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삼차원(3D)프린팅 혁신성장 추진전략 (양장)

삼차원(3D)프린팅 혁신성장 추진전략 (양장)

  • 지식산업정보원R&D정보센터
  • |
  • 지식산업정보원
  • |
  • 2021-04-22 출간
  • |
  • 628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91158621735
판매가

380,000원

즉시할인가

342,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42,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Ⅰ편 3D 프린팅 산업실태
제1장 국내외 3D 프린팅 산업현황과 정책동향
1. 국내외 3D 프린팅 산업현황 분석
1) 3D 프린팅 활용범위
(1) 개념
(2) 활용목적 및 범위
(3) 3D 프린팅 환경변화
가. 인식 변화
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
다. 보호무역 기조 강화
(4) 3D 프린팅 거시환경
2) 해외 3D 프린팅 산업분석
(1) 3D 프린팅 시장동향
가. 2020년 글로벌 3D 프린팅 주요 시장동향
(2) 부문별 시장동향
가. 장비
나. 소재
다. 서비스
(3) 응용산업별 활용동향
(4) 국가별 시장동향
가. 일본
나. 호주
다. 남아공
라. 미국
마. 중국
바. 인도
사. 브라질
아. 체코
자. 프랑스
차. 독일
3) 국내 3D 프린팅 산업분석
(1) 국내 3D 프린팅 기업현황
(2) 전체 시장규모
(3) 세부 시장별 시장규모
가. 세부 시장별 시장비중
나. 3D 프린팅 장비 시장
A) 전체 장비제조 시장
B) 보급용/산업용 3D프린터 시장비중
C) 3D프린터 기술방식별 시장비중
다. 3D 프린팅 소재 시장
라. 3D 프린팅 S/W 시장
마. 3D 프린팅 서비스 시장
3) 국내외 3D 프린팅 산업 비교분석
(1) 시장현황
가. 세부시장별 비중
나. 산업용 3D프린터 설치비중
다. 소재활용 비중
라. 응용산업별 활용비중
마. 3D 프린팅 활용용도
4) 국내외 글로벌 3D 프린팅 산업 트렌드
(1) 글로벌 3D 프린팅 산업 주요 트렌드
(2) 국내 3D 프린팅 산업 주요 트렌드
5) 3D 프린팅 산업 SWOT 분석
(1) 국내 3D 프린팅 시장 환경 분석
가. 국내 3D 프린팅 산업의 강점 요인
나. 국내 3D 프린팅 산업의 약점 요인
다. 국내 3D 프린팅 산업의 기회 요인
라. 국내 3D 프린팅 산업의 위협 요인
(2) 국내 3D 프린팅 산업 SWOT 매트릭스 구성
(3) 세부 정책과제 수립
2. 주요국 3D 프린팅산업 지원정책 동향
1) 미국
2) 독일
3) 중국
4) 일본
5) 국내
(1) 추진방향
(2) 주요 정책
(3) 관련 전략
(4) 「2021년 삼차원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가. 3D 프린팅 산업 현장 활용 가속화(214.5억원)
나. 차별적 기술력 확보(232.8억원)
다. 혁신·성장 중심 산업기반 고도화(521억원)

제2장 국내외 3D 프린팅 연구개발과 표준화 동향
1. 국내외 3D 프린팅 기술개발 및 연구현황
1) 기술 분류
2) 기술변화추이
3) 글로벌 연구개발 현황
(1) 3D 프린팅 특허현황
(2) 연구 현황
(3) 산업 활용 현황
(4) 활용 사례
가. 산업용 부품
나. 자동차
다. 의료
라. 항공·우주분야
마. 건축
4) 글로벌 3D 프린팅 생태계
(1) 생태계 구조
(2) 경쟁·협력 현황
5) 국내 3D 프린팅 활용기업 현황
(1) 3D 프린팅 장비구매 기업
가. 활용현황
A) 3D 프린팅 활용목적
B) 3D 프린팅 소재활용 현황
C) 3D 프린팅 활용성과
나. 장비 도입현황
A) 도입 장비유형
B) 비금속 3D프린터
C) 금속 3D프린터
D) 3D 스캐너/후공정기기
(2) 3D 프린팅 출력서비스 활용기업
가. 활용목적
A) 3D 프린팅 활용목적
B) 3D 프린팅 소재활용 현황
C) 출력서비스 활용성과
D) 출력서비스 제품을 통한 매출발생 여부
나. 장비수요 현황
A) 3D 프린팅 장비 신규도입 계획
B) 도입 장비유형
C) 장비 미도입 이유
2. 국내외 3D 프린팅 표준화 동향
1) 국제 표준화 현황
2) 국내 표준화 현황
3) 향후 추진전략

제Ⅱ편 3D 프린팅 차별적 기술력확보 및 활용가속화
제1장 3D·4D 프린팅용 유망신소재 연구개발 동향
1. 3D 프린팅 소재 분야 주요동향
1) 3D 프린팅 소재
(1) 3D 프린팅 소재 기술
(2) 소재 개발 필요성
(3) 재료에 따른 소재 분류 및 범위
2) 3D 프린팅 소재 중요성
3) 국내 3D 프린팅 소재 기술개발 현황
(1) 3D 프린팅 소재 기술 현황
(2) 소재별 기술개발 및 한계점
가. 폴리머 소재 기술개발
나. 금속 소재 기술개발
다. 세라믹 소재 기술개발
A) 접착제 분사 방식(BJ)
B) 분말적층 용융 방식(PBF)
C) 광중합 방식(PP)
D) 재료압출 방식(ME)
라. 바이오 소재 기술개발
A) 잉크젯 방식
B) 마이크로 압출 방식
C) 레이져 보조 방식
(3) 3D 프린팅용 유·무기 소재분야 연구개발 추진사례
가. 울산과학기술원
나.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라. 부산대학교
마. 한국기계연구원
(4) 플레이어 동향
가. 대기업 및 중견기업 동향
나. 중소기업 동향
(5) 국내 기술 경쟁력 분석
(6) 국내 플레이어 특허 동향
가. 출원 동향
A) 연도별 출원 동향
B) 국가별 출원 동향(건수)
나. 주요 등록 특허
A) 한국생산기술연구원
B) 한국과학기술연구원
C) 한국전자기술연구원
4) 해외 3D 프린팅 소재 기술개발 현황
(1) 기술개발 동향
(2) 플레이어 동향
(3) 해외 플레이어 특허 동향
가. 출원 동향
A) 연도별 출원 동향
B) 국가별 출원 동향(건수)
나. 주요 등록 특허
A) HEWLETT-PACKARD(HP)
B) 3D Systems
C) VELO3D
5) 3D 프린팅용 유·무기 소재 시장분석
(1) 세계 시장
(2) 국내 시장
2. 3D 프린팅 폴리머 소재 특성 연구동향
1) 3D 프린팅 플라스틱 소재 연구
(1) 3D 프린팅용 광경화성 소재 및 응용
(2) 3D 프린팅용 열가소성 소재 및 응용
(3) 소재개발 추진방향
2) 유무기 하이브리드 SLS 3D 프린팅 소재 연구
(1) 실험
(2) 실험 결과
(3) 결론
3. 3D 프린팅 금속소재 특성 연구 동향
1) 금속소재 개발 및 기능성 코팅을 위한 3D 프린팅 기술
(1) 새로운 금속소재 개발 및 DED 기술을 이용한 기능성 코팅
(2) DED 기술 동향
(3) 미래 요소 기술
2) 적층제조(3D 프린팅) 금속분말의 제조 방법과 평가기술
(1) 적층제조용 금속분말 제조 기술
(2) 적층제조용 금속분말의 평가
가. 조성(composition)
나. 분말입도 분포도(particle size distribution)
다. 겉보기 밀도와 탭 밀도(apparent/tap density)
라. 유동도 측정(flow rate)
마. 내부 기공 관찰
(3) 시사점
3) 고기능성 금속분말 주요동향
(1) 범위 및 분류
가. 가치 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산업 분석
가. 금속 3D 프린팅 활용 사례 확대
나. 기능성 금속 분말 제조 기업의 수직계열화 및 대기업화 가속
다. 기능성 금속 분말 산업의 다각화
(3) 시장 분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4) 기술개발 이슈
가. 고기능성 금속분말의 수율 향상과 가격경쟁력 확보
나. 고기능성 금속 분말로 제조된 부품의 특성 향상 및 가격경쟁력 확보
다. 기능성 금속 부품 연구 이슈
라. 국내 금속분말 개발을 위한 정부 기반 연구 개발 추진
(5) 관련 업체 기술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6) 특허 동향
가. 특허동향 분석
A) 연도별 출원동향
B) 국가별 출원현황
나. 주요출원인 분석
4) 주철 부품 보수 및 유지를 위한 금속 3D 프린팅용 소재 연구
(1) 금속 DED 3D 프린팅 기술 주철 보수 및 유지 적용 동향
(2) 금속 적층 분말 주철 부품 유지 및 보수 적용 사례
가. Ni계 합금
나. Fe계 합금
다. 경사 기능 재료
(3) 결론
4. 3D 프린팅 세라믹 소재 특성 연구 동향
1) 고분자를 통한 세라믹 3D 프린팅 기술
(1) 세라믹 3D 프린팅 기술의 시작과 발전
가. 광경화 세라믹 3D 프린팅
나. 열경화 세라믹 3D 프린팅
(2) 고분자의 직접 변환을 이용한 새로운 방식의 세라믹 3D 프린팅
(3) 결론 및 시사점
2) 3D프린터용 세라믹 분말 주요동향
(1) 3D프린터용 세라믹 분말 개요
가. 정의
나. 필요성
(2) 산업 분석
가. 전 세계적으로 경쟁 초기 단계
나. 의료분야 3D 프린팅 산업
다. 기타분야 3D 프린팅 산업
(3) 시장 분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4) 관련 업체 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5)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6)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주요 출원인 분석
5. 3D 프린팅 바이오 소재 특성 연구 동향
1) 대나무/PLA 바이오복합재료 개발 연구
(1) 재료 및 방법
가. 공시재료
A) 대나무(Bamboo)
B) Poly Lactic Acid(PLA)
C) 커플링제(Coupling agent)
나. 대나무의 분쇄
다. 샘플 제조
A) Silane 처리
B) 재료 혼합 및 대나무/PLA 바이오복합재료 제조
C) 인장 시편 제작
D) 3D 프린터용 대나무/PLA 필라멘트 제작
라. 실험 방법
A) 인장강도 시험
B) 제작된 필라멘트 외관 및 현미경 관찰
C) 3D프린터 출력
(2) 결과 및 고찰
가. 인장특성
나. 대나무/PLA 필라멘트 외형 및 현미경 관찰
다. 3D프린터 출력
(3) 결론
2) 의료·바이오프린팅 및 프린팅소재 기술 동향
(1) 의료용 프린팅 기법
(2) 의료용 프린팅 소재
(3) 바이오프린팅 기법
(4) 바이오잉크
6. 4D 프린팅과 스마트 소재 기술동향
1) 4D 프린팅 특징
2) 4D 프린팅과 스마트 소재
(1) 스마트 소재의 종류
(2) 스마트 소재의 프린팅 가능성
3) 4D 프린팅과 스마트 구조
(1) 오리가미
(2) 키리가미
(3) 메타물질
(4) 기타
4) 4D 프린팅 설계 및 프린팅
(1) 다물질 3D 프린팅
(2) 설계 및 시뮬레이션
5) 국내 및 해외 현황
(1) 국내
(2) 해외
6) 4D 프린트 시장 성장성 전망

제2장 3D 프린팅 신공정 기반 장비 개발과 활용 사례
1. 3D프린터 핵심요소 기술 분석
1) 3D프린터 핵심기술
(1) 장비
(2) 소재
(3) S/W
2) 3D프린터 활용 제조 프로세스
(1) 3D모델링
(2) 프린팅 공정 : 서포터 설계
(3) 프린팅 공정 : ME 방식
(4) 프린팅 공정 : PBF 방식
(5) 프린팅 공정 : DED 방식
(6) 후처리 공정
3) 3D프린터 기술 응용동향
(1) 적층공법을 통한 기존 제조 시스템 개선
(2) 산업용 제조 부품
(3) 의료/바이오 부품
4) 3D프린터 업계환경
(1) 업계 현황
(2) 해외 참여 기업 동향
가. 미국/Stratasys
나. 미국/3D Systems
다. 독일/EOS
라. 독일/Siemens
마. 미국/HP
바. 미국/GE Additive
사. 중국/Revotek
아. 미국/Organovo
(3) 국내 참여 기업 동향
가. 헵시바
나. 센트롤
다. 로킷
라. 캐리마
마. 인스텍
바. TPC 메카트로닉스
사. 윈포시스
2. 3D 프린팅 장비/공정 연구·개발 동향
1) 국내 대형 3D프린터 개발
(1) 지능형 대형 3D프린터 개발
가. 대형 3D프린터 개발
나. 바닥면의 제어기술 개발 및 정밀 측정
A) 광원부 구성
B) 평행광 발생기 구성
C) 광분할 기구부 구성
D) 영상처리부 구성
다. 실험결과 및 고찰
라. 결론
(2) 대형 샌드 3D프린터 개발
(3) 대형 금속 3D프린터 개발
(4) 산업용 대형 3D프린터 개발
2) 다종복합소재 압출식 DLP 3D프린터 개발
(1) 기술 개요
(2) 장치 구성
가. 압출용 시린지 및 조형 베드
나. 광경화 DLP 프로젝터
다. 소재 블레이드 및 세척부
라. 복합소재 제작
마. 적층 공정
(3) 실험 및 분석
가. 결과물 분석
나. 인장시험
다. 인장시험 결과
라. 이종소재 출력
(4) 결론
3) 금속 3D 프린팅 공정 기반 기술동향
(1) 금속 적층제조 기술 최신 이슈
가. 와이어를 활용하는 DED 기술
나. Binder Jetting
다. Material Extrusion
(2) 3D 프린팅 기반 금형 제조 기술
가. 금형산업에서 3D 프린팅 기술 활용
나. 금형 산업의 수요/공급 체계
다. 수요 기반의 요구 기술
라. 공급 기반의 요구 기술
마. 국내외 개발 사례
(3) 선재 아크 용접기법을 이용한 차세대 금속 프린팅 기술현황
가. 선재 아크 용접기법
나. 국내외 기술 현황
다. 전망 및 이슈
A) WAAM 재료 특성화
B) WAAM 공정의 실시간 제어
C) WAAM 재료, 공정, 파트의 품질
D) WAAM 시스템 및 통합
4) 나노 두께 구조물 만드는 3D 프린팅 기술
5) 적층 제조를 활용한 재제조 기술
(1) 재제조 산업
(2) 적층 제조 기술을 활용한 재제조 기술
6) 하이브리드 3D 프린팅공정 기술동향
(1) 하이브리드 3D 프린팅공정
(2) 하이브리드 3D 프린팅 주요 기업 및 제품 현황
가. Optomec社
나. Solidscape社
다. Hyrel 3D社
라. nScrypt社
마. Hybrid Manufacturing Technologies社
바. 3D-hybrid solutions社
사. Fabrisonic社
아. Thermwood社
7) 세라믹 3D 프린팅 기술과 공정
(1) 슬러리 기반 기술
가. 입체석판인쇄술(SLA; Stereolithography)
나. 디지털 광 처리 기술(DLP; Digital Light Processing)
다. 잉크젯 인쇄 기술(IJP; Inkjet Printing)
라. 직접 잉크 기록 기술(DIW; Direct Ink Writing)
(2) 분말 기반 기술
가. 삼차원 인쇄 기술(3DP; Three Dimensional Printing)
나. 선택적 레이저 소결 기술(SLS; Selective Laser Sintering)
다. 선택적 레이저 융해 기술(SLM; Selective Laser Melting)
(3) 벌크소재 기반 기술
가. 개체 접합 조형 기술(LOM; Laminated Object Manufacturing)
나. 용융적층 모델링 기술(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4) 바이오 세라믹과 3D 프린팅


제3장 3D 프린팅 S/W개발과 신기술 융합사례
1.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개발 동향
1) 3D 프린팅 소프트웨어의 개발 방향
(1) 일반 사용자를 위한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2) 산업용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3) 적층 제조 특화 설계를 위한 통합 소프트웨어 솔루션
2) 적층 제조 특화 설계(DfAM)
(1) 적층 제조 공정의 복잡도
(2) 위상 최적화를 사용한 제품 경량화 기술
(3) 부품 일체화 설계 및 제조 기술
(4) 미세 구조물을 적용한 기능성 제품 설계 기술
(5) 내부 구조물을 사용한 기능성 강화 기술
(6) 다중 재료 복합 설계 및 제조 기술
2. 금속 3D 프린팅 통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연구
1) 금속 3D 프린팅 공정 모니터링
2) 통합SW 개발 Framework 제안 모델
(1) 제안 3D 프린팅 모니터링 Framework
(2) 금속프린팅 모니터링 HW 설계
(3) 금속프린팅 통합 모니터링 SW 개발
3. 금속 3D 프린팅 적층제조 공정 시뮬레이션 기술동향
1) 금속 3D 프린팅 프로세스를 위한 시뮬레이션
(1) 금속 3D 프린팅 프로세스 시뮬레이션의 필요성
(2) 금속 3D 프린팅 프로세스 해석 방법론
(3) 금속 3D 프린팅 공정 시뮬레이션
가. 적층 공정(Additive Manufacturing) 해석
나. 열처리(Heat Treatment) 해석
다. 서포트 절단(Cutting) 및 제거(Remove)
라. HIP(Hot Isostatic Press)
마. 공정 설계 및 최적화
바. 변형 보상 설계
2) AM 공정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3) AM 공정 시뮬레이션 프로세서
4) AM 공정 시뮬레이션 방법
4. 3D 프린팅 기반 부품 유지보수 지원시스템 연구
1) 연구 배경
2) 3D 프린팅 기반 부품 유지보수를 위한 제작 조건 검색시스템
(1) 제작 조건 검색 시스템의 개념
(2) 제작 조건 관련 정보 요구
(3) 제작 조건 검색 시스템의 구성
3) 3D프린터 활용 부품 제작 조건 데이터 구조 및 관리
(1) 제작 조건 데이터 구조
(2) 제작 조건 데이터의 관리
4) 구현 및 실험
5) 결론
5. 4차 산업기술 연계 3D 프린팅 연구동향
1) 3D프린터 다중 관리를 위한 IoT 시스템 설계
(1) 연구 배경
(2) 3D프린터 출력 기술 및 원격관리 기술
(3) 3D프린터 다중 관리를 위한 IoT 디바이스 설계
가. 다중 관리를 위한 IoT 디바이스 설계
나. PC-OS 중앙 관리 시스템 설계
다. 하드웨어 센서 보조 관리 시스템 설계
라. 사용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설계
(4) 결론
2) 3D 프린팅 제조에 적용된 인공지능 기술 동향
(1) 개요
(2) 신경망(Neural Network) 인공지능 기술
가. 신경망 기법
나. 신경망 적용
A) 실시간 현장 모니터링
B) 공정-재료 특성과 성능의 상관관계
다. 난관 및 해결 방안
A) 이용 가능한 데이터
B) 데이터 라벨링
C) 공정에 부합되는 특성치 선정
D) 과도 맞춤 및 빈약 맞춤
(3) 향후 연구 방향
가. 데이터 확보 및 전처리
A) 체계 및 통일화된 데이터 확보 및 공유
B) 데이터 전처리
나. 센싱
A) 하드웨어
B) 소프트웨어
C) 제어 및 최적화
D) 모델화 및 예측
(4) 결론
3) 비전 인식 기반의 검사 기능을 갖는 3D프린터시스템 연구
(1) 연구 배경
(2) 비전 인식 기반의 검사 기능을 갖는 3D프린터 시스템
가. 3D프린터 시스템 구조 및 설계
나. 비전 인식 기반 검사 기능
다. 안정적 영상 획득 방법
(3) 3D프린터 개발 및 성능 분석
가. FDM 방식 3D프린터 개발
나. 3D프린터 성능 분석
다. 비전 인식 검사 성능 분석
(4) 결론 및 향후 과제
4) 3D프린터용 대용량 데이터 처리기술 개발
(1) 연구 배경
(2) 관련 연구
가. 3D 프린팅
나. 아파치 하둡
(3) Hadoop에서 3D 모델 데이터를 G-code로 변환
가. 3D 모델과 G-code
나. G-code 생성 알고리즘
다. Hadoop을 이용한 변환 작업
A) 전처리
B) 데이터 노드에서 Map
C) Shuffling
D) Reduce
라. G-code 포맷
(4) 변환 결과
(5) 결론

제4장 의료·바이오 3D 프린팅 응용기술 연구동향
1. 의료용 3D 프린팅 주요동향
1) 의료용 3D 프린팅
(1) 기술 분류
(2) 의료용 3D 프린팅 프로세스
(3) 기술 발전 동향
(4) 오픈소스 툴
가. 3D프린터
나. 3D CAD 모델
다. Slicing 소프트웨어
라. 리소스
2) 의료용 3D 프린팅 주요 응용 분야
(1) 시뮬레이터/수술 가이드
가. 시뮬레이터
나. 수술 가이드
(2) 맞춤형 의료보형물
(3) 조직 재생용 지지체
(4) 바이오프린팅(조직/ 장기)
(5) ‘인공장기 및 신체조직’ 분야 기술 동향
(6) ‘치과보철물 및 인공지지체’ 분야 기술 동향
3) 국내외 기업 동향
(1) 글로벌 기업 동향
(2) 국내 기업 동향
4) 국내외 시장 동향
5) 3D 프린팅 기반 의료?바이오기술 정책 동향
(1) 글로벌 정책 동향
가. 미국
나. 유럽
(2) 국내 정책 동향
6) 3D 프린팅 기반 의료?바이오기술 R&D 투자동향
2. 3D프린터를 이용한 의약개발 연구동향
1) 경구 제형
2) 경피 제형
3) 삽입 제형
3. 의료용 3D 스캔 모듈 기술 주요동향
1) 개요
(1) 정의
(2) 필요성
(3) 범위 및 분류
가. 가치 사슬
나. 작동 방식별 분류
2)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환경 분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3) 생태계 기술 동향
(1) 해외 플레이어 동향
(2) 국내 플레이어 동향
4) 특허 동향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출원현황
(3) 주요 출원인 분석
5) 3D 프린팅 및 스캐닝 표준화
(1) 신규표준화항목 주요내용
가. 3D 프린팅 및 스캐닝-의료 영상 기반 모델링-제1부: 일반 요구사항
나. 3D 프린팅 및 스캐닝-의료 영상 기반 모델링-제2부: 분할
(2) JTC 1/WG 12(3D 프린팅 및 스캐닝) 개요 및 국제표준화 현황
가. ISO/IEC JTC 1/WG 12 개요
나. ISO/IEC JTC 1/WG 12 관련 우리나라 주도 국제표준화 현황
4. 의료용 3D 프린팅 소재관련 연구
1) 고강도 소재를 활용한 적층 제조 기술동향
(1) Ti 기반 의료 분야 적층 제조 응용
가. 3D Printer로 제작된 인공뼈 구조에 대한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시험편 제작
B) 중량 측정 결과
C) 굽힘 응력 측정
D) 굽힘 응력에 대한 중량의 비
E) 처짐량에 대한 하중값의 증가
F) 처짐량과 하중 값에 대한 중량의 비
G) 파단면 관찰 결과
(2) PEEK 기반 의료 분야 적층 제조 응용
2) 의안 제작을 위한 광경화 방식 3D프린터에 적용 가능한 소재 연구
(1) 연구 배경
(2) 의안 모형 제작에 적용 가능한 소재 탐색
(3) 선정된 소재에 따른 3D프린터 최적화
(4) 연구 결과
가. 후보소재의 실험 결과
A) 생물학적 안전성 실험 결과
B) 열 안정성 실험 결과
나. 의안 모형 제작에 적합한 소재 선정
다. 선정된 소재에 따른 3D프린터 최적화
A) 높은 점도 특성에 따른 열선 제작 및 설치
B) 파장 영역 특성에 따른 DLP 광학 엔진 개선
(5) 결론
3) 연질재료 활용 3D 프린팅 기술과 지질 기반 약물 전달 시스템의 잠재성
(1) 연질 재료 3D 프린팅 기술의 현재
가. 연질 재료 3D 바이오 프린팅
나. 식품 산업에서의 연질 재료 3D 프린팅
다. 의약 산업에서의 연질 재료 3D 프린팅
(2) 지질 기반 약물 전달 시스템의 잠재력
(3) 현 기술의 한계점
4) 지르코니아 3D 프린팅 출력물의 후처리 공정 온도 변화에 따른 특성 연구
(1) 연구 배경
(2) 후처리 공정
가. 탈지(Debinding) 공정
나. 소결(Sintering) 공정
(3) 실험 방법
(4) 결론
5. 3D 바이오프린팅 주요동향
1) 3D 바이오프린팅 기술
(1) 세포프린팅 소재 기술
(2) 3D 바이오프린팅을 이용한 질병 모델링 기술
가. 간 모델
나. 근육 모델
다. 내장 모델
라. 암 모델
(3) 체적 바이오프린팅(Volumetric bioprinting) 기술
가. 체적 바이오프린팅의 원리와 특징
나. 체적 바이오프린팅의 응용
2) 3D 프린팅 바이오프린팅 연구·개발 사례
(1) 3D 바이오 도트(dot) 프린팅
가. 연구 배경
나. 연구 내용
다. 기대 효과
(2) 각막
(3) 유방
(4) 식도 스텐트
(5) 3D 프린팅 조직재생 하이드로겔
3) 3D 바이오프린팅 산업현황
(1) 3D 바이오프린팅 산업의 Value Chain
(2) 3D 바이오프린팅 시장현황
가. 3D 바이오프린팅 장비
나. 3D 바이오프린팅 시약(소재)
다. 3D 바이오프린팅 응용기반 시장
(3) 3D 바이오프린팅 기업동향

제5장 시장 지향 3D 프린팅 활용 기술개발 동향
1. 자동차 분야 3D 프린팅 활용사례
1) 자동차 응용분야별 3D 프린팅 활용현황
(1) 해외 활용 현황
(2) 국내 활용 현황
2) 대량생산 기반의 3D 프린팅 활용사례
(1) 부가티(Bugatti): 티타늄 브레이크 캘리퍼
(2) BMW: 2018 BMW i8 로드스터(Roadster) 브래킷
(3) BMW: 2019 BMW i8 로드스터(Roadster) 창문 가이드레일
(4) XEV-폴리메이커(Polymaker): 3D 프린팅 전기차 ‘LSEV’
2. 항공·우주분야 3D 프린팅 활용사례
1) 액체로켓엔진 제작을 위한 적층제조 기술 동향
(1) AM 적용 사례
가. 미국의 NASA
나. 유럽의 ESA
다. 일본의 JAXA
2) 발사체 소형엔진용 적층제조 기술 동향
(1) AM을 이용한 연소기 개발 동향
가. 미국에서의 AM 연소기 개발 동향
나. 유럽에서의 AM 연소기 개발 동향
(2) AM을 이용한 터보펌프 개발 동향
가. 미국의 AM 터보펌프 개발 동향
나. 유럽의 AM 터보펌프 개발 동향
다. 일본의 AM 터보펌프 개발 동향
(3) AM을 이용한 국내 엔진 부품 개발 동향
3) 항공ㆍ우주 산업 3D 프린팅 기업별 활용사례
3. 발전·에너지 분야 3D 프린팅 활용사례
1) 3D 프린팅 기술의 원전 적용 고찰
(1) 3D 프린팅 기술의 원전 적용 요건
가. 원전 기기 및 부품 적용 체계
나. 원전 적용 선결 요건
(2) 3D 프린팅 제조품의 원전 적용
(3) 원자로 핵심 부품 해외기술 동향
가. 미국
나. 영국
다. 기타
2) 터빈 분야 3D 프린팅 적용 기술동향
(1) 3D 프린팅을 활용한 가스 터빈 고온부품 냉각기술
가. 가스 터빈 고온 부품 냉각 기술 개발의 필요성
나. 3D 프린팅을 활용한 가스 터빈 고온 부품 개발 동향
다. 3D 프린팅을 활용한 고온 부품 냉각 기술 연구 사례
(2) 가스 터빈 엔진 성능 개선을 위한 3D 프린팅 기술 활용 사례
가. 가스 터빈 엔진 발전 동향 및 3D 프린팅 기술의 활용
나. 가스 터빈 엔진 3D 프린팅 기술 활용 연구 개발 사례
다. 기술적 난제 및 극복을 위한 고려 사항
4. 센서 융합형 지능형 부품제조를 위한 적층제조 기술연구
1) 고분자 적층 성형 센서 내장 기술
2) 금속 적층 성형 센서 내장 기술
3) 세라믹 적층 제조 센서 내장 기술
5. 식품분야 푸드 3D 프린팅 주요동향
1) 식품 3D 프린팅 기술 연구배경
2) 식품 3D프린터에 적용 가능한 재료
(1) 식품 3D 프린팅 식품원료
(2) 3D프린터에 적용 가능한 base material 조건
(3) Base material에 적용 가능한 재료
3) 식품 3D 프린팅 개발동향
(1) 식품 3D 프린팅의 동향
(2) 식품 3D 프린팅의 발전방향
4) 국내외 3D 푸드 프린터 시장
6. 디자인의 3D 프린팅 융합사례와 특성연구
1) 패션디자인 분야
(1) (Attached) 오브제 부착형
(2) 연결(Linkage)형
(3) 키네매틱스(Kinematics)형
(4) 조립(Assembly)형
2) 주얼리 분야
3) 가구 분야

제Ⅲ편 3D 프린팅 산업기반 고도화
제1장 3D 프린팅 안전강화 및 선도인재 육성
1. 3D 프린팅 방출가능 유해물질과 환경 영향
1) 방출가능 유해물질
2) 3D 프린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1) 연구 배경
(2) 3D 프린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가. 3D 프린팅 방법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나. 3D 프린팅의 재료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다. 3D프린터의 활용 방법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3) 친환경적 3D 프린팅을 위한 노력
(4) 결론
2. 3D 프린팅 선도인재 육성
1) 추진 배경
2) 3D 프린팅 인력양성 관련 수요 분석
3) 국내외 3D 프린팅 인력양성 현황
(1) 해외 인력양성 현황
가. 글로벌 3D 프린팅 공급기업의 인력양성 프로그램
A) EOS(독일)
B) 머티리얼라이즈(벨기에)
C) 스트라타시스(미국)
나. 해외 대학의 인력양성 프로그램
A) MIT(미국)
B) 중국과학원대학교/University of Chinese Academy of Science(중국)
다. 해외 기타 기관의 인력양성 프로그램
(2) 국내 인력양성 현황
가. 국내 대학의 인력양성 프로그램
A) 폴리텍 대학 ’3D 프린팅융합디자인학과‘ 등
B) 창원대학교 ‘3D적층제조기술 전문인력 양성과정’
C) 교통대학교 ’환자 맞춤형 의료기기 제작 실습 교육‘
나. 3D 프린팅 관련 기업의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
A) 인텔리코리아 ‘의료ㆍ바이오분야 3D 프린팅 전문교육’
B) 글룩
다. 3D 프린팅 관련 기관의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
A) 정보통신산업진흥원 ‘3D 프린팅 전문인력 양성 교육’
B) 인천산학융합원 ‘메탈 3D 프린팅 교육’
4) 시사점

도표/그림 목차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