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대승불교 흥기시대 인도의 사원 생활 (양장)

대승불교 흥기시대 인도의 사원 생활 (양장)

  • 그레고리쇼펜
  • |
  • 운주사
  • |
  • 2021-04-19 출간
  • |
  • 384페이지
  • |
  • 152 X 224 mm
  • |
  • ISBN 9788957466407
판매가

23,000원

즉시할인가

20,7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0,7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1.
일반적으로 서기 1~5세기는 대승불교가 기존의 부파불교를 능가하며, 매우 눈부시게 활동한 시대라고 보는 것이 인도 불교사에서 정설로 인정된다. 하지만 ‘과연 대승불교가 당시 그 정도의 세력을 가진 존재였을까?’라고 의문을 던짐으로써 저자는 전혀 새로운 사실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일본 오타니(大谷) 대학교에서 1996년 11월과 1997년 10월, 각각 2주간에 걸쳐 그레고리 쇼펜(Gregory Schopen) 교수가 「대승불교 흥기 시대 인도의 사원불교에 대해서(Monastic Buddhism in India During the ‘Mah?y?na’ Period)」라는 주제로 발표한 특별세미나의 강의록과 강연 원고를, 그의 보좌역을 맡았던 오다니 노부치요 교수가 일본어로 번역하여 책으로 묶은 것을 다시 우리말로 번역한 것이다.
이 책은 대승불교의 기원에 대한 논쟁을 새로운 방식으로 다룰 뿐만 아니라 1세기부터 4 · 5세기에 걸친 시대의 불교 교단에 대한 상황이나 비구의 생활실태에 대해, 소승의 계율서 중 하나인 『근본설일체유부율』에 기초하여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여기에 소개하는 율장에는 예상과는 전혀 다른 비구들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기존까지 비구는 3의衣 1발鉢과 여수낭濾水囊과 좌구坐具 등 최소한의 물건 이외에는 재산을 사유하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해 왔다. 그러나 실제로는 상당히 고가인 장식품까지 소유했었음을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 학습이나 명상에 몰두했을 것으로만 여겨졌던 비구들이 현실에서는 건축 일을 감독하거나 금융업과 관련된 일을 했으며, 사원 안팎에서 실로 다양한 업무에 종사했었다는 것까지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

2.
이 책에서는 일본판과 달리 오다니 노부치요의 「후기」를 본문 앞에 배치하였다. 후기에는 저자인 쇼펜 교수 개인에 대한 이해와 그의 불교학 방법론과 대승불교에 대한 견해가 소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해 이해하고 본문을 읽는다면 훨씬 쉽고 재미있으리라고 한국 역자가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 책의 내용을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서장에서는 인도와 중국에서의 불교 전개를 개괄하면서, 중국불교에 대한 자료가 오히려 인도 초기 대승의 역사적 상황을 이해해보려는 시도에 너무 큰 오해와 피해를 가져왔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대승불교는 인도에서는 오히려 주변적이었고, 중국에 와서야 주류로 발전하였다고 본다.
제1장 ‘『근본설일체유부율』의 위치 매김’에서는 『근본설일체유부율』의 성립 연대와 편찬 의도, 그리고 사원을 둘러싼 물적 예증을 미술품과 비문碑文, 문자가 새겨진 일용품 등을 통하여 고찰하고 있다.
제2장 ‘교단사에서 경제가 갖는 의미’에서는 『근본설일체유부율』에 나타나는 기부에 대한 비문을 계기로 당시 교단의 실제적인 경제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서양에서의 수도원과 물질적 번영의 의미를 역사적으로 다루면서 이를 당시 인도에서의 불교교단과 비교하고 있다.
제3장 ‘인간은 그가 소유하고 있는 물건이다’에서는 2장에 이어 서구 가톨릭 수도원의 사유재산에 대한 규칙을 중심으로 소개한 뒤, 『근본설일체유부율』에서 언급한 사유재산에 대한 규정과 당시 비구들의 사례들을 소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동서양을 막론하고 우리가 생각하는 바와 달리 수도자들이 상당한 사유재산을 소유하고 있었음을 증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4장 ’비구의 업무와 생활을 위한 노동’에서는 비구들이 해야 할 업무와 금지해야 할 업무 목록을 소개하고 있다. 재미있는 것은, 비구들이 우바새와 똑같이 사원을 짓고, 침구를 기부하고, 영구기부금을 마련하고, 사리탑을 세우고, 여기에 양산 · 기· 번을 세우고, 백단이나 사프란을 칠하는 등의 업무가, 우리가 당시 비구의 의무사항이라고 여기는 안거나 명상보다 더 우선시되었다는 것이다.

3.
이처럼 이 책은 『근본설일체유부율』을 중심으로 당시 교단과 비구들의 실제 생활을 자세히 밝혀냄으로써 실로 인간 냄새 나는 비구들의 실제 일상생활을 밝혀내고 있다. 뿐만 아니라 히라카와 아키라(平川彰)에 의해 제기된 ‘대승불교 불탑 교단 기원설’에 대해 전면적으로 비판하고, 아울러 ‘대승불교 주변 지역 기원설’을 통해 인도에서 대승불교가 적어도 4세기 전까지는 명확한 교단으로 존재하지 않았다는 학설을 제시하는 등, 대승불교 기원에 있어 기존의 정설을 반박하고 획기적이면서도 실제적인 새로운 학설을 제기했다는 점에서 크게 주목받는다. 이 책을 통해 독자는 초기 대승불교의 기원과 비구들의 실제 생활에 대해 좀 더 진실에 가깝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역자 머리말·5
일본어 역자후기·7
일본어 역자 서문·27

서장. 인도와 중국에서의 불교 전개 39
-병행·선후 관계의 부재

제1장 『근본설일체유부율』의 위치 매김 75

1. 『근본설일체유부율』의 성립 연대·75
1) 율에 대한 관심과 샤꺄무니의 이미지·75
2) 카니슈카 예언의 해석·84
3) 『대지도론』 편찬의 흔적·93

2. 『근본설일체유부율』을 편찬한 의도·98
1) 편찬자의 목소리·98
2) 4가지 연대층·113
3) 역사적 붓다의 실재성이 의심받고 있는 것에 대한 반론으로서의 관용구·115

3. 『근본설일체유부율』과 사원을 둘러싼 물적 예증·121
1) 간다라 미술과의 일치·121
①역사와 미술의 접점·121
②붓다와 두개골 두드리기·126
③연화수蓮華手 자세?·131
2) 쿠샨 왕조시대 인도 북부의 비문과 일치·152
①안거보다 중요한 의무義務와 관련된 기술記述·152
②동료 비구의 건강을 기원하는 비문·156
③쁘라하니까(pr?h??ika)라는 비구의 관칭冠稱·161
④trope(修辭語句, 典禮文中의 語句)·162
⑤‘삼장을 이해하는 자’라는 관칭冠稱·168
3) 쿠샨 왕조시대 인도 북부지역의 사원유적과 일치·174
①문자가 새겨진 일용품·174
②수리실水利室·176
③인장印章과 인영印影·179
④향실香室·188


제2장 교단사에서 경제가 갖는 의미 207

1. 『근본설일체유부율』과 사원경제·207

2. 서양에서의 ‘수도원 제도’의 연구사·211
1) ‘수도원 제도’의 교의(敎義, prototype)·211
2) 이집트·소아시아 수도사의 실상·212
3) 기번(E. Gibbon)의 서양 수도원 사관史觀과 커닝엄(A. Cunningham)의 불교 교단 사관·215

3. 수도원과 물질적 번영의 의미·219
1) 수도원의 위기를 초래한 것·219
2) 수행 생활을 보장하는 것·223

제3장 인간은 그가 소유하고 있는 물건이다 235
-승가에서의 지위와 소유물

1. 기독교의 수도사 이미지·235
1) 사유재산에 대한 규칙·235
①바실리오 규칙·235
②아우구스티누스의 규칙·238
③베네딕트의 규칙·239
2) 사유재산을 포기하지 않은 수도사들·241

2. 비구와 사유재산·244
1) 금은의 조항·244
①금은 이외의 귀금속·244
②비구는 금은을 ‘소유’할 수는 있지만, ‘손으로 잡는’ 것은 할 수 없다·247
③사미는 금은을 ‘손으로 잡을’ 수는 있지만 ‘소유’할 수 없다·249
2) 금전과 관련된 기술·251
①비구와 금전의 소유·251
②비구가 부자였다는 증거·259

3. 『근본설일체유부율』에서 언급한 사유재산·260
1) 비구는 손해를 보상할 의무가 있었다·261
2) 비구의 소지품도 과세 대상이었다·261
3) 비구는 부채를 갚을 능력이 있다고 생각했다·263
4) 지명指名하여 기부한 것을 받으면 그 비구 개인의 것이 되었다·264
5) 비구는 인장을 가지고 있었다·266
6) 비구들은 도둑 맞은 물건을 다시 샀다·267
7) 상속권에 대한 규칙·268
①비구의 유산을 구두로 상속받으면 인정받지 못했다·268
②비구의 유산 상속에 대한 다양한 항목·271
③건축지도감독관이었던 비구의 유산 분배·273
④임종을 지켜본 비구의 상속권·277

4. ‘복덕’의 의미·279
1) 부자로 유명했던 비구들·279
2) 가난해서 세상에 알려지지 못한 비구들·284
3) 유명한 비구와 무명인 비구·286
4) 붓다도 샤리뿌뜨라도 마우드갈야야나도 마하까샤빠도 부자였다·289

제4장 비구의 업무와 생활을 위한 노동 297

1. 다양한 업무와 금지된 업무·297
1) 비구의 업무 목록(1)·297
2) 출가 이전에 했던 일은 금지·299
3) 비구의 업무 목록(2)·300

2. 업무와 안거·303
1) 업무는 안거보다 중요하다·303
2) 안거 중 외출할 수 있는 기간·310
3) 안거 중에는 어떤 일을 했을까?·311

3. 명상과 독송·314
1) 비구의 업무와 명상·독송과의 관계·314
2) 명상·독송과 관련된 다양한 잡일·324

4. 기부 받기를 유도하는 여러 가지·331
1) 명상과 독송·331
2) 사원의 미술품·333
3) 승가가 소유한 고가高價의 부동산·337
4) 사원이 위치한 자연환경의 아름다움·339
5) 청소와 설법·342
6) 윤회도·348
7) 개인이 소유한 불교미술·354

5. 사원을 방문한 사람들이 보았던 것·357
1) 늦잠꾸러기와 시간만 보내는 비구·357
2) 사원을 유지 관리하거나 건축 업무에 종사하는 비구·358
3) 공개적으로 하는 독송·359
4) 눈에 띄지 않는 곳에서 하는 일·364

6. 자신의 업무에 대한 비구들의 인식·366

7. 앞으로의 연구 과제·369

찾아보기·373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