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수능국어 백문백답

수능국어 백문백답

  • 이영현
  • |
  • 역락
  • |
  • 2021-07-12 출간
  • |
  • 248페이지
  • |
  • 153 X 225 mm
  • |
  • ISBN 9791167420466
판매가

11,500원

즉시할인가

11,15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1,1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머리말 4

1 화법과 작문

001 ‘화법과 작문’과 ‘언어와 매체’ 중 선택과목으로 무엇을 선택할지 고민이에요. 14
002 화법과 작문의 지문을 발췌독해도 되나요? 16
003 발췌독하는 습관은 어떻게 고치나요? 18
004 왜 꼭 한두 문제씩 틀리는 것일까요? 완벽하게 다 맞고 싶은데, 꼭 한두 문제씩 틀려요. 어떻게 하면 안정적으로 다 맞을까요?ㅜㅜ 20
005 화법과 작문 융합형을 유독 많이 틀리는데, 어떻게 풀어야 하나요? 22
006 저는 고쳐쓰기를 계속 틀려요. 24
007 저는 토론/토의만 나오면 막혀요. 26
008 저는 자료 활용을 계속 틀려요. 28
009 화법과 작문에서 어떻게 시간을 줄이나요? 30
010 어이 없는 실수로 자꾸 하나씩 틀리는 건 어떻게 고쳐야 하나요? 32

2 언어와 매체

- 음운
011 반모음이 하나의 음운인가요? 그럼 이중모음은 두 개의 음운이에요? 헷갈려요. 36
011-1 반모음과 관련된 이슈 ① 38
011-2 반모음과 관련된 이슈 ② 40
011-3 반모음과 관련된 이슈 ③ 41
012 유음화, 비음화 외에 동화에는 또 어떤 것들이 있나요? 42
013 ‘좋소, 닿소’의 음운의 변동은 ‘좋소-?소-?쏘’ 이렇게 되지 않고 왜 ‘좋소-?소-조쏘’ 이런 식으로 마지막에 ㄷ받침이 없어지나요? 44
014 반모음이 하나의 모음이라고 하면 ‘괴+어=괘’는 축약인가요 아니면 교체인가요? 만일 2021 9평 11번처럼 모음축약을 교체로 설명한다면, ㅙ는 무엇이 무엇으로 교체되었다고 설명하나요? 46
015 냇물은 ‘냇물-?물-낸물’ 아닌가요? 음절의 끝소리 규칙과 비음화로 설명하면 안 되나요? 48
016 ㅎ탈락 vs 자음군단순화-어떻게 구분하나요? 50
017 시가(媤家)[시가]와 시가(時價)[시까]는 최소대립쌍이 있다고 할 수 있나요? 만약 있다면 ㄱ과 ㄲ이 최소대립쌍인가요? 52
018 장단을 최소대립쌍으로 볼 수 있나요? 54
019 음가 없는 ㅇ vs 음가 있는 ㅇ 구별하는 법 56
020 음가 없는 ‘ㅇ’도 최소대립쌍이 될 수 있나요? 58
021 음절말 평파열음화 vs 자음군단순화 vs 음절의 끝소리 규칙 60
022 상호비음화는 음운의 변동이 한 번 일어난 건가요? 아님 두 번 일어난 건가요? 62
023 연음은 음운의 변동으로 안 보나요? 그럼 연음 후에 일어난 변동은요?? 64
024 비음화 vs ㄴ첨가 구분 66

- 형태소
025 어근과 어간은 어떻게 구분하나요? 68
026 ‘-기’는 명사형 어미도 있고 명사화 접사도 있는데 둘은 어떻게 구분하나요? 70
027 접사도 의미를 가지는데 왜 실질 형태소가 아닌 형식 형태소인가요? 예를 들어, ‘풋사과’의 ‘풋-’도 ‘덜 익은’이라는 뜻이 있잖아요. 72
028 직접구성성분 분석이 무엇인가요? 그리고 왜 짓밟히다는 짓/밟히다가 아니라 짓밟/히다로 먼저 나뉘는 건가요? 1차로 무엇으로 분석되는지 어떻게 알죠? 74
029 불규칙 활용 vs 형태론적 이형태 76
030 서술격 조사 활용형은 어떻게 형태소 분석을 해야 하나요? 예를 들어, ‘였다’에서 ‘-었-’은 뭔가요? 과거형 선어말 어미라고 하기에는 어미는 용언에서만 쓰이는 개념 아닌가요? 78

- 단어
031 ‘이곳은 꽃이 예쁘게 피었다.’에서 ‘이곳은’이 부사어고 ‘꽃이’가 주어이고 ‘피었다’가 서술어라고 말할 수는 없는 건가요? 80
032 보어 vs 필수적 부사어 82
033 “계획 세우기가 되다.”도 ‘되다’ 앞에 ‘가’가 오는 단어인데 왜 ‘계획 세우기’는 보어가 아닌가요? 84
034 서술어 자릿수 셀 때 필수적 관형어는 포함되나요? 필수적 부사어는 포함되는데… 86
035 관형사 vs 관형어 구별하는 법 88
036 미지칭 vs 부정칭 구분 90
037 미지칭, 재귀칭, 부정칭은 몇 인칭인가요? 92
038 합성용언 vs 본용언+본용언 94
039 규칙활용 vs 불규칙활용→ 둘을 구분하는 기준이 뭔가요? 왜 불규칙인지 모르겠어요. 그리고 이 부분은 어떻게 외워야 하나요? 96
040 왜 어떤 단어는 본용언+보조용언 구성인데도 반드시 띄어 쓰나요? 예를 들어, ‘가지 않았다’요. 98

- 문장
041 ‘비가 소리도 없이 내리고 있다.’라는 문장에서 왜 ‘-이’는 부사형 어미가 아니라 부사 파생 접미사인가요? 다른 부사절 예시들 보면 보통 전성어미잖아요. 100
042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vs 부사절을 안은 문장 102

- 공부 방법과 문제 풀이
043 분명 문법 개념은 아는데 문제를 풀면 틀려요. 어떡하죠? 104
044 맞은 문제는 어떻게 분석하나요? 틀리면 오답이라도 하는데, 그게 아니니까 뭘 공부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106
045 단어의 표준발음 자체를 잘못 알고 있는 경우 108

3 문학

- 운문
046 성찰의 기준이 무엇인가요? 반성하는 모습이 없어도 성찰이라 해도 되나요? 112
047 말을 건네는 방식 vs 대화 114
048 왜 A 시어가 B를 상징하나요? 116
049 가나다 형 지문이 엮어서 나오는 문제는 어떻게 풀어야 하나요? 118
- 산문
050 과거회상 vs 액자식 구성 120
051 우화 vs 우회 vs 우의 122
052 독백체 vs 대화체 124
053 소설에서 서술상의 특징 문제는 어떻게 풀어야 하나요? 하나하나 왔다 갔다 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요. 126
054 소설은 읽어도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요. 내용 정리 자체가 안 되어서 항상 내용 일치 문제도 틀려요. 특히 고전소설은 더 심해요. 128
055 소설 내용 일치에서 오래 걸리는데 어쩌죠? 130

- 공부 방법과 문제 풀이
056 문학은 어떻게 분석하고 복습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지문 분석도 어렵고 틀린 문제 오답할 것도 많지 않아서요. 132
057 문학 지문을 분석할 때는 강의처럼 다 하나하나 분석하는데 (표현법, 구절의 의미, 시어의 의미 등) 시험시간에 이 정도까지는 못 할 것 같아요. 그런데 지문을 읽긴 읽어야 하는데, 어느 정도까지 읽어야 할지 모르겠어요. 134
058 문학 보기 꼭 읽어야 하나요? 읽는다면 언제 읽어야 하나요? 136
059 시에서 선지를 판단할 때 제가 시를 맞게 해석했는지 확신이 없어요. 어떻게 해야 해석할 때 애매함을 없애고 정확하게 선지를 판단할 수 있을까요? 138
060 문학 보기 등한시하는 습관 142
061 2022 개정 수능에서 ebs 연계작품은 어떻게 공부해야 하나요? 연계율이 50%로 줄었는데 그래도 공부해야 하나요? 144
062 강의에서 배운 것을 어떻게 체화 하나요? (문학 기출 공부 방법) 146
063 문학에서 항상 두 선지 중에 고민하다가 틀리는데 어떡하죠? 148
064 EBS 비연계인 낯선 작품이 나오면 항상 틀려요. 남은 기간 동안 차라리 EBS 복습하는 게 나을까요? 150
065 아는 작품 나오면 안 읽어도 되나요? 152

4 독서

066-1 발문을 등한시하는 습관① 156
066-2 발문을 등한시하는 습관② 158
067 독서의 어휘 문제를 계속 틀리는데 어떡하죠? 160
068 예전 기출은 다 맞고 금방 읽는데, 요즘 기출은 읽다보면 뭔 소린지도 모르겠고 왜 이 말이 나왔는지도 모르겠어요. 계속 읽어도 모르겠어요. 162
069 지문을 읽을 때 자잘한 시공간적 배경에 꽂히는 경우가 많은데, 정보의 경중을 어떻게 따져야 하나요? 164
070 EBS 독서는 어떻게 활용해야 하나요? 꼭 풀어야 하나요? 166
071 비문학 지문에서 갑자기 독해가 안 되고 집중을 못 할 때는 어쩌죠? 168
072 문제 풀 때 비문학 하나를 꼭 다 못 풀어요. 비문학에서 너무 오래 걸리는 것 같아요. 170
073 지문을 읽고 문제를 풀러 가면 읽었던 걸 까먹는데 어쩌죠? 172
074 배경 지식은 어디까지 아는 게 좋은가요? 따로 정리하는 것이 좋은가요? 174
075 과학기술 지문에서 원리나 개념 나오면 이해할 때까지 ‘정독’하는 스타일인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그냥 읽고 넘어가면 아예 못 알아듣겠어요. 176
076 비문학에서 3점짜리 보기 문제를 항상 틀리는데 어떻게 풀어야 하나요? 178
077 비문학 내용 일치 문제를 유독 잘 틀리는데 어떻게 보완하는 게 좋을까요? 특히 사소한 수식 관계를 쉽게 놓쳐요. 181
078 지문을 제대로 읽었으면 정말 문제 풀 때 지문으로 아예 안 돌아가나요? 그게 가능한가요? 184
079 한 단락을 묶어 놓은 블록 문제는 거기만 읽고 풀어도 되나요? 186

5 고민 상담

- 공부
080 모의고사 어떤 순서로 풀어야 하나요? 190
081 개념은 언제까지 끝내야 하나요? ×× 강의는 언제까지 다 들어야 하나요? ××강의를 ×월까지 하면 너무 늦을까요? 192
082 배운 내용 정리하고 싶은데 들었던 강의 다시 들어도 되나요? 194
083 N회독은 어떻게 하는 건가요? 꼭 해야 하나요? 196
084 기출 풀 때 읽었던 지문은 기억이 나는데 어쩌죠? 실력 향상 때문이 아니라 지문과 작품이 기억이 나서 잘 푸는 느낌이 들어요. 198
085 조교님은 6, 9평까지 성적이 원하는 만큼 안 나왔을 때 어떻게 멘탈 잡으셨나요? 공부 방향성에 대해 회의감이 들어서 어떻게 해야 될지 모르겠어요. 지금부터 어떻게 마무리해야 하는지 조언 부탁드려요. 200
086 혼자 문제 풀 때와 실전에서 점수 차이가 너무 큰데 어쩌죠? 202
087 노베인데 무엇부터 할까요? 204
088 사설 모의고사는 언제부터 시작하나요? 사설 모의고사는 일주일에 몇 번 푸는 것이 적당한가요? 사설은 어느 정도까지 분석해야 하나요? 오답은 해야 하나요? 206
089 문제를 풀면 다 맞기는 하는데 항상 주어진 시간보다 더 걸려요. 어떻게 하면 빨라질 수 있을까요? 208
090 수능 당일에 시험 보기 직전에는 무슨 지문을 봐야 해요? 책은 뭘 가져가야 해요? 210

- 수험 생활
091 분명 오늘 할 일은 다 끝냈는데, 새로 배웠다는 느낌이 없어요. 다음날 되면 전날 무슨 공부 했는지도 기억 안 나고 시간만 흘러가는 것 같아요. 212
092 공부해야 하는데 체력이 안 좋아서, 자꾸 아파서 너무 힘들어요.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하나요? 214
093 너무 불안해서 공부가 안 되는데 어쩌죠? 216
094 문제집 추천해주세요! 218
095 ‘수미잡’이라는 걸 아는데도 사설 모의고사에서 점수가 안 나오면 너무 멘탈이 흔들리고 불안해요. 220
096 플래너는 어떤 것이 좋을까요? 그리고 어떻게 작성해야 하나요? 222
097 하루에 몇 시간 자야 하나요? 그리고 졸릴 때 어떻게 깨나요? 224
098 하루에 순수 공부시간 몇 시간 나와야 하나요? 226
099 원치 않는 스트레스를 받는데 어떡하죠? (ex 친구, 학원, 공부환경) 228
100 수험생활에서 정체기가 올 때, 공부하기 너무 싫을 때, 공부가 안될 때, 내가 슬럼프에 빠져있다고 느낄 때, 저는 어쩌죠? 따끔하게 쓴소리 해주세요. 231

부록

에필로그 9평 4등급→수능 1등급 기적의 공부법 236
후기 241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