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NCS 기반 강의자료 개발하고 활용하는
실무 위주의 교수 방법 구체화
◈ 도서의 개요
교육 훈련의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수자가 교육과정 중 학습자들에게 어떤 방법들을 활용하여 실무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는 2002년부터 산업 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등의 내용을 국가가 체계화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을 제정하였다. 기업체(Corporation)는 NCS를 현장 수요 기반의 인력 채용 및 인사관리 기준, 근로자 경력 개발, 직무기술서 등에 활용하고, 교육훈련기관(Education and training)은 직업교육 훈련과정 개발, 교수 계획 및 매체, 교재 개발, 훈련 기준 개발 등에 활용하며, 자격시험기관(Qualification)은 자격 종목의 신설 통합 폐지, 출제 기준 개발 및 개정, 시험 문항 및 평가 방법 등에 적용하고 있다.
이번에 개발한 도서는 NCS 기반 교과목의 능력단위별 강의자료를 개발하고 활용하는 교수 방법을 구체화하였다. NCS 기반의 교과목에 선정된 능력단위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은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직무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전문대학, 공공기관, 직업능력개발훈련기관에서 교수자의 역할은 지식을 잘 전달하는 것보다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 도서에서 교수자가 강의자료 개발과 활용 등을 참고하여 실무 위주의 교수 방법이 개선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특히 교수자를 위한 주차별 강의자료 개발은 매주 교과목의 능력단위에 대한 수업의 중요한 부분을 요약하고 학습자에게 평가 문항을 제시할 수 있도록 개발한 것으로 매우 유용한 자료이다. 그리고 학습자를 위한 주차별 워크북은 주요 학습 내용, 평가 문항, 수업에 대한 피드백 등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학습자는 주차별 워크북에서 제시된 주요 학습 내용과 평가 문항을 해결하여 제출하고 교수자로부터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개발한 자료로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다음은 평가도구 개발로 능력단위에 대한 평가도구 개발에 대한 세부적인 방법과 예시로 교수자의 교과목에 해당된 능력단위별로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평가의 공정성과 중요성을 확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프로젝트 기반 수업 운영을 위한 운영계획서 작성 방법과 사례를 통해 교과목 수업에서 프로젝트 기반 수업으로 전환하여 실무 역량을 갖출 수 있는 교수 방법으로 획기적인 수업 성과가 나타나고 있어 적극 추천하고 있는 교수 방법이다.
이 책이 NCS 기반 교과목의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수자분들에게 강의 준비 지침서가 되어 4차 산업에서 요구하는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 활용되기를 바란다.