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1년 국내외 (빅)데이터 시장 분석과 해외진출 전략 하

2021년 국내외 (빅)데이터 시장 분석과 해외진출 전략 하

  • 산업경제리서치편집부
  • |
  • 산업경제리서치
  • |
  • 2021-08-09 출간
  • |
  • 654페이지
  • |
  • A4
  • |
  • ISBN 9791185508597
판매가

440,000원

즉시할인가

396,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96,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Ⅶ. 세계 각 도시별 (빅)데이터 정책과 서비스

1. 중국

1) 귀주성(귀양)
(1) 도시 개요
가. 개요
나. 경제
다. 도시 발전
(2) 데이터 기반 도시 정책과 추진 방향
가. 공공데이터 정책 추진 현황
나. 빅데이터 활용 정책 및 추진 방향
다. 데이터 정책 책임 기관에 대한 소개
라. 데이터 관련 시장 및 정부 재정 정책과 방향
마. 데이터 관련 법제도 현황 및 이슈
(3) 데이터 기반 도시 서비스
가. 귀양 빅데이터 거래소(Global Big Data Exchange, GBDEx)
나. 기타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4) 데이터기반 도시 혁신 사례
가. 귀주성 빅데이터 거래 활용 주요 기업 사례
나. 기타 귀주성 빅데이터 활용 사례

2) 북경
(1) 도시 개요
가. 개요
나. 경제
(2) 데이터 기반 도시 정책과 추진 방향
가. 중국 내 베이징의 빅데이터 산업 위상
나. 빅데이터 활용 정책 및 추진 현황
다. 빅데이터 정책 책임기관
라. 베이징 빅데이터 기업 협회 : 중관춘 빅데이터 산업연맹
(3) 데이터 기반 도시 서비스
가. (요식업) 빅데이터를 활용한 온라인 음식배달 플랫폼-오프라인 식당 협업
나. (유통) ‘신유통’ 컨셉의 유통 스타트업 출현 : T11 신선마트
다. (유통)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유통’ 선두주자의 끝없는 진화 : 허마셴셩
라. (행정) ‘베이징 데이터 서비스창구’ 개설
마. (교육) 거주민 데이터의 교육서비스 반영 : 베이징 하이뎬구(區) 사례
바. (관광) 방문객 만족도 제고를 위한 데이터 활용과 관광의 온라인화
(4) 데이터 기반 도시 혁신 사례
가. 온라인상 내 주치의, 하오따이푸 온라인병원 사례
나. (사법) 판결 데이터의 제공 및 분석사례 : 베이징 재산분쟁사례 분석

3) 항저우
(1) 추진현황
(2) 추진체계
(3) 주요사업내용
(4) 대표서비스
(5) 사업규모
(6) 시사점


2. 미국

1) 뉴욕
(1) 도시 개요
가. 인구, 산업, 문화 등 지역 특성
나. 경제 현황
다. 도시문제, 도시비전, 도시 발전 계획
(2) 데이터 기반 도시 정책과 추진 방향
가. 공공데이터 정책 추진 현황
나. 빅데이터 활용 정책 및 추진 방향
다. 빅데이터 활용 정책 및 추진 방향
라. 데이터 정책 책임 기관
마. 데이터 관련 시장 및 정부 재정 정책과 방향
바. 데이터 관련 법제도 현황 및 이슈
(3) 데이터 기반 도시 서비스
가. 복지 서비스
나. 오픈 스트리트
다. 의료 서비스
(4) 데이터 기반 도시 혁신 사례
가. 디지털 도시 지도(Digital City Map)
나. 공공혜택을 위한 뉴요커 연결시키기
다. 침대벌레 보고

2) 워싱턴 D.C
(1) 도시 개요
가. 인구, 산업, 문화 등 지역 특성
나. 도시문제, 도시비전, 도시 발전 계획
(2) 데이터 기반 도시 정책과 추진 방향
가. 개요
나. 공공데이터 정책 추진 현황
다. 빅데이터 활용 정책 및 추진 방향
라. 데이터 정책 책임 기관 : OCTO
마. 데이터 관련 시장 및 정부 재정 정책과 방향 : 2019년 콜럼비아 특별구를 위한 기술 전략 계획
바. 데이터 관련 법제도 현황 및 이슈 : 데이터 분류 체계
(3) 데이터 기반 도시 서비스
가. 공유 자전거 서비스
나. 공공 안전 서비스: 공공 교통 안전 포털
다. 보건 서비스: 필드 데이터 수집을 통한 모기 지도와 제거
라. 디지털 교육 서비스: 디지 털 불평등 완화를 위한 환경 마련
(4) 데이터 기반 도 시 혁신 사례
가. 혁신 정책 및 서비 스: “미국인을 위한 인공지능”
나. 평면 및 정사 영상 데 이터 : 지리 정보 시스템(GIS)를 활용한 건물 정보 지도.
다. 자율 주 행차
라. 자녀와 부모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

3) 콜럼버스
(1) 추진 배경
(2) 추진 체계
(3) 주요사업 내용
(4) 대표 서 비스
(5) 사업규모
(6) 시사 점



3. 일 본

1) 아이즈와 카마츠
(1) 도시 개요
가. 현황과 산업구조
나. 지역 문제와 발전계획
(2) 데이터 기반 도시 정책과 추진 방향
가. 데이터 정 책 추진 현황92)
나. 빅데이터 활용 정책 및 추진 방향
다. 데이터 정책 추진 거버넌스
라. 데이터 중심의 스마트시티 구축과 효과
(3) 데이터 기반 도시 서비스
가. 장애인을 위한 최 적의 길안내 서비스
나. 지역 에너지 콘트롤센터 서비스(에너지×ICT)
다. PHR(개인건 강정보)과 의료데이터 분석에 의한 예방의료 추진
(4) 데 이터 기반 도시 혁신 사례
가. 지역내 대학ㆍ기업을 중심으로 데이터분석 인재육성과 지역문제 해결
나. 아이즈와카 마츠시의 포털서비스 「아이즈와카마츠+(플러스)」

2) 요 코하마
(1) 도시 개요
가. 개 요
나. 경제 산 업 동향
다. 요코하 마시의 사회적 과제
(2) 기반 도 시 정책과 추진 방향
가. 일본의 데이터 활용 정책 방향
나. 요코하 마시의 데이터 기반 도시정책 추진
(3) 데이터 기반 도시 서비스
가. 의 료
나. 재 난대응
다. 관 광
(4) 데이터기반 도시 혁신 사례
가. 요코하마 스마 트시티 프로젝트 (YSCP: Yokohama Smart City Project)
나. ‘챗봇’을 이 용한 "쓰레기 분리수거 가이드" (NTT와 자원재활용국 공동개발)

(5) 시 사점

4. 독일

1) 베를 린
(1) 유럽 4차 산 업혁명 기술의 허브
(2) 데이터 기반 도 시 정책과 추진 방향
(3) 데이터 기반 도 시 서비스
(4) 데이 터 기반 도시 혁신 사례

2) 함부 르크
(1) 유럽 스마트시티의 중추 도시
(2) 기반 도시 정책과 추진 방향
(3) 데이터 기 반 도시 서비스
(4) 데이터 기반 도시 혁신 사례


5. 영국

1) 런 던
(1) 도시 개 요
가. 도 시 특성
나. 도시 문 제와 발전 계획
(2) 데이터 기 반 도시정책과 추진방향
가. 도시 데 이터 정책 방향
나. 데이터 정 책 책임 기관
다. 런던시 데 이터 관련 시장
라. 데이터 관련 법 제도 현황 및 이슈
(3) 데이터 기반 도시 서비스
가. 도 시 계획
나. 교통
다 . 환경
라. 공중보건 및 의료
마. Covid-19 대응 서비스
바. 치 안
(4) 데이터 기반 도시 혁신 사례
가. 런던 데이 터스토어(Lonon Datastore)
나. 런던 교통 공사(Transport for London: TfL) 빅 데이터 활용 사례
다. 디지털 그 리니치 - 스마트 공유 도시 시범사업

2) 밀턴 킨즈
(1) 추 진배경
(2) 추진 체계
(3) 주요사 업 내용
(4) 대표서 비스
(5) 사업규모
(6) 시사점


6. 스페인

1) 바르셀로나
(1) 도시 개요
가. 도시 특성
나. 도시 문제와 발전 계획
(2) 데이터 기반 도시 정책과 추진방향
가. 도시 데이터 정책 방향
나. 공공 및 빅데이터 정책 추진 현황
다. 데이터 정책 책임 기관
라. 데이터 관련 시장 및 정부 재정 정책과 방향
마. 데이터 관련 법제도 현황 및 이슈
(3) 데이터 기반 도시 서비스
가. 바르셀로나시 제공 앱/웹
나. 교통
다. 환경 및 에너지
라. 오픈 정부
마. 주택
바. Covid-19 대응
(4) 데이터 혁신 사례
가. DECODE(DEcentralised Citizen Owned Data Ecosystem)
나. 바르셀로나 Superblock과 스마트 모빌리티

2) 산탄데르
(1) 추진배경
(2) 추진체계
(3) 주요사업 내용
(4) 대표서비스
(5) 사업규모
(6) 시사점


7. 호주 빅토리아(멜버른)

(1) 도시 개요
(2) 데이터 기반 도시정책과 추진방향
가. 공공데이터 정책 및 추진방향
나. 멜버른의 데이터 정책
다. 데이터정책 추진기관
라. 데이터 관련 법제도 현황 및 이슈
(3) 데이터 기반 도시 서비스
가. 빅토리아 공공 데이터 서비스
나. 멜버른 공공 데이터 서비스
(4) 데이터 기반 혁신서비스 사례
가. 공공데이터 활용형 서비스 : My Victoria
나. 도심 수목관리 : 멜버른 도심숲 프로젝트(Urban Forest Map)
다. 전력선 산불 안전 프로그램(Powerline Bushfire Safety Program)
라. 빅토리아 자전거 통행(Bicycle Counters)


8. 스웨덴 스톡홀름

(1) 도시 개요
가. 일반 현황
나. 경제
다. 도시문제, 도시비전, 도시 발전 계획
(2) 데이터 기반 도시 정책
가. 스톡홀름시 오픈데이터 전략
나. ‘스마트하고 연결된 스톡홀름 전략’
다. 스웨덴의 AI 전략 (National Approach for Artificial Intelligence 2018)
(3) 데이터 기반 도시 서비스
가. 디지털 트윈 도시 CIM(CIitie Information Model)로서의 3D 도시 모델링
나. 스톡홀름 데이터 파크
다. GrowSmarter 프로젝트


9. 노르웨이 오슬로

(1) 도시 개요
가. 일반 현황
나. 경제
다. 도시 비전
(2) 데이터 기반 도시 정책과 추진 방향
가. 오슬로 스마트 시티 전략
나. 오슬로 세계의 전기 자동차 수도
(3) 데이터 기반 도시 서비스
가. 오슬로 기후 대시 보드
나. 취약 계층을 위한 스마트 기술 시연
(4) 데이터 기반 도시 혁신 사례
가. 노르딕 스마트 도시 네트워크


10. 덴마크 코펜하겐

(1) 도시개요
가. 일반 현황
나. 경제
다. 도시 비전
(2) 데이터 기반 도시 정책
가. 코펜하겐 솔루션 랩(Copenhagen Solutions Lab)
나. 덴마크 빅데이터 전략(2018-2020)
다. 덴마크 AI 전략
(3) 데이터 기반 도시 서비스
(4) 데이터 기반 도시 서비스 혁신 사례
가. Energyblok 추진
나. 이지파크(Easy Park)
다. 센서 달린 스마트 쓰레기통
라. 그린웨이브 조명
마. 에어뷰(Air View)


11. 에스토니아 탈린

(1) 도시개요
가. 일반 현황
나. 경제
다. 도시문제, 도시비전, 도시 발전 계획
(2) 데이터 기반 도시정책과 추진 방향
(3) 데이터 기반 도시 서비스
(4) 데이터 기반 도시 혁신 사례


12. 핀란드 헬싱키

(1) 도시 개요
(2) 데이터 기반 도시 정책과 추진 방향
가. 헬싱키시 데이터 전략 : 사후 대응이 아닌 사전 대응
나. 헬싱키, 핀란드 AI 정책 선도 도시
(3) 데이터 기반 도시 서비스
(4) 데이터기반 도시 혁신 사례
가. EU, AI4CITIES 프로젝트
나. 헬싱키의 AI4CITIES


13. 싱가폴 버추어싱가포르

(1) 추진배경
(2) 추진체계
(3) 주요사업 내용
(4) 대표서비스
(5) 사업규모
(6) 시사점
14. EU GrowSmarter Project

(1) 추진배경
(2) 추진체계
(3) 주요사업 내용
(4) 대표 서비스
(5) 사업규모
(6) 시사점


15. 네덜란드

1) 암스테르담
(1) 추진배경
(2) 추진체계
(3) 주요사업 내용
(4) 대표서비스
(5) 사업규모
(6) 시사점

2) 네덜란드 Eco2city
(1) 추진배경
(2) 추진체계
(3) 주요사업 내용
(4) 대표서비스
(5) 시사점


16. 대한민국 국가시범도시

1) 세종 5-1 생활권
2) 부산에코델타시티
3) 데이터 기반 도시 운영


Ⅷ. 빅데이터 특허동향


1. AI기반 데이터 가치 고도화 플랫폼 분야

1) 특허출원 동향

2)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1) 해외 업체
(2) 국내 업체

3) 기술집중력 및 특허소송 동향
4) 특허기반 요소기술 도출


2. 빅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플랫폼 분야

1) 특허출원 동향
2)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1) 해외 업체
(2) 국내 업체

3) 기술 집중력 및 특허소송 동향

4) 특허기반 요소기술 도출
(1) 특허 기반 토픽 도출


3. 빅데이터 기반 마케팅 인텔리전스 플랫폼 분야

1) 특허출원 동향
2)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1) 해외 업체
(2) 국내 업체

3) 기술 집중력 및 특허 소송 동향

4) 특허기반 요소기술 도출


4. 공공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 분야

1) 특허출원 동향
2)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1) 해외 업체
(2) 국내 업체

3) 기술 집중력 및 특허소송 동향
4) 특허기반 요소기술 도출


5.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수집 시스템 분야

1) 특허출원 동향
2)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1) 해외 업체
(2) 국내 업체

3) 기술 집중력및 특허소송 동향
4) 특허 기반 요소기술 도출


6. 유통ㆍ물류 빅데이터 구축 및 분석 시스템 분야

1) 특허출원 동향
2)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1) 해외 업체
(2) 국내 업체

3) 기술 집중도 및 특허소송 동향
4) 특허기반 요소기술 도출
7. 영상, 음성, 문서 등의 개인정보 비식별화 솔루션 분야

1) 특허출원 동향
2)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1) 해외 업체
(2) 국내 업체

3) 기술집중력 및 특허소송 동향
4) 특허기반 요소기술 도출


8. 데이터 3D 변환 시각화 도구 분야

1) 특허출원 동향
2)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1) 해외 업체
(2) 국내 업체

3) 기술집중력 및 특허소송 동향
4) 특허기반 요소기술 도출



Ⅸ. 국내 보건의료 데이터 재정사업 분석

1. 분석 개요

1) 분석의 배경 및 목적
2) 분석의 구성 및 방법


2. 보건의료 데이터 재정사업 현황

1) 보건의료 데이터의 개념 및 범위
2) 보건의료 데이터 정책 및 재정사업 현황
(1) 보건의료 데이터 정부 정책 현황
(2) 보건의료 데이터 재정사업 현황
가. 보건의료 데이터 재정사업 예산 규모
나. 보건의료 데이터 주요 재정사업 현황


3. 주요 쟁점 분석

1) 보건의료 데이터 수집ㆍ구축
(1) 보건의료 데이터 수집ㆍ구축 사업 체계
가. 바이오 데이터 통합수집ㆍ구축 사업의 효과적인 관리제도 마련 필요
나. 공공민간 암 데이터 통합 수집 ㆍ 관리 체계 검토
(2) 헬스케어 및 임상ㆍ진료 데이터 수집ㆍ공유 체계
가. 개인 주도형 헬스케어 데이터 수집ㆍ공유 체계 검토
나. 의료기관 임상ㆍ진료 데이터 수집ㆍ공유 사업 개선 필요
(3) 보건의료 데이터 표준화 체계
가. 범부처 보건의료 데이터 표준화 계획 필요
(4) 시사점

2) 보건의료 데이터 정보 보호
(1) 보건의료 가명정보 활용 지원 체계
가. 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정 현황
나. 안전한 보건의료 가명정보 활용 지원 체계 마련
(2) 의료기관 개인정보 보호 관리체계
(3) 소결

3)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1) 보건의료 데이터 플랫폼 활용 현황
(2)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R&D사업 사업화 현황
가. 정밀의료 기술개발 사업 사업화 성과
나. 혁신의료기기 시장진입 촉진 방안 개선 검토

(3) 결론

4. 시사점


Ⅹ. 국내 데이터 산업 실태 분석

1. 2020년 국내 데이터산업 조사개요

1) 조사목적
2) 조사연혁
3) 법적근거
4) 조사주기, 기준시점, 조사기간
5) 조사대상
6) 조사항목
7) 자료수집 방법
8) 조사체계
9) 공표주기, 공표시점, 공표방법


2. 국내 데이터 산업 조사결과

1) 글로벌 데이터산업 시장규모
(1) 데이터 전체 시장규모 및 향후 전망
(2) 부문별 시장규모
가. 데이터 처리 및 관리 솔루션 개발ㆍ공급업 시장
나.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서비스업 시장
다. 데이터 판매 및 제공 서비스업 시장
라. 데이터산업 수요처별 시장규모
(3) 직접매출 시장규모
가. 전체 직접매출 시장
나. 부문별 직접매출 시장
(4) 국내외 데이터 시장 비교
가. 해외 데이터 관련 시장 비교
나. 국내 타 산업과의 비교

2) 국내 데이터직무 인력 실태 및 수요
(1) 데이터직무 인력 현황
가. 데이터산업 종사자 현황
나. 데이터산업의 데이터직무 인력 현황
다. 전 산업의 데이터직무 인력 현황
(2) 데이터직무 인력 수요
가. 데이터산업의 필요 인력 및 부족률
나. 전 산업의 필요 인력 및 부족률
(3) 빅데이터 관련 데이터직무 인력 현황 및 수요
가, 빅데이터 관련 인력 현황
나. 빅데이터 관련 필요 인력 및 부족률
(4) 데이터직무 채용
가. 채용 현황
나. 채용 시 애로사항
다. 채용 시 우대사항

3) 해외 진출 현황 및 IT 투자 분석
(1) 해외 진출 현황
(2) IT 투자 현황
가. 데이터산업의 IT 예산
나. 일반산업의 IT 예산

4) 데이터 유통ㆍ보유 현황
(1) 데이터 유통 현황
(2) 데이터 보유 현황

5) 데이터산업 정책 수요
(1) 데이터 사업 수행시 애로사항
(2) 데이터산업 활성화 정책 수요
(3) 데이터 사업 수행 시 필요 정보
(4) 데이터 전문인력 양성 정책 수요

6) 빅데이터 도입 및 투자 현황
(1) 조사개요
(2) 빅데이터 도입 현황
가. 빅데이터 도입률
나. 빅데이터 도입 유형 및 활용 분야
다. 빅데이터 미도입 이유
(3) 빅데이터 투자 현황
(4) 빅데이터 시장 규모
나. 영역별 빅데이터 시장규모
다. 제품 분야별 빅데이터 시장규모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