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미중 패권경쟁과 해군력

미중 패권경쟁과 해군력

  • 정호섭
  • |
  • 박영사
  • |
  • 2021-09-10 출간
  • |
  • 450페이지
  • |
  • 준비중
  • |
  • ISBN 9791130313740
판매가

23,000원

즉시할인가

22,77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77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서 론 1

제1부 초석(楚石)

제1장 미국, 중국의 지정학적 특성 11
1. 지정학이란? 12
가. 맥킨더(Halford Mackinder, 1861-1947) 13
나. 스파이크맨(Nicholas Spykman, 1893-1943) 14
다. 마한(Alfred T. Mahan, 1840-1914) 17
라. 콜벳(Julian S. Corbett, 1854~1922) 18
2. 미국의 지정학적 특성 20
가. 북미(北美)로의 대양(大洋) 접근로 통제 21
나. 전(全) 세계 대양의 통제 24
다. 잠재적 도전국의 부상(浮上) 예방 26
3. 중국의 지정학적 특성 29
가. 3개의 핵심요소 30
나. 또 하나의 필수소요: 해상교역로의 보호 31
다. 새로운 지정학적 게임: 유라시아 통합 가능성 32

제2장 미ㆍ중 적대관계의 기원 36
1. 중국의 대미(對美) 정책 기원 37
가. 치욕의 세기 37
나.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47
2. 미국 대중(對中) 정책의 기원 54
가. 건국 시 고립주의 신조 55
나. ‘치욕의 세기’와 미국 56
다. 중국의 재조(再造)를 위한 미국의 노력 58

제3장 UN 해양법 협약과 미ㆍ중 관계 63
1. 1982년 UN 해양법협약 64
가. UNCLOS 관련 미ㆍ중의 상반된 입장 64
나. 해양구역 관련 미ㆍ중간 이견 67
2. UN 해양법과 미ㆍ중간 패권경쟁 72
가. EEZ에서의 외국의 군사활동 72
나. 남중국해 75

제2부 미ㆍ중 개입정책

제4장 태평양전쟁 종전 후 대립(對立)의 시작 83
1. 미국의 세기 시작 83
가. 미국의 전통적인 아ㆍ태지역 군사전략 84
나. 미국 주도의 국제질서 86
다. 전 세계 해양통제 87
2. 냉전의 출현 90
가. 미ㆍ소 냉전의 부상 90
나. 중국의 공산화 92
다. 한국전쟁: 극동으로 확장되는 미ㆍ소 냉전 98
라. 미ㆍ중 대립: 제1, 2차 대만해협 위기 106
3. 중ㆍ소 분쟁 109
가. 중ㆍ소 갈등요인 109
나. 1968년 중ㆍ소 국경분쟁 113

제5장 미국의 대중(對中) 개입정책 117
1. 미국의 대중(對中) 개입정책 118
가. 미ㆍ중 관계 정상화 118
나. 대중(對中) 개입정책 120
2. 현대 중국해군의 태동(胎動) 123
3. 1979년 중국ㆍ베트남전쟁 126
4. 천안문 사태 129

제6장 냉전의 종식과 적대관계로의 복귀 136
1. 걸프전: 중국군 현대화의 출발점 137
가. 정보전쟁의 전형으로서 걸프전 137
나. 중국군의 각성(覺醒) 138
다. 군 현대화를 향한 출발 140
2. 냉전의 종식과 미국의 패권질서 147
가. 미국의 패권질서 유지 147
나. 탈냉전 후 미 해군의 전략 “… From the Sea” 149
3. 제3차 대만해협 위기(1995-6년) 152
가. 제3차 대만해협 위기 152
나. 양국의 전략 목표 154
다. 양국 관계에 미친 영향 155
4. 적대관계로의 복귀 157
가. 1999년 유고 중국대사관 오폭사건 157
나. 2001년 미 EP-3 사건 159
다. 중국의 신(新) 안보개념 161
5. 왜 개입정책이 실패했을까? 163
가. 중국을 변화시킨다는 확신 163
나. 두 가지 환상과 한 가지 잘못된 지각 165
제7장 중국의 유소작위(有所作爲) 169
1. 탈(脫)냉전 시대의 종료 170
가. 탈냉전 후 중ㆍ러의 반미(反美) 연대 170
나. 경제ㆍ군사 강대국으로서 중국의 등장 174
다. 중국군의 대(對)개입 전략으로서 A2AD 178
2. 냉전 승리의 최대 피해자로서 미 해군 185
가. 함대규모의 축소 185
나. 새로운 임무초점으로서 전방현시에의 올인(all-in) 188
다. 장거리 정밀타격 화력 경시 189
라. 대잠임무의 경시 193
3. 중국의 유소작위 194
가. 중국의 자신감 195
나. 핵심 이익으로서 남중국해 197
다. Scarborough Shoal 199
라. 센카쿠 열도 사건 202

제8장 아시아ㆍ태평양으로의 재균형 210
1. 흔들리는 미국의 패권질서 211
2. 아시아ㆍ태평양으로의 재균형 214
3. 공ㆍ해전투 개념의 출현 216
가. 등장 배경 216
나. 개념 발전 217
다. CSBA의 ASB 개념 218
라. 개념 평가 220
마. 비판 220
바. 제3차 상쇄전략(Third Offset Strategy) 224
4. 미국의 여러 가지 대(大)전략(Grand Strategy) 구상 227
가. 연안통제(offshore control) 전략 227
나. 역외균형(Offshore Balancing) 전략 229
다. 최소노출 전략(Minimal Exposure Strategy) 232

제3부 미ㆍ중 해양 패권경쟁

제9장 중국몽(中國夢)과 미 해군의 쇠퇴 237
1. 중국몽 238
가. 중국의 급부상 238
나. 시진핑(習近平)의 중국몽 242
2. 작전적 접근방식으로서 기정사실화 전략 256
가. 서태평양에서의 중국 A2AD 거품 256
나. 기정사실화 우려 258
3. 미 해군의 쇠퇴 261
가. 전비태세 실종 261
나. 미래전 준비의 소홀 264
다. 긴급증강(surge) 역량의 위축 266
라. 전략 해상수송 능력의 부식 268

제10장 인도ㆍ태평양 전략과 대중(對中) 거부적 억제 275
1. 미국의 인도ㆍ태평양 전략 276
가. 강대국 간 경쟁시대 276
나.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ㆍ태평양 전략 277
다. 전략적 개입정책의 종식 282
2. 대중(對中) 거부적 억제 283
가. 왜 거부적 억제? 284
나. 거부적 억제 개념으로서 ‘해양압박’ 전략 285
3. 미 해군의 재건과 각 군의 전비태세 재편 293
가. 미 해군의 재건과 전비태세 복구 294
나. 미 해병대의 원정전진기지작전 303
다. 타군의 전비태세 재편 306

제11장 확장되는 미국의 안보 네트워크 312
1. 미국의 대중(對中) 연합 구축 모색 313
2. 동맹 및 파트너와의 안보협력 강화 314
가. 동맹 및 파트너와의 협력 강화 314
나. 제1도련 국가와의 협력 강화 316
다. 주둔전력(staying power) 기반 확대 326
3. 새로운 안보 네트워크 강화 331
가. 아시아의 NATO로서 Quad 331
나. NATO와의 대중(對中) 안보연대 강화 337

제12장 중ㆍ러의 전략적 연대 344
1. 중ㆍ러의 전략적 연대 344
가. 권위주의 체제 상호지원 345
나. 경제이익 상호 증진 346
다. 기능적 군사동맹으로의 발전 348
2. 잠재적 장애요소 351
가. 중앙아시아 351
나. 인도에 대한 러시아의 군사지원 353
다. 3극체제에서의 전략적 불확실성 353
라. 기타 갈등 요인 355
3. 유라시아 통합? 356
가. 중국ㆍ러시아ㆍ독일의 연대 가능성 357
나. 유라시아 통합의 핵심 노드: 이란 360

제4부 결 론

제13장 미ㆍ중 해양 패권경쟁과 향후 전망 369
1. 미국의 패권 유지 대(對) 중국의 도전 369
가. 미국의 패권 유지 369
나. 새로운 강대국 경쟁 시대의 등장 371
2. 향후 전망 374
가. 향후 미국의 대중(對中) 전략 376
나. 중국의 예상 반응 382
다. 패권질서와 해군력 385

제14장 미ㆍ중 해양 패권경쟁과 한ㆍ미 동맹 389
1. 한국의 소극주의(passivism) 390
가. 지정학적 취약성 391
나. 불가피한 전략적 모호성 393
2. 미국의 안보 네트워크로의 편입? 394
가. 한국의 가치와 역할 397
나. 자강(自彊)의 노력 399

참고문헌 405
찾아보기 425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