며 교육을 함께하는 동료로서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차


1. PBL 준비
1-1 의욕
1-1 의욕(意欲, Motivation) 18
가. 미네르바 스쿨이 우리와 다른 점 18
나. 배움에 대한 의욕을 자극하기 20
다. 질문으로 의욕 자극하기 22

1-2 열정
1-2 열정(熱情, Passion) 25
가. 교사는 교육전문가 25
나. 열정만 요구되는 교사 27
다. 우리의 열정을 가로막는 것 29
라. 열정 가득한 교육 동지들이 함께하기를 꿈꾸며 30

1-3 신뢰
1-3 신뢰(信賴, Trust) 32
가. 학부모의 교육적 역할 33
나. 학부모의 신뢰와 지지 얻기 35
다. 학부모와의 간격 좁히기 37

2. PBL 이해
2-1 정의
2-1 정의(定義, Definition) 44
가. 프로젝트의 도입과 변화 44
나. 프로젝트의 주체 47
다. 프로젝트에서 교과를 통합하는 이유 50
라. 주제를 중심으로 한 프로젝트 교육과정 53

2-2 구분
2-2 구분(區分, Division) 56
가. 프로젝트 학습 vs 프로젝트 수업 56
나. 프로젝트 기반 학습 vs 문제 기반 학습 57
다. 우리 프로젝트의 다른 점 59

2-3 요건
2-3 요건(要件, Requirement) 63
가. 학습 의욕을 자극하는 질문 65
나. 지속적이며 협력이 있는 탐구 66
다. 생활 관련성과 미래 지향성 70
라. 학생의 자주적인 의사와 자율적인 선택 72
마. 과정의 성찰, 성장의 확인 75
바. 적절한 비평과 개선 77
사. 공개할 결과물 79
2-4 제한
2-4 제한(制限, Restriction) 82
가. 학급 교육과정 vs 프로젝트 교육과정 82
나. 학급 교육과정=프로젝트 교육과정 84
다. 이 책의 기획 설명 86
3. PBL 설계
3-1 가치
3-1 가치(價値, Value) 90
가. 프로젝트에 가치 담기 90
나. 가치의 의미 96
다. 학급 교육과정의 운영관 99
라. 가치 프로젝트 교육과정 탄생 102
마. 가치를 담은 학급 교육과정
운영관의 예시 103

3-2 성취기준
3-2 성취기준(成就基準, Achievement Standard) 106
가. 가치와 성취기준 연결하기 106
나. 교과 간의 성취기준 통합하기 108
다. 빅 아이디어로 주제 만들기 111
라. 프로젝트를 통한 잠재적
교육과정의 힘 117
3-3 주제 119
3-3 주제(主題, Subjec) 120
가. 주제 중심의 가치 프로젝트 120
나. IB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122
라. 소주제로 흐름 다듬기 128
마. 세부 활동 계획 세우기 131
4. PBL 실행
4-1 질문
4-1 질문(質問, Question) 136
가. 의욕(관심)을 자극하는 질문 136
나. 질문의 힘! 140
다. 교육과정 속에서의 질문 142
라. 탐구 질문과 핵심 질문 143
마. 탐구 질문 디자인 145
바. 핵심 질문 디자인 146

4-2 탐구
4-2 탐구(探究, Inquiry) 150
가. 탐구 주체 152
나. 탐구 대상과 내용 158
다. 탐구 방법 162
4-3 결과(산출물)
4-3 결과(산출물) 169
가. 결과(산출물)의 의미 169
나. 결과(산출물)의 중요성 171
다. 결과(산출물)의 구성 176
라. 프로젝트 결과(산출물)의 형태 179
마. 결과(산출물)의 계획 181

4-4 평가
4-4 평가(評價, Assessment) 185
가. 좁은 의미의 평가 185
나. 평가의 궁극적인 이유 187
다. 과정 중심의 평가 190
라. 평가 방법과 주의사항 193
마. 과정 중심 평가 계획의 예시 200
5. PBL 사례
5-1 사례
이경윤 선생님의
1학년 2학기 네 번째 프로젝트대주제: 평화로운 우리나라 205
가. 우리 학급의 가치 205
나. 교육과정 성취기준 207
다. 대주제와 소주제 208
라. 탐구 질문 212
마. 탐구 과정 212
바. 결과(산출물) 214
사. 과정 중심의 평가 215

신성진 선생님의
2학년 2학기 세 번째 프로젝트대주제: 함께 만드는 아름다운 세상 218
가. 우리 학급의 가치 218
나. 성취기준 220
다. 대주제와 소주제 221
라. 탐구 질문 224
마. 탐구 과정 225
바. 결과(산출물) 226
사. 과정 중심의 평가 228

문석현 선생님의 3학년 1학기
세 번째 프로젝트대주제: 내가 살아갈 행복한 미래 230
가. 우리 학급의 가치 230
나. 교육과정 성취기준 232
다. 대주제와 소주제 233
라. 탐구 질문 236
마. 탐구 과정 237
바. 결과(산출물) 239
사. 과정 중심의 평가 241
가. 우리 학급의 가치 243

우희석 선생님의 4학년 1학기
첫 번째 프로젝트대주제: 모두 함께 행복한 마을 디자인 243
나. 교육과정 성취기준 244
다. 대주제와 소주제 246
라. 탐구 질문 249
마. 탐구 과정 250
바. 결과(산출물) 252
사. 과정 중심의 평가 254

서정보 선생님의 5학년 2학기
첫 번째 프로젝트대주제: MIRAE 역량으로 溫故知新하기 256
가. 우리 학급의 가치 256
나. 교육과정 성취기준 257
다. 대주제와 소주제 259
라. 탐구 질문 264
마. 탐구 과정 265
바. 결과(산출물) 266
사. 과정 중심의 평가 269

공영재 선생님의 6학년 2학기
두 번째 프로젝트대주제: 세계시민의 평화와 발전 272
가. 우리 학급의 가치 272
나. 교육과정 성취기준 274
다. 대주제와 소주제 276
라. 탐구 질문 280
마. 탐구 과정 281
바. 결과(산출물) 283
사. 과정 중심의 평가 289
부록
지역 문제 해결 공공 디자인 제안 292
학교 공간혁신 디자인 298
프로젝트 학습 발표회 302
지속가능 실천 발표와 전시 305
인권: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308
종합정리 세트! 테마 조회 311
또 다른 평가; 프로젝트 결과통지서 314
지역 문제 해결 공공 디자인 제안 314

참고문헌 31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